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글로벌시대 다문화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글로벌화와 다문화 사회의 등장
1.2. 타문화 이해의 중요성
2. 글로벌 시대의 타문화 이해
2.1. 문화의 의미와 특성
2.2. 다문화 사회의 이해
2.3. 타문화 이해의 필요성
3. 타문화 이해를 위한 자세와 방법
3.1. 배려와 존중의 자세
3.2. 역지사지의 관점
3.3. 관용과 개방성
4.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
4.1. 학교 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
4.2. 사회 전반의 다문화 이해 증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글로벌화와 다문화 사회의 등장
글로벌화와 다문화 사회의 등장은 현대 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글로벌화로 인해 국경을 초월한 이동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 생활의 글로벌화와 우리 사회의 다문화는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교육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등장한 것은 글로벌화, 다문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이다. 다문화 사회는 글로벌화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사회현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화와 다문화 사회에 대한 적절한 대응 교육은 세계 시민 교육의 더욱 큰 차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다. 이는 올바른 글로벌 시민 의식과 함께 다문화 사회에서의 정체성을 접목하여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다."
1.2. 타문화 이해의 중요성
이러한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 통합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타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피부색, 종교, 언어, 관습 등이 다른 여러 문화가 섞여 있는 사회 속에서 구성원들 간에 문화의 다름과 차이를 존중하지 않는다면 서로 반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반목은 갈등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문제가 심화되면 결국 폭력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사회의 분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사회 통합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우리 사회는 불안해질 수 밖에 없고, 사회의 발전은 요원해진다. 이와 반면에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용을 통해 다양한 문화가 조화를 이루게 되면 우리 문화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문화의 다양성은 사회의 발전 정도를 평가하는 하나의 척도이다.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사회일수록 문화의 획일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와 반면에 민주적인 사회일수록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한다. 민주주의의 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평등, 자유는 서로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고 관용을 실천할 때 얻을 수 있는 가치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민주주의 사회는 개인이 가지는 가치관이나 생활 방식, 의식, 관습 등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것을 존중할 수 있는 사회이다. 그리고 타 문화에 대한 이해는 인권과 인간의 존엄성을 보호하는 바탕이 될 수 있다. 타 문화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타 문화 사람의 인권과 존엄성을 훼손하게 된다. 낮잠을 자는 것이 중요한 문화인 나라에서 온 사람을 게으른 나라의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태도는 그 사람들의 인격을 무시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잘못된 태도는 타 문화권 사람들을 부당하게 차별하는 행위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선 타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글로벌 시대의 타문화 이해
2.1. 문화의 의미와 특성
문화는 문명이 발달하여 생활이 편리해지는 현상이며, 철학적으로는 인간의 진리 추구를 통한 정신적 활동이나 그 결과로 얻어지는 물질적·정신적 총체를 의미한다"" 문화는 사회 구성원과 집단의 생활 방식, 즉 의식...
참고 자료
천정웅 <현대사회와 문화다양성 이해>, 양서원, 2015
김효정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문화정책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다양성과 문화간 대화>, 집문당, 2010
김광현/글로벌 지구촌의 문화와 이해/라온/2019
김용신/글로벌 다문화교육의 이해/이담북스/2011
조관연, 김민옥 저, 타문화 이해와 소통 과정을 통한 로컬 지식의 상호작용적 확장,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사회연구, 2021
김정석, 이수명 저, 생활예절, 새로미, 2018
정호범 저, 다문화교육박물관 활용 타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전주교대, 2013
한정우 저,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생의 타문화 이해, 한국청소년학회,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