소개글
"가까운 노인을 관찰하여 나타나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치매환자 가족의 어려움과 대처방안
1.1. 치매노인 가족들의 어려움
1.1.1. 경제적 어려움
1.1.2. 가족 내 불화
1.1.3. 사회적 지원 부족으로 인한 사회비판
1.2. 나의 부모가 치매환자일 경우 대처방법
1.2.1.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대처
1.2.2. 가족 간 불화 발생에 대한 대처
1.2.3. 사회 비판에 대한 대처
2. 노인을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2.1. 노년기의 특성
2.1.1. 노년기의 정의
2.1.2. 노인의 일반적 특성
2.1.3. 노인의 인지적 특성
2.1.4.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
2.1.5. 노인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과 노화
2.2. 노인을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아쿠아로빅을 중심으로
2.2.1. 프로그램의 취지
2.2.2. 생활체육 계획서의 작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치매환자 가족의 어려움과 대처방안
1.1. 치매노인 가족들의 어려움
1.1.1. 경제적 어려움
치매노인 가족들이 경험하게 되는 경제적 어려움은 매우 큰 편이다. 치매는 치료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질병이기 때문에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먼저, 치매노인의 의료비용은 매우 비싸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치매환자 1인당 연간 약 2,042만 원의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 중 진료비만도 약 337만 원에 달한다. 이는 개인이나 가족이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큰 금액이다. 특히 치매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질병이기 때문에 가족들은 장기적으로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치매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경우 간병인을 고용해야 하는데 이 또한 큰 경제적 부담이 된다. 치매노인은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워 가족들이 직접 돌봐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경제활동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간병을 위한 기회비용도 상당하다.
이처럼 치매노인 가족들이 겪는 경제적 부담은 상당한 수준이다. 치매 관리 비용의 증가와 간병을 위한 기회비용 발생으로 인해 가족들은 큰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경제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장기요양보험 등의 제도를 통해 의료비와 간병비 부담을 완화시켜 줄 필요가 있다.
1.1.2. 가족 내 불화
가족 내 불화는 치매노인을 둔 가족들이 겪는 또 다른 어려움이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과정에서 가족들 간에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녀가 여러 명인 경우에 부담을 서로 미루거나 치료비 부담을 두고 다투는 일이 흔하다. 또한 치매노인의 공격적인 행동이나 문제행동으로 인해 가족들 사이에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가 축적되면서 불화가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가족 내 불화는 치매노인을 효과적으로 돌보는 데 큰 장애물이 된다. 가족이 서로 갈등하면 치매노인에게 필요한 전반적인 돌봄과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가족 간 불화는 치매노인의 병세를 악화시키고 가족 모두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은 갈등을 완화시키고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가족들이 서로 이해하고 소통하며 치매노인 돌봄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균형있게 분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족 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매노인 돌봄에 대한 정보와 지원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1.1.3. 사회적 지원 부족으로 인한 사회비판
치매노인 가족들은 사회적 지원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곤 한다. 이는 사회에서 충분한 도움과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치매노인 가족들은 치매 환자를 돌보면서 경제적, 육체적, 정신적 부담이 큰데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이들은 사회에 대해 불만족스러운 감정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정부의 치매 관련 정책이나 지원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여기거나, 의료기관이나 복지시설에서 충분한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느낄 수 있다.
치매노인 가족들은 이러한 불만을 표출하며 사회를 비판하게 된다. 특히 세대를 건너뛰어 젊은 세대에서 이러한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치매 환자 돌봄으로 인한 가족들의 고통과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사회가 치매 환자와 가족을 충분히 지원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정부와 지역사회에 더 나은 정책과 서비스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치매노인 가족들이 사회 비판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치매 환자 돌봄으로 인한 어려움과 사회적 지원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치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참고 자료
부기옥. 2020.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 변화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복임. 2010. 치매노인에 대한 간병인의 지식, 태도가 간병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미애(2020). 노인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정일교(2019). 노인복지론. 양성원.
조종도.2021.3.19.통계청 국민 삶의 질 보고서, 독거노인 159만 명.. 전체 노인의 19.6%.백세신문
한익희, 노인특성,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390365042188_20140122133043.hwp&rs=/upload/viewer/result/202308/)
소위영, 전은진, 홍지영, 최대혁, 김기홍.2010.아쿠아로빅 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 구성, 체력,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한국노년확 통권 71호, pp.683-694.한국노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