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k-pop 문화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어는 교착어인 한국어와 달리 고립어에 속한다"" 한국어는 어미가 발달한 언어로서 어미를 연결하는 수가 상당히 많고 문법적인 면에서도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고립어에 속하는 중국어 특성상 중국 학습자들이 한국어 어미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장을 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특히, 연결어미 사용에서 학습자들은 적지 않은 오류를 보이는데, 이는 연결어미가 문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높은 사용 빈도를 보이기 때문에 이해의 혼동을 가져오는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의미가 비슷한 연결어미들은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워 대치 오류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김경화, 2011:1)""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고 올바르게 문장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요소이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 인지하고 있어야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지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연결어미는 다른 한국어 교육에 비해서 중요하게 교육이 되고 있지 못하며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를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고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유학생 비중을 보이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연결어미 오류를 분석하여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 한국어와 중국어 문법 교육의 특징 비교
2.1. 범위 및 판단 기준
한국어 문법과 국어 문법은 그 범위 및 판단 기준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 문법은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측면과 연관지어 교육하며 문법의 효용성을 중시한다"". 반면, 국어 문법은 국어 자체를 분석한 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가르치며 문법적인 것과 비문법적인 것의 이분화를 중시한다"".
즉, 한국어 문법은 의사소통 능력 개발과 향상을 위해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하는 데 중점을 두지만, 국어 문법은 문법 지식을 체계화하고 올바른 인격 형성을 도우려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2.2. 대상과 목적
한국어 문법은 외국인(外國人)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을 주된 목적으로 하기에 교육(敎育)에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측면과 연관해 교육하고, 문법(文法)의 효용성을 중시한다"" 반면, 국어 문법(文法)은 국어 자체를 분석한 후에 체계적(體系的)으로 기술하고, 가르치며 문법적인 것과 비문법적인 것의 이분화를 중시한다""
한국어 문법과 국어 문법은 대상과 목적에 있어 차이가 있다""
첫째, 목적(目的)에 있어서 한국어 문법은 의사소통(意思疏通) 능력(能力) 개발(開發)과 향상(向上)을 위해서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하는데 중점을 둔다"" 반면에 국어 문법의 경우는 문법과 국어 지식을 포괄적(包括的)으로 교육(敎育)하고, 문법 지식을 체계화(體系化)하며, 올바른 인격의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중점을 둔다""
둘째, 대상에 있어서 한국어(韓國語) 문법은 한국어 사용 능력과 한국어 지식이 없는 재외동포나 외국인(外國人)을 대상으로 한다"" 반면에 국어 문법은 이미 국어 체계를 습득한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다""
2.3. 기술 내용과 그 특성
국어 문법의 경우는 문법(文法) 지식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개념적인 지식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한국어(韓國語) 문법(文法)은 언어(言語) 정보 즉,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와 의미, 형태에 대한 용법을 중요하게 여긴다"" 한국어 문법은 외국인(外國人) 학습자를 대상으로 가르치기 위해 구성한 한국어(韓國語) 문법(文法) 체계임을 알 수 있다""
3.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문법 교수 방안
3.1. 귀납적 접근법과 연역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