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시설관리직 직무수행계획서
1.1. 시설관리직 직무수행계획서 서론
시설관리직 직무수행계획서 서론에는 시설관리직의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멀티플레이어로서의 역량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시설관리직은 건물 관리부터 전기, 토목, 안전, 설비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적으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기술력과 협업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이용자들의 편의와 만족을 고려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시설 운영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설관리직은 조직의 가치와 목표를 항상 고려하며, 단순한 일꾼이 아닌 조직과 함께 호흡하는 인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과 각오를 바탕으로 이 직무수행계획서가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1.2. 시설관리 직무수행목표
시설관리 직무수행목표는 시설물과 시설물의 운용방식, 안전 등에 관한 관리역량을 확립하고 각 시설파트 운용인력 및 직원, 그리고 외부 이용자들과의 소통역량을 강화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청사를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아울러 자기계발을 통해 시설물관리에 대한 기술역량도 높여나가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 내용으로는 시설물 관리역량 확립, 소통역량 강화, 기술역량 강화 등이 있다. 시설분야별 핵심 관리방안을 점검하고 목록화하여 시설관리의 기본 체계를 확립하며, 청사내부 모든 관리부서의 파트별 업무범위를 숙지하여 시설관리자의 역할을 명확히 한다. 또한 직원과 민원인의 불편사항을 청취하고 해결하는 한편, 자격증 취득 등을 통해 시설물관리에 대한 기술역량을 높여나가는 것이다.
1.3. 시설관리직무 수행방안 및 계획
시설관리직무 수행방안 및 계획이다. 시설물과 시설물의 운용방식, 안전 등에 관한 관리역량을 확립하고 각 시설파트 운용인력 및 직원, 그리고 외부 이용자들과의 소통역량을 강화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청사를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한다.
먼저, 시설물 관리역량 확립을 위해 시설분야별 핵심 관리방안을 점검하고 목록화하여 시설관리의 기본 체계를 확립한다. 건물관리 측면에서는 결로, 누수, 옥상배수 등을 수시로 점검하고 관리한다. 전기관리 측면에서는 비상시를 대비한 전기시설 수시 점검과 위험요소 제거를 실시한다. 환경관리와 시설안전관리, 설비관리 등의 영역에서도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한다.
둘째, 소통역량 강화를 위해 전기, 기계직 관리직 직원들과 긴밀한 업무협조를 하고, 직원과 민원인의 불편사항을 청취하여 신속히 조치한다. 또한 시설이용에 대한 안내와 주의사항을 게시하며, 외래 방문객들의 시설이용 만족도 점검을 통해 시설관리에 반영한다.
셋째,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외에 위험물, 산업안전, 에너지 등 관련 기초자격증을 취득하고, 선배 직원들의 경험을 공유하며, 분야별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필요한 기술을 습득한다. 또한 행정업무 수행을 위해 컴퓨터 활용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설물 관리역량, 소통역량, 기술역량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