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인식표에 대한 비판적 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활과 건강
1.1. 신체 및 정신 건강 관리
1.1.1. 건강상태 진단 및 평가
1.1.2. 건강관리 전략과 계획
1.2.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1.2.1. 편견과 객관적 사실 구분
1.2.2.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
2. 지역사회간호 사례
2.1. 지역사회 간호사정
2.1.1. 자료분석 및 요약
2.1.2. 건강문제 도출
2.2. 지역사회 간호진단
2.2.1. 간호문제 도출
2.2.2. 간호진단 수립
2.3. 지역사회 간호계획
2.3.1. 진단명: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2.3.2. 진단명: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불면증
3. 성인간호학 사례
3.1. 심근경색 간호과정
3.1.1. 서론
3.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1.1.2. 연구기간 및 방법
3.1.1.3. 문헌고찰
3.1.2. 본론
3.1.2.1. 간호사정
3.1.2.2. 간호과정 적용
3.1.3. 결론
3.1.3.1. 연구결과의 정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활과 건강
1.1. 신체 및 정신 건강 관리
1.1.1. 건강상태 진단 및 평가
일반적인 건강상태 질문지를 통해 나의 건강상태를 진단해 본 결과, 총점 30점 만점에 13점의 결과를 얻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점수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13점의 결과는 건강수준이 매우 나쁜 수준은 아니지만, 일부의 항목들로 인하여 건강수준이 아주 좋은 수준도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어떤 항목들에서 건강상태가 좋지 않게 나타났는지 살펴보면 현재 하고 있는 일과 관련하여서는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하고 있는 일에 잘 집중할 수 있었냐는 질문에는 매우 아니다 라고 답하거나, 걱정 때문에 잠을 못 잔 적이 많았습니까 라는 질문에는 그렇다 라고 답하였다. 또한 긴장감이 들거나 신경 쓰여서 힘들게 느껴진 적이 많다에 그렇다 라고 답한 것과 밤에 잠을 잘 못이루거나 설치냐는 질문에 그렇다 라고 답한 것은 최근 직장과 관련하여 스트레스와 불안감 등을 가졌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대로 자신이 여러 면에서 역할을 잘 하고 있다고 느끼거나 일상적 생활도 즐겁게 하고 있으며 우울감과 불행감을 느끼지 않은 점, 이전과 같은 정도로 외출을 하고 인생이 절망적이라고 느끼지 않는 점은 일상생활에서는 별다른 걱정이나 부정적인 감정 없이 건강상태 유지를 잘 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가까운 사람들과 잘 지내며, 따뜻함과 애정을 느끼냐는 질문과 대체로 행복하다고 느끼며 사람들과의 대화시간을 많이 가지냐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 라고 답한 것은 타인과의 관계나 가족 간의 유대관계도 매우 잘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을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만큼 일을 잘 처리하지 못한다고 느낀다거나 일에 전념할 수 없다고 답한 점, 전반적으로 내가 일을 잘 하지 못한다고 느낀 점과 내가 일을 처리해 온 방법에도 만족하지 못한다고 답한 점, 초조함과 긴장감을 느끼고 신경이 쇠약해진다고 답한 점은 현재 내가 진행하고 있는 일과 관련하여 자존감을 떨어뜨릴 만큼의 매우 큰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는 점을 반증한다.
가족력인 당뇨가 발병할 수 있고, 운동을 즐기기 때문에 신체적으로는 계속 관심을 주고 있지만 현재 사업체의 대표직을 맡고 있어 책임감과 중압감이 매우 큰 상태로 정신 건강은 제대로 돌보지 못한 결과가 질문지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이전에도 항상 있어왔지만, 현재는 매일 잠을 설치고 내가 일하는 방식까지 의심하게 만드는 자존감 하락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1.2. 건강관리 전략과 계획
구체적으로 나의 정신건강의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계획은 크게 7가지이다. 첫 번째로 현재 하고 있는 운동 습관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다. 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가장 큰 해결 방법이 운동이며, 운동은 엔돌핀을 분비시켜 스트레스에서부터 정신을 더욱 침착하게 만들어준다.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운동은 골프와 등산이다. 등산과 같이 심박수를 높여주는 유산소 운동이 스트레스를 줄여주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등산 일정을 지금보다 더 많이 잡을 계획이다. 두 번째는 술과 커피를 줄이는 것이다. 카페인과 알콜은 적당량을 복용했을 때는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과다 복용하게 되면 불안감을 유발하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현재 스트레스 수치가 높기 때문에 한 번에 끊는 방법 보다는 지금보다 커피와 술을 조금씩 줄여가는 것이 좋은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명상을 하는 것이다. 불안감과 우울감 해소를 위해서는 조용한 장소를 찾아 편안하게 나의 생각에만 집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대개 이전에 내가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는 친한 지인들과 만나 술을 마시거나 대화를 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알콜은 불안감을 더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음 속 걱정과 부정적인 감정들에 집중해 이를 해소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네 번째는 나의 강점에 초점을 맞춰 떨어진 자존감을 다시 되찾는 것이다. 부정적인 생각이나 나의 가치에 의심이 들 때마다 나의 강점을 생각해보며 일기를 써서 이를 극복하는 것이 계획이다. 다섯 번째는 건강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해야 할 일이 건강하지 않은 인간관계를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오랜 시간동안 사업체를 운영했고,많은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나의 업무이자 즐거움이었다. 현재도 대부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신뢰할만한 사람들이지만 다른 사람을 무시하고 의도적으로 망신을 준다거나, 모든 상황에서 필요 이상으로 비판적이고 돈만을 생각해 인간관계를 유지하려고 하는 사람도 많았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어내는 것이 나의 계획이다. 여섯 번째는 자신의 부정적 생각들을 조절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직원들을 관리하고, 사업체를 운영하려면 화나는 일이 많이 생기고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는 나의 감정을 조절하고 스스로 진정하는 것이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 중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족들과 함께 대화를 나누며, 산책을 한다거나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 등의 활동을 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다. 메신저를 통해 늦은 밤까지 지인들과 대화를 한다거나, 유튜브로 영상을 시청하고 인터넷 검색, 게임을 하는 등의 활동은 수면을 방해한다. 실제로 침대에 누워 잠에 들기 전까지 1시간~2시간 정도를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이러한 활동을 하는데 이는 불면증, 불안과 시력장애까지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업무에서는 스마트폰을 제외시킬 수 없지만 집에서 휴식을 취할 때는 스마트폰을 멀리하고 글을 쓰거나 가족들과 대화를 더 나누는 등의 노력을 하고자 한다. 최근 취약해진 정신 건강 부분에서의 관리를 위해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해 계획한 일들을 차근차근 실행해 나간다면 일상생활 속에서도 정신 건강을 효과적으로 돌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2.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1.2.1. 편견과 객관적 사실 구분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에서 편견과 객관적 사실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이상행동을 하고 위험하며 사고를 일으킨다는 생각은 편견이다. 정신장애인 중 증상이 심한 경우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참고 자료
김나희(2022), 유튜브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생의 정신장애 인식개선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류근선(2017), 청소년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에이블뉴스, 올바른 언론보도 정신장애 인식개선 첫걸음(2021.09.07.)
정성희, 박영숙 공저(2020). 생활과 건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 1(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수문사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 2(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수문사
제6판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2020). 박현숙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Ⅰ(2019). 윤은자 외. 수문사
Jang, C. H., Kim, S. H., & Oh, D. H. (2013). 불면증의 인지행동치료. Hanyang Med Rev, 33, 210-215.
수영구 보건소, www.suyeong.go.kr/health/index.suyeong (검색일: 2022. 1. 8.)
해운대구 보건소, https://www.haeundae.go.kr/health/index.do?menuCd=DOM_000000804002003000 (검색일: 2022. 1. 8.)
서울특별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 식생활정보 https://www.seoulnutri.co.kr/foodinfo_sub/8.do?categorySeq= (검색일: 2022. 1. 8.)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 실천지침. 보건복지부
대한영양사협회, 올바른 식습관, https://www.dietitian.or.kr/work/business/kb_c_habits.do (검색일: 2022. 1. 8.)
네이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0&cid=51007&categoryId=51007
원종순 외, 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황옥남 외, 2018,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양선희 외, 2018, 기본간호학1, 현문사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444&cPage=&DP_CODE=AACS&MENU_ID=004005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