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원생생물의 관찰
1.1. 서론
원생생물은 보통 1개의 핵을 가진 단세포 생물로서, 운동은 편모, 섬모, 위족으로 하며, 운동을 하지 못하는 것도 있다. 운동 방식에 따라 편모류, 위족류, 섬모류, 포자류의 네 군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원생생물을 관찰하고 그 종류에 따른 구조 및 형태와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원생생물은 식물, 동물, 균류와 함께 진핵생물에 속하며, 대부분의 원생생물은 단세포 생물이다. 원생생물은 최초의 진핵생물에서 진화되었으며, 이들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서는 진핵생물의 기원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단계적 세포내 공생설에 따르면, 여러 단계를 거쳐 원시적 호기성 세균에서부터 다양한 원생생물이 진화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원생생물의 특징과 다양한 종류를 관찰하고 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1.2. 실험기구 및 재료
- 광학현미경은 원생생물을 관찰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원생생물의 구조 및 형태,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슬라이드 글라스와 커버글라스는 원생생물 샘플을 관찰할 때 사용된다.
- 스포이트는 원생생물 샘플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옮기는데 사용된다.
- 다양한 종류의 원생생물 샘플이 준비된다.
1.3. 실험방법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종류가 다른 4개의 원생생물 샘플을 준비한다.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잘 섞여서 생물체와 유기물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원생생물 관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원생생물을 관찰한다. 먼저 저배율에서 시작하여 생물체를 찾아낸 뒤 점차 고배율로 관찰을 한다. 관찰 과정에서 현미경의 상을 사진으로 찍거나 그림으로 그려낸다. 이를 통해 실험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특히 편모나 섬모, 핵 등의 세포 구조와 세포의 전체적인 모양을 상세히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과정을 통해 원생생물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운동 기관의 형태, 세포 구조, 크기 등을 관찰함으로써 원생생물을 편모류, 섬모류, 위족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관찰 결과를 토대로 각 원생생물의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4. 결과
아메바는 몸 전체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형질 덩어리의 모습을 띤다. 아메바는 운동을 위해 몸의 모양을 변화시키는데,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탄력이 있는 세포막을 늘인 다음 세포내 물질이 세포막이 늘어난 방향으로 흘러내리며 이동한다. 이러한 운동을 위족운동이라 하며, 운동에 따라 분류하여 아메바는 위족류에 속한다. 먹이가 들어있는 세포 부분을 식포라 하며, 식포는 소화될 때까지 원형질 안에서 떠다닌다.
유글레나는 몸의 앞에 핵이 있고 끝에 편모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섬모충의 경우 세포내의 핵을 유심히 보면 두 개로 갈라져 붙어있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대핵과 소핵으로 구분되는 두 개의 핵은 섬모충에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이었다. 포자류는 소형이며, 외피의 바로 안쪽에는 미세소관이 전체적으로 뻗어 있고, 골지체·미토콘드리아 등의 세포소기관이 있다. 섬모나 편모 등과 같은 특별한 운동기관이나 수축포가 없고 기생성이다.
1.5. 토의
토의에서는 현미경을 통해 알아볼 수 있는 원생생물의 특징적 사항들을 잘 정리하고 있다. 유글레나의 경우 몸의 앞쪽에 핵과 편모가 있어 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메바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탄력 있는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섬모충의 경우 대핵과 소핵이 분리되어 있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원생생물을 관찰하는 데 있어 몇 가지 한계점이 있었다. 실험에서는 실제 호수의 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