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동기 이론
1.1. 추동 이론(drive theory)
추동이론은 배고픔이나 목마름 등과 같은 기본 동기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심리학적 이론이다. 이 이론은 동기이론으로는 가장 긴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 추동이론은 행동은 내재적 추동(drive)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고 주장한 Woodworth(1918)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이후 신행동주의학파의 핵심인물이었던 Hull(1943)에 의해서 추동이론은 계속적인 발전을 하였다. 이들은 추동을 자극과 반응을 연결해주는 매개요인으로 보고 인간행동에 대한 근원이나 이유를 추동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추동이론에서는 행동의 원동력을 발현잠재력(SER)으로 보고 발현잠재력은 습관강도(SHR)와 추동(drive;D), 유인동기(K)등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개념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추동(drive)은 만족되지 않는 요구이고 배고픔이나 목마름 등과 같은 생리적인 추동과 경쟁성, 친화, 공격성 등과 같은 학습된 추동으로 구분된다. 이렇듯 추동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내재적인 추동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1.2. 적정수준 이론(optimal level theory)
적정수준 이론은 Yerker와 dodson(1908)이 주창한 이론으로, 각성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수행의 결과는 계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적정한 각성수준에서 수행결과는 최고에 이르게 되며 계속해서 각성수준이 증가하면 수행결과가 감소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역U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역U가설이라고도 하며, Yerkes-Dodson의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유기체의 생리적 준비도 또는 활성화 정도라고 정의되는 각성은 살아있는 동안 항상 진행 중이며, 각성수준이 적정할 때 가장 좋은 수행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각성은 깊은 수면 상태에서 극도의 흥분 상태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각성수준이 극도로 높아지면 자율신경계를 통해 정서적 반응인 스트레스와 상태불안이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즉, 적정수준 이론은 각성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결과가 향상되다가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수행결과가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깨어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각성 상태가 최적의 수준일 때 가장 좋은 수행을 보인다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1.3. 성취동기이론
성취동기이론은 성공과 우월성을 향한 동기로, 유능함을 추구하거나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고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여 성공을 추구하는 동기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성취행동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내재적 동기는 행위 그 자체가 즐거움과 만족감을 주기 때문에 하는 행동으로, 자신의 환경을 스스로 결정하려는 자결성과 성취감, 유능감을 느끼려는 개인의 추동 때문이다. 내재적 동기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성공 경험을 갖게 하거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칭찬을 자주 해주는 방법이 있고 목표설정이나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케 하는 방법들이 있다. 한편 외재적 동기는 보상, 진급과 같은 외적인 자극에 의해 행동이 제기되고 지속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성취행동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1.4.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귀인이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을 일으킨 원인에 대한 추론을 하는 것이다. 스포츠 상황에서 경기 후에 선수가 승리한 이유는 무엇이고 실패한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추론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귀인은 일어난 사건의 원인뿐만 아니라 사건에 대해서 어떻게 귀인 하는가는 그 이후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미칠 수가 있다.
귀인이론은 눈에 보이지 않는 가설적인 개념을 동원하고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주 초점을 두고 있는 추동 이론이나 적정수준이론, 성취동기 이론과는 차이가 있다. 귀인이론은 상식적인 수준의 개념들인 능력과 노력, 그리고 운과 과제 난이고를 동원했으며, 행동의 원인보다는 행동결과를 역으로 추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Heider(1985)는 행동은 인적인 힘과 환경적인 힘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주장하면서 아래와 같은 귀인 모형을 제시했다. 인적 효력을 발휘하는 요소인 능력은 수행에 필요한 정신적, 신체적 기술이나 힘 등을 의미하며, 노력은 의도와 분발로 이루어지는데 의도는 동기의 질적인 면과 관계가 있고, 분발은 동기의 양적인 측면과 관계된다고 하였다. 이 모형에서 과제의 난이도와 운은 환경적인 효력을 발휘하는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