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복지의 정의와 영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의 개념 및 특성
1.1. 지역사회의 정의와 구성요소
1.2. 지역사회의 변화와 기능
2.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적 접근
2.1. 구조주의적 관점
2.2. 기능주의적 관점
2.3. 인간생태적 관점
2.4. 구성주의적 관점
2.5. 사회체계적 접근
2.6. 갈등적 관점
3.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및 관련 개념
3.1. 지역사회복지
3.2. 지역사회조직
3.3. 지역사회복지실천
3.4. 지역사회보호
3.5. 시설보호와 재가보호
4.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4.1. 사회복지학 영역에서의 지역사회 정의
4.2. 지역사회 상실이론과 보존이론
4.3. 지역사회복지 부각 이유
4.4. 자선조직협회(COS)의 개인주의 빈곤관
4.5. 인보관 운동의 한계
5. 지역사회복지 실천 관점
5.1. 강점관점
5.2. 로스만의 사회행동모델
5.3. 우선순위 설정 시 주의점
5.4. 사례관리
5.5. 임파워먼트의 중요성
6. 사회복지에서의 광의와 협의의 개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의 개념 및 특성
1.1. 지역사회의 정의와 구성요소
지역사회(community)란 공동의 소속감을 가지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친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공간적 범위를 의미한다. 즉, 지리적인 장소의 개념을 배제하고, 행정적으로 서로 같은 이익을 추구하거나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공동체가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욕구를 충족하고자 기능을 수행하고, 상호의존성을 지니고 있다는 고유의 특성을 지닌 집단을 말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적 영역으로 일정한 지리적 경계 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집합체이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지역 내 주민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상호교류가 존재한다. 셋째, 공동의 유대감으로 지역주민들이 소속감과 연대감을 공유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넷째, 공동의 관심사와 욕구로 지역사회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관심사와 문화, 생활양식, 경제적 이해관계 등이다.
이처럼 지역사회는 공동의 소속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지리적 경계 내에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유대감을 바탕으로 공동의 관심사와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사회적 실체라고 할 수 있다.
1.2. 지역사회의 변화와 기능
지역사회의 변화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에서의 지역사회는 과거의 전통적인 농촌 지역사회와는 달리 그 특성이 크게 변화하였다. 과거 농촌 지역사회가 친밀한 인간관계와 유대감, 지리적 근접성 등이 강조되었던 반면, 현대 도시 지역사회에서는 개인주의 경향, 인간관계의 단절, 지리적 여건의 변화 등이 지역사회의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 대한 해석과 이해 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다.
과거 농촌 지역사회에서는 혈연, 지연, 학연 등의 1차 집단 관계와 이웃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했지만, 산업화와 도시화의 진전으로 인해 이러한 전통적인 지역사회의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 반면 현대 도시 지역사회에서는 주민 간의 익명성이 증가하고 사회적 네트워크와 유대감이 줄어들어 지역공동체 의식이 약화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다시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는데, 지역사회는 개인과 가족, 그리고 국가 사이의 중간 단계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사회는 개인과 가족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화와 인격 형성의 장이 되며, 지역 주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통합을 이루어낸다. 또한 지역사회는 국가의 정책을 지역 실정에 맞게 구체화하고 실행하는 중간 단계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지역사회는 개인, 가족, 사회, 국가 등 다양한 수준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적 접근
2.1. 구조주의적 관점
구조주의적 관점은 지역사회를 정치적·법적 실체로 보며, 자치제, 시, 군 등으로 지정되는 공식적 단위로 정의한다. 이 관점에서 지역사회는 정치적,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와 개인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역사회의 지리적 조직과 권력구조에 초점을 맞춘다. 구체적으로 지역사회 내의 각종 단위(집단이나 조직)가 지역사회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 즉 권력구조에 주목한다. 정치적 리더, 회사나 금융기관의 대표 등이 주요 권력집단에 포함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가 어떻게 성장해 왔고, 행동해 왔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2.2. 기능주의적 관점
기능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지역사회는 개인/가족과 사회제도가 만나는 영역이다. 이 관점은 지역사회의 목적, 기능, 지역사회가 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노력을 어떻게 지속하고 있는지를 강조한다.
워렌(Warren, 1978)은 지역사회를 "주민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광범위한 활동영역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회적 활동의 조직"이라고 정의하였다. 지역사회는 자신을 유지하기 위해 아동양육, 자원분배 등과 같은 사회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지역사회가 기능적이 되기 위해서는 복지, 교육, 종교, 보건 등 공통된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 있어야 한다.
기능주의적 관점은 또한 지역사회가 어떻게 성장해 왔고, 어떤 행동을 해왔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공식적·비공식적 수준에서 지역사회가 어떤 의사결정을 내리고 어떤 행위를 해왔는지를 살펴보면 지역사회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기능주의 관점에 따르면, 지역사회 내의 한 하부체계의 기능이 와해되면 다른 하부체계의 개입이 필요로 된다. 즉, 지역사회의 각 하부체계가 상호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 전체의 기능을 유지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2.3. 인간생태적 관점
지역사회에 대한 인간생태적 관점(human ecology perspective)은 주민과 그들의 환경과의 관계형성에 초점을 두는데, 특히 주민과 조직(서비스)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둔다. 이 접근은 또한 사람의 모임과 조직이 지역사회라는 공간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중시한다.
지역사회에 적용 가능한 인간생태적 개념으로 경쟁이 있다. 인간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거주를 위한 공간(habitats)을 위해 경쟁하게 된다. 인간생태적 관점에서 경쟁은 지역사회 주민이 상업적 또는 주거 목적으로 땅이나 장소의 활용에 대해 어떻게 경쟁하는가에 관심을 둔다. 지역사회 내에 공간이나 자원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개인이나 집단은 생존경쟁을 하게 된다. 경쟁의 결과는 종종 사회계층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로 연결된다.
지역 사회를 인간생태적 관점으로 보는 것은 타인보다 더 적은 자원을 가진 사람이 직면하는 문제나 불공정에 초점을 두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저소득층이 내몰리거나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 문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인간생태적 관점은 이러한 문제에 주목하고 지역사회 내 자원의 불균등한 분포와 배분 구조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2.4. 구성주의적 관점
구성주의적 관점은 지역사회의 관계형성 방식에 초점을 둔다. 즉, 지역사회에 대한 상호...
참고 자료
이우영, (2013).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3260302
오정수, 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16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62921126?cat_id=50005860&frm=PBOKPRO&query=%EC%A7%80%EC%97%AD%EC%82%AC%ED%9A%8C%EB%B3%B5%EC%A7%80%EB%A1%A0%E2%80%9D%2C+%ED%95%99%EC%A7%80%EC%82%AC&NaPm=ct%3Dlvg31nc8%7Cci%3D3957b86c8afda672397549289093351de984c7bf%7Ctr%3Dboknx%7Csn%3D95694%7Chk%3D5f6bd49*************2a55cafc19658412906e
박기석, (2010).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1948218
최무열, 한국선교신학회, (2017). 찰머즈 목사의 근린운동(Neighborhood Movement)이 영국교회 자선조직협회 및 독일 엘버펠트 제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소고, 47. pp. 311~342.
https://www.riss.kr/link?id=A103362084
노혜련, 유성은, (2007).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15 (1). pp. 75~10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64525
방경숙, (2015). 지역사회복지 관점에서 본 부산의 마을만들기 사례연구, 가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3761131
설영만, (2010). 북한 고속도로망 계획 및 AHP기법을 활용한 투자우선순위 결정,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1953887
문옥경, (2001). 문제음주자 배우자에 대한 사례관리 모델 적용 연구 : 지역사회 알코올 상담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8357812
조영환, (2010). 임파워먼트가 의사결정 참여요인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215995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