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경부암, 의료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경부암의 이해
1.1. 정의
1.2. 병태생리
1.3. 원인 및 위험 요인
1.4. 증상과 징후
1.5. 병기 분류
2. 자궁경부암의 진단 및 치료
2.1. 진단검사
2.2. 치료 방법
2.2.1. 외과적 치료
2.2.2. 내과적 치료
3. 자궁경부암 예방
3.1.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3.2.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3.2.1. HPV 바이러스 특성
3.2.2. HPV 백신의 종류와 접종 방법
4.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 동향
4.1. 국가 암 예방 정책
4.2. 자궁경부암 예방 접종 정책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경부암의 이해
1.1. 정의
자궁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자궁의 약 2/3를 차지하는 몸부분(체부)과 질로 연결되는 나머지 1/3부분인 목부분(경부)이 있으며, 자궁경부는 원주섬모상피세포로 이뤄진 자궁강과 중층편평상피세포로 이뤄진 자궁외구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궁경부를 두 종류의 세포가 접하는 부위인 편평원주접합부라고도 한다. 자궁경부암은 바로 이 자궁의 목부분(경부)에 발생하는 암을 의미한다."
1.2. 병태생리
자궁경부는 자궁의 아래부위에 위치하고 질로 연결되는 조직이다. 자궁경부암은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발생하며, 암 발생 이전 단계에 자궁경부 이형성이라는 변화를 보이게 된다.
자궁경부암은 0기에서 4기까지 나뉘며, 0기 암을 상피내암이라고 하고 1기부터 4기 암을 침윤성 자궁경부암이라고 한다. 상피내암은 침윤성 자궁경부암보다 약 10년 정도 빠르게 35~40세 정도에서 호발하며,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30세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0대에 정점에 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의 병태생리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HPV 감염은 자궁경부의 전암성 병변인 자궁경부이형성증을 유발하고, 이 병변이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대부분에서 HPV가 발견되며, HPV에 감염되면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이 10배 이상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피내종양의 90%는 HPV 감염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HPV 감염 후 일부 고위험군 바이러스는 감염 상태를 유지하여 자궁경부이형성증으로 발전하며, 이 중 일부는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처럼 자궁경부암의 병태생리는 HPV 감염에 의한 자궁경부 이형성증의 점진적 발전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원인 및 위험 요인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대부분에서 발견되며, 이것이 발견되면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도가 10배 이상 증가한다고 알려졌다. 상피내종양의 90%는 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의 고위험군 바이러스는 감염상태를 유지하여 자궁경부암의 전 단계인 자궁경부이형성증으로 발전하며 이 중 일부는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한다.
둘째, 나이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20세 이전에는 발병률이 낮지만 30세 이상이 되고 나면 서서히 증가하여 50대가 되면 확률이 크게 올라갈 수 있다.
셋째, 환경 요인이다. 비위생적이고 무질서한 생활 습관, 건강검진을 못 받게 되면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제대로 확인을 못해주면 문제를 유발하는 요소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트러블이 생길 가능성이 높고 악화될 수 있다.
넷째, 흡연 요인이다. 담배를 피우는 여성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에 비하여 자궁경부암에 걸릴 위험이 1.5~2.3배가량 높다. 우리나라 연구에서도 담배를 피우는 여성의 자궁경부암 발생 및 사망 위험은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도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HIV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로 인해 감염이나 각종 문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여섯째, 인종 요인도 작용한다. 서구에 비해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일곱째,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와 교육수준도 위험 요인이다. 낮은 경제적 수준, 비위생적인 위생습관, 무질서한 생활 등이 자궁경부암 발생의 예방과 조기발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궁경부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HPV 감염이며, 이 외에도 나이, 환경, 흡연, 면역저하, 인종, 경제·사회적 요인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증상과 징후
자궁경부암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상적 질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경우 폐경기 이후에 출혈이 새롭게 나타나거나, 폐...
참고 자료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 Ⅰ 제7판』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 Ⅱ 제7판』
구자성, 엄재현 공저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지침서II』
드렁인포. .
충남대학병원. .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238p~248p
최현숙 외 공저, 「병리학」, 의학교육, 339p~341p
e-나라지표, ‘자궁경부암’, (2022.03.20.)
이동숙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64p~393p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
서울대학교병원, 자궁경부암,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FS01/8.do, (2022.03.20)
대한부인종양학회, ’자궁경부상피내종양’, ‘자궁경부암‘, (2022.03.20)
https://general.sgo.or.kr/html/?pmode=public_cervical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자궁경부암‘ (2022.03.20.)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checkupSub02View.do?contentid=76&DP_CODE=CIC&MENU_ID=004027018&ds_code=D0001971
중앙대학교병원, ’자궁경부암’, (2022.03.20.)
https://ch.caumc.or.kr/medical/center/C1/c1_05_1.asp?kzcff.html
서울아산병원, ‘자궁경부세포검사’, (2022.03.20)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ementId=38
서울아산병원, ‘질확대경생검’, (2022.03.2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12
서울대학교병원, ‘자궁경부 조직검사’, (2022.03.20.)
http://www.snuh.org/board/B021/view.do?bbs_no=3747&searchKey=&searchWord=&pageIndex=1
‘HPV검사’, MSD 매뉴얼, (2022.03.20)
https://www.msdmanuals.com/-/media/Manual/LabTests/HumanPapillomavirusHPVTest-ko.html
서울아산병원, ‘근치자궁절제술’, (2022.03.21.)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05
약학정보원, ‘하트만액’,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CCCCC0274
약학정보원, ‘타박신주’,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7973
약학정보원, ‘오티렌정’,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071800005
약학정보원, ‘하이디알주’,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022900036
약학정보원, ‘케포돈주’,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G7069
약학정보원, ‘스틸녹스정’,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DDDDD0794
약학정보원, ‘데노칸’,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690A0608
약학정보원, ‘듀파락’, (2022.03.21.)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7032300002
여성건강 간호학, 국민건강관리공단, 위키피디아, 건강나누기 -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