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앙공급실
1.1. 개요
중앙공급실은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예방을 위해 병원 내 모든 부서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처리, 공급을 담당하는 부서이다. 중앙공급실의 기본 구역은 가능한 개별 구역으로 분리 되어야 하며, 오염구역, 청결 구역, 멸균 구역으로 나눠진다. 멸균 방법은 스팀 멸균, EO gas 멸균, 건열 멸균 등을 주로 이용하는 편이다. 중앙공급실에서는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일체의 멸균물품과 기구를 취급하므로 이로 인한 감염위험의 확산을 방지하고 감염위험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중앙 공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간호단위 실무담당자로서 병원 감염관리 규정을 이행해야하며 각 병동에서 요구하는 물품들을 멸균하여 원활히 공급함으로 환자에게 적절한 비용으로 최대의 의료행위를 제공해야 한다.
1.2. 멸균과 소독의 구분
1.2.1. 멸균
멸균이란 모든 미생물의 아포까지 완전하게 제거하고 파괴시키는 것을 말한다. 멸균상태에서는 어떤 형태의 생명력 있는 미생물도 살아있을 수 없기 때문에 멸균은 절대적인 개념이다.
멸균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물리적 방법이 있는데, 멸균해야 하는 물건에 따라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습열 멸균은 대부분 병원성 미생물이 50°C와 70°C 사이의 온도에서 10분 정도 노출되면 사멸된다. 특별한 조건에서 100°C에서 1시간 또는 2시간 동안에도 생존할 수 있다. 저온살균법은 우유의 경우 63°C에서 30분간 노출시켜 멸균한다. 자비소독은 물을 끓이는 가장 간단한 소독법이지만 아포까지 제거하기는 어렵다.
고압증기멸균은 습열 멸균 중 가장 확실하며 많이 사용되는 멸균법이다. 121°C에서 15분간 멸균하고 멸균 테이프가 검정색으로 변화하는지 확인하여 안전한 멸균 결과를 확인한다.
건열 멸균은 오염된 물질을 산화시켜 멸균하는 효과가 있지만 습열에 비해 강력하지 않다. 소각은 재활용이 필요 없는 일회용 오염물체들을 처리하는 데 효과적이고, 건열멸균법은 160~170°C까지 1시간 동안 멸균한다.
그 밖에도 자외선이나 여과 등의 방법으로 멸균할 수 있다. 자외선 멸균은 살균력이 강하지만 실제 병원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여과법은 마스크나 공기 정화기에 사용되어 미생물의 침입을 막고 전염성 미생물의 흡입을 예방한다.
결국 멸균은 특정 물품이나 기구를 완전한 무균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이를 통해 감염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1.2.2. 멸균 방법
멸균 방법에는 가열, 자외선 조사, 여과, EO가스 멸균 등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가열 멸균은 내열성 물질을 멸균하는 데 가장 확실하고 간편하며 경제적인 멸균법이다. 열에 의한 살균력은 온도와 시간에 반비례하며, 습열멸균과 건열멸균으로 나뉜다. 습열멸균의 경우 50°C와 70°C 사이의 온도에서 10분 정도 노출되면 대부분의 병원성 미생물이 사멸되며, 특별한 조건에서 100°C에서 1시간 또는 2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 또한 자비소독은 물을 끓이는 간단한 소독법으로, 10~30분간 끓이면 대부분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 고압증기멸균은 습열멸균법 중 가장 확실하고 많이 사용되는 멸균법으로, 멸균 온도 121°C에서 15분간 멸균하면 열 저항성 미생물까지 사멸시킬 수 있다.
건열 멸균은 고온에서 물리적으로 미생물을 산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소각은 재활용이 필요 없는 일회용 오염물체를 처리하는 데 효과적이며, 건열멸균법은 전기오븐을 이용해 160~170°C에서 1시간 동안 멸균한다.
자외선 조사는 공기에서 먼지를 제거하거나 실험실의 오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여과는 마스크에서와 같이 살균 지역으로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데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EO가스 멸균은 열에 약한 기구들을 저온에서 멸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독성이 있어 안전성에 유의해야 하며, 멸균 후 충분한 시간 동안 공기 중 방출이 필요하다.
이처럼 다양한 멸균 방법이 있으며, 멸균 대상 물체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1.2.3. 소독
소독은 미생물의 생존과 번식을 좌우하는 환경요소를 변화시켜 미생물의 감염력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멸균과 같이 아포까지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감염력을 없애는 것이므로 비병원성 미생물이나 아포는 살아남을 수 있다.
소독은 소독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으로,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하든가 발육과 증식을 저지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모든 화학반응처럼 소독은 반응물의 성질과 농도,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화학 소독제를 사용할 때에는 그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주요 소독제로는 페놀, 알코올, 계면활성제, 할로겐 화합물, 중금속 이온, chlorhexidine, 알데히드류 등이 있다. 페놀은 1897년 영국의 외과 의사인 Lister가 수술실에서 처음 사용한 이래로 가장 많이 알려진 소독제이다. 알코올은 50~80% 수용액에서 ethyl alcohol, propyl alcohol, isopropyl alcohol이 결핵균과 다른 세균들의 증식기 미생물에 살균작용을 한다. 계면활성제는 액체 부유물 또는 용액의 표면에 있는 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표면장력을 감소시킨다. 할로겐 화합물 중 요오드와 염소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며 단백질과 효소, 핵산을 손상시킨다. 중금속 이온인 수은이나 은은 미생물 세포들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효소 활성을 억제하지만 주로 정균 작용에 사용한다. Chlorhexidine은 빠른 살균력과 약간의 진균을 살균하는 활성이 있다. 알데히드류인 formaldehyde와 glutaraldehyde는 세균, 바이러스, 아포를 사멸시킨다.
이처럼 소독은 병원에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이지만, 그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소독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2.4. 소독 방법
소독은 소독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으로,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하거나 발육과 증식을 저지하는 과정을 말한다. 모든 화학반응처럼 소독도 반응물의 성질과 농도,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화학 소독제를 사용할 때에는 그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소독 방법에는 페놀, 알코올, 계면활성제, 할로겐 화합물, 중금속 이온, chlorhexidine, alkylating agents(알데히드류) 등이 있다.
페놀은 살균력이 안정되고 유기물에도 약화되지 않지만, 피부점막의 자극과 금속의 부식, 냄새와 독성이 강한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페놀 유도체인 cresol과 bisphenol은 소독제로 사용된다.
알코올은 50~80% 수용액에서 ethyl alcohol, propyl alcohol, isopropyl alcohol이 결핵균과 다른 세균들의 증식기 미생물에 살균작용을 한다. 알코올은 세포막에 침투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막지질을 용해해서 효소작용을 억제하는 소독작용을 한다.
계면활성제는 액체 부유물 또는 용액의 표면에 있는 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표면장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