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쟁 후 러시아 경제 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경제
1.1. 서방 세력의 경제 제재로 미국 장비와 소프트웨어 수입 차단
1.2. 경제 제재로 인한 빈자리를 중국 제품으로 대체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러시아의 패배 후 국가 붕괴
2.1. 러시아 내부의 권력투쟁
2.2. 중국에 종속된 국가가 될 가능성
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이 직면한 문제 및 대응 방안
3.1. 전쟁 후 사회경제 불안정에 대한 대처
3.2. 전쟁 후 에너지 위기에 대한 대처 및 전략
3.3. 난민 대량 유입 갈등에 처한 EU의 대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경제
1.1. 서방 세력의 경제 제재로 미국 장비와 소프트웨어 수입 차단
서방 세력의 경제 제재로 미국 장비와 소프트웨어 수입이 차단되었다. 이에 따라 러시아 기업들은 품질이 낮은 제품을 파는 비공인 공급업자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게 되었다. 서방의 제재로 인해 미국 장비와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한 외국 공급자에 대한 러시아 수입업자의 접근이 차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러시아산 반도체 제품의 불량률이 급증했다.
1.2. 경제 제재로 인한 빈자리를 중국 제품으로 대체
중국의 집적회로와 반도체 제품의 러시아 수출은 짧은 기간의 감소를 겪은 후에 중국이 러시아에 대한 세계 수출이 90% 급감한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개입한 4월 이후 증가했다. 이는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자이언트 스탭(한번에 0.75%포인트씩 기준 금리 인상)을 3연속으로 단행한 것에 맞춰 세계 각국이 연쇄적으로 기준금 리를 인상하면서 세계 경제 환경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중국의 대러 수출 증가는 서방의 대러 제재로 러시아가 미국 장비와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한 외국 공급자에 대한 수입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 제품으로 그 공백을 메우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 기업들은 서방의 제재로 인해 품질이 낮은 비공인 공급업자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률이 급증했다.
따라서 러시아는 서방의 경제 제재로 인해 미국발 기술과 장비 수급에 차질을 빚게 되자 이를 대체하기 위해 중국 제품 수입을 늘리게 된 것이다. 8월 중국의 대러 수출은 전년보다 25% 이상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 속에서 중국에 경제적으로 점점 더 의존하게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러시아의 패배 후 국가 붕괴
2.1. 러시아 내부의 권력투쟁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것은 푸틴 대통령이 권력을 내놓은 뒤에 극우 국가주의자와 권위주의적인 보수주의자, 반민주운동 그룹간의 지독한 권력투쟁이다. 바야흐로 ...
참고 자료
서방 제재 이후 러시아 수출 中 반도체 불량률 ‘급증’
이용성 저, 조선비즈 , 2022.10.21.
"러시아, 우크라 패전으로 붕괴하며 폭력적 내전 가능성"
강병철 저, 연합뉴스, 2023
ING “내년 韓 경제 성장률 0.6% 예상”…고개드는 경기 비관론
정민하 저, 조선비즈, 2022
「우크라이나 전쟁의 성격과 국제질서의 변화」 제 23권 1호 초록 참고, 오일환, 정경환, 한양대학교, 동의대학교, 202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유럽연합(EU) 회원국의 여론과 그 형성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 제 35권 1호 118p~120p 참고,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 2023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여 의지 피력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 에너지경제신문,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