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대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구강 위생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EM 용액이 구강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고 시간에 따른 pH 유지력을 측정하여, 치의학적 관점에서 사람들에게 EM 용액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예방을 위해 '구강의 청결한 관리'에 주목할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점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EM 용액의 구강세균 번식 억제력과 구강 내 pH 유지력을 측정하여, 그 활용도를 평가함으로써 구강관리를 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1.2. 선행 연구 사례
선행 연구 사례는 다음과 같다.
1) 구강청정제 및 치간칫솔 사용에 따른 구강미생물의 변화__김수향 2015에 따르면 구강청정제(CPC용액)로 소독을 하면 양치 후가 양치 전보다 구균의 양은 감소하나 활동성은 변화가 없다고 한다. 한편 구강청정제보다 치간 칫솔로 이용한 양치가 세균 감소에 훨씬 효율적이었다"이다.
2) 유용미생물군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노인환자의 치면세균막 지수, 구취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__권미경 외 2명 (2018)에 따르면 유용미생물군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를 제공받은 노인환자군이 제공받지 않은 군보다 구강관련 세균막 치수가 4주 후와 8주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졌다고 한다. 또한 구강간호를 8주 이상 지속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치면세균막 지수, 구취 정도 및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아졌다고 한다.
3) 유용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의 활용현황__문윤희 외 3명 (2011.10)에 따르면 ㉠ 농업과 임업에서는 EM 발효에 의한 유기비료와 유기퇴비의 사용으로 고품질 다수확으로 작물을 재해할 수 있고 농약의 대체로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개량으로 연작이 가능하고 잡초의 감소를 초래한다고 한다. ㉡ 축산과 어업에서는 사료나 음용수에 EM을 첨가하면 가축과 어류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고 유질이 좋아진다. 또한, 가축 우리와 어장의 악취제거와 환경개선으로 가축과 어류의 건강을 증진시켜 폐사율을 줄이고 가축 분뇨는 EM 발효시켜 유기퇴비로 농업에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 환경에서는 수질 정화, 악취 제거, 유류 분해, 금속과 식품의 산화방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로 EM 발효액과 유기퇴비의 생산, 그리고 새집증후군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한다. ㉣ 의학에서는 EM-X가 인체 내 활성산소의 제거로 노화와 암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한다.
4) EM 쌀뜨물 발효액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__신예진 왜 3명 (2010.12)에 따르면 ㉠ EM 발효액을 음식물 쓰레기에 뿌려 퇴비로 만든다고 한다. ㉡ 그렇게 만든 EM 퇴비를 넣은 흙과 일반 흙을 넣은 두 화분을 비교 실험한 결과 ㉢ EM 퇴비를 섞은 화분에서 식물이 더 잘 자랐다고 한다. ㉣ 결론적으로 EM 발효액을 넣은 음식물 퇴비를 적용한다면 더 효율적인 재배를 할 수 있고 우리나라의 심각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도 감소되며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막대한 예산 낭비 절감이 가능하다고 한다.
5)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구강청정제의 효과__김선아 외 5명 (2007)에 따르면 해양심층수 원수(DSW), 역삼투압막으로 두 번 통과한 2차 투과수(DDW-2), 역삼투압으로 농축한 농축수(CDW)와 해양심층수를 배합하여 구강청정제로 개발한 시제품 A와 B, 해양심층수를 배합하지 않은 시제품 C를 4주간 사용한 결과 구강가글제를 사용한 모든 실험군에서 치면세균막과 치은지수가 감소했다고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EM(Effective Microorganisms)
EM 또는 유용미생물군(Effective Microorganisms)은 일본 류큐대학 농학부교수 히가 데루오(일본어: 比嘉照夫, 영어: Teruo Higa)박사가 1983년 토양개량, 자연·유기농업에 이용을 목적으로 개발한 미생물 자재의 명칭이다. EM은 Effective Micro-organisms의 머리글자를 딴 약자로서 유용한 미생물들이란 뜻이다. 일반적으로 효모균(세포의 활성화와 뿌리의 분화를 촉진하는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한다), 유산균(해로운 미생물들을 억제한다), 누룩균, 광합성 세균(암모니아, 황화 수소 등의 해로운 가스를 기질로 하여 악취 없는 물질로 변화시킨다), 방선균 등 인류가 오래 전부터 식품의 발효 등에 이용해 왔던 미생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생물들은 항산화 작용, 혹은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며 이를 통해 서로 공생하며 부패를 억제한다. 그 효과를 간단히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