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정 내 노인학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학대 현황
1.1. 정의 및 유형
1.2. 가정 내 노인학대 실태
1.3. 기관 내 노인학대 실태
2. 가정 내 노인학대
2.1. 신체적 학대
2.2. 정서적 학대
2.3. 방임
2.4. 재정적 학대
3. 기관 내 노인학대
3.1. 성적 학대
3.2. 신체적 학대
3.3. 방임
4. 노인학대 예방 및 대응
4.1. 가정 내 노인학대 예방
4.2. 기관 내 노인학대 예방
4.3. 노인보호서비스 강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학대 현황
1.1. 정의 및 유형
노인학대는 "자녀에게 의존하고 있는 노인과 자녀 사이에 일어나는 언어 정서적 혹은 심리적 상해와 인간의 신체적 정서적 복지를 무시하는 행위 그리고 자산에 대한 오용 및 그로 인한 권리 침해 행위"를 뜻한다. 또한 "동일 가구에 거주중인 노인 가족 구성원이 배우자나 성인 자녀 등에 의하여 방임되는 행동" 역시 노인 학대에 포함된다.
노인학대의 유형에는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경제적 학대, 방임, 자기방임, 유기 등이 있다. 학대 가해자는 배우자, 아들, 며느리, 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해당된다. 특히 가족원 중 아들이 가해자가 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이는 나이든 부모보다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부모를 화풀이 대상으로 삼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부장적 체제에서 남성자녀는 여성자녀보다 더 대접받으며 자라 정서적 서열 우위를 점유하는데, 이것이 폭력적으로 발발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2. 가정 내 노인학대 실태
가정 내 노인학대 실태는 다음과 같다.
보건복지부의 '2020 노인학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노인학대 신고 건수는 총 1만 6,973건이며, 이 중 가정 내에서 발생한 학대 사례가 88%를 차지한다. 이는 가정 내 노인학대가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학대 유형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학대(42.7%), 신체적 학대(40%), 방임(7.8%), 경제적 학대(4.4%) 순으로 발생하였다. 가정 내 노인학대에서는 신체적, 정서적 학대가 주로 나타나며, 방임과 재정적 학대도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학대 행위자 분석 결과, 아들(34.2%), 배우자(31.7%), 딸(8.8%)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에서 노인이 자녀에 의해 학대받는 경우가 많음을 보여준다. 특히 여성노인의 경우 5명 중 4명이 피해자이며, 가해자의 대부분이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노인이 신체적 약자이고 경제적 의존도가 높아 더 많은 학대 피해를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가정 내 노인학대는 심각한 상황이며, 특히 여성노인과 아들에 의한 학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실태를 바탕으로 가정 내 노인학대 예방과 대응 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3. 기관 내 노인학대 실태
기관 내 노인학대 실태는 다음과 같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시설 내 노인 학대는 10년 새 9배가 증가했다. 2005년 집계가 이루어진 이래 2019년에는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설에서 발생하는 노인 학대의 대표적인 유형은 성적 학대이다. 입소 노인들의 알몸을 타인에게 노출시키거나 기저귀를 가는 등의 성적인 학대가 4년 새 4배 가량 늘어났다.
이러한 시설 내 노인학대의 증가 원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외부 인력 축소, 노인 인권에 대한 인식 확대, 고령층 증가 등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시설에 대한 외부 접근이 차단되면서 학대가 은폐되고 지속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요양보호사들의 업무 강도 증가와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한 학대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시설 학대는 단기적인 일회성 학대에서부터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치매나 신체적 의존도가 높은 취약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학대가 많...
참고 자료
박석돈 외, 노인복지론, 양성원, 2018
박희숙 외, NCS노인복지론, 공동체, 2016
김동식, 「노인학대통계로 본 가족에 의한 여성노인의 학대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김혜성, 「노인학대 사례 분석을 통하여 본 노인학대와 가정폭력 문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 2017, PP.499-508
손화희, 「가정 내 노인학대 및 자기방임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2019, PP.37-51
이근홍/노인복지론/지식공동체/2021
백세시대(http://www.100ssd.co.kr)
한겨레신문(https://ww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