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통신시스템 연습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가적 위기와 리스크 관리
1.1. 국가 위기의 개념
1.2. 국가적 위기 관리 방안
1.3. 통신 분야의 국가적 위기와 리스크 관리
2. 디지털 트윈 기술
2.1. 디지털 트윈의 개념
2.2. 디지털 트윈의 핵심 기술
2.3. 디지털 트윈의 활용 사례
3. 미들웨어 기술
3.1. 미들웨어의 개념과 동작 원리
3.2. 미들웨어의 종류
3.2.1. 원격 프로시저 호출
3.2.2.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3.2.3. 객체 요청 브로커
3.2.4. 데이터베이스 접속 미들웨어
3.3. 미들웨어 활용 사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가적 위기와 리스크 관리
1.1. 국가 위기의 개념
국가 위기는 국가의 주권이나 또는 국가를 구성하는 정치와 사회, 경제, 문화 체계 등 국가의 핵심적인 요소와 가치에 중대한 위해가 가해지거나 또는 가해질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국가 위기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과 건강, 그리고 국가의 주권과 영토, 국가를 구성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체계의 국가 핵심요소와 가치에 중대한 위해가 가해질 가능성과 그런 위해가 가해지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위기는 국가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와 국가의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국가를 운영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능과 시설 그리고 시스템을 국가의 핵심기반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국가 개념에 포함되는 국민과 영토, 주권이라는 요소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포괄적인 안보의 개념이라고 볼 때, 이들 국가 구성요소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에 대해 국가위기라고 말할 수 있다.
1.2. 국가적 위기 관리 방안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가적 위기 관리 방안이란 "국가위기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에 대비함으로 위기 발생 시에 효과적인 대응과 복구를 통해서 그 피해와 영향을 최소화함으로 조기에 위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제반의 활동"이다".[1]
이를 위해서는 생명의 존중을 이념적 가치로 한 위기관리 시스템을 체계화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기본적인 권리들을 보장하며, 사회적인 형평성과 함께 국가의 존립을 위한 필수적인 국가의 주권과 영토를 보존하기 위한 제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1]
구체적인 국가적 위기 관리 방안으로는 위기상황에 대한 경보 체계 마련이 있다. 위기상황에 대한 경보는 심각성의 수준에 따라서 관심(Blue), 주의(Yellow), 경계(Orange), 그리고 심각(Red) 4단계로 구분하여 발령하며, 단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발령되거나 위기 수준에 따라서 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높은 단계로 발령할 수도 있다".[1]
또한 위기 발생 시에 국가의 자원과 역량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또 다른 위기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위기 유형별로 대응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교육시킴으로써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1]
더불어 이미 발생한 피해에 대해서는 위기 이전의 상태로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며, 제도를 개선하고 운영체계의 보안 등을 통해 재발을 방지함으로써 위기관리 능력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1]
이처럼 국가적 위기 관리 방안은 예방과 대비, 대응, 복구의 유기적인 연계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명존중, 인간 존엄성 보장, 국가 주권과 영토 보존 등의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1]
1.3. 통신 분야의 국가적 위기와 리스크 관리
통신 분야의 국가적 위기와 리스크 관리는 현대 정보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2013년 3월 20일에 발생했던 방송사와 은행 전산망 마비 사태와 KT 아현지사의 통신구 화재 사고는 국가 기간시설의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통신망이 마비되면 심각한 대혼란을 초래하고 국가의 안보와도 직결될 수 있다. 현대 정보사회의 특징인 자동화와 정보화가 정보통신 기반구조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에너지기반구조와 물류기반구조 등에 연쇄적인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대규모 정전사태나 화재로 인한 통신 마비, 사이버테러 등으로 현실세계에 큰 위협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방안이 매우 중요하다.
리스크 관리방안으로 우선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체제를 견지해 나가는 것이 시급하다. 각 가정과 기업, 관공서와 중요 시설에 대한 비상전원 설치에 대한 실태조사와 종합적인 분석, 정책적인 지원과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비상전원이 적시에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태세를 갖추고, 필요시 보완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통신재난 발생 시 통신망의...
참고 자료
이재은, 위기관리학. 서울: 대영문화사. 2012.
이재은, 국가위기관리체계의 문제와 관료사회 부패문제, 충북대 행정학과. 2014.
이재은. 포괄적 안보 개념 하에서의 국가위기관리의 법제화 방안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006.
허태회・이상호・길병옥. 위기관리이론과 사이버안보 강화방안: 이론과 정책과제. 국방연구. 2005.
조광래, 주일엽. 대규모 정전사태에 대비한 국가위기관리 방향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제10호. 2005.
과학기술 기반 국가 리스크 거버넌스 구축, 한림연구보고서129, KAST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19.12.
기업의 리스크관리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보고서, 한국표준협회, 2011.11.
세계경제포럼(WEF)이 전망한 2018년도- 글로벌 리스크 및 기업 위기관리 전략, 환경부·KBCSD, 2018.
technet, 2024-03-10
https://technet.tmaxsoft.com/upload/download/online/tmax/pver-20140117-000058/getting-started/ch01.html, 그림1.1
wikipedia, 2024-03-10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93%A4%EC%9B%A8%EC%96%B4, 미들웨어
RedHat, 2024-03-10
https://www.redhat.com/ko/topics/middleware/what-is-middleware, 미들웨어
Tistory, 2024-03-10
https://sphere-sryn.tistory.com/entry/Web-Server%EC%99%80-WASWeb-Application-Server%EC%9D%98-%EC%B0%A8%EC%9D%B4-feat-%EB%AF%B8%EB%93%A4%EC%9B%A8%EC%96%B4, 톰캣
wikipedia, 2024-03-10
https://ko.wikipedia.org/wiki/%EA%B0%9D%EC%B2%B4_%EC%9A%94%EC%B2%AD_%EB%B8%8C%EB%A1%9C%EC%BB%A4, 객체요청브로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