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스트코 기업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현지화 vs 표준화 전략
2.1. 표준화 전략
2.2. 현지화 전략
2.3. 현지화-표준화 전략의 차원
3. 월마트
3.1. 기업소개 및 현황
3.2. 기업 경쟁력
3.3. 한국시장에서의 실패요인
4. 코스트코
4.1. 기업 소개 및 현황
4.2. 기업 경쟁력
4.3. 한국 시장에서의 코스트코
5. 월마트와 코스트코 비교 분석
5.1. 경영전략 비교
5.2. 마케팅전략 비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사회 환경의 변화는 기업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인 고객, 직원, 주주, 경쟁사를 넘어 세계시장까지 다양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화 요인들은 기업을 둘러싼 요인들은 기업의 시장진출과 같은 경영전략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 기업이 새로운 국가에 진출해 적응성공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대형마트의 경우 지역의 특수한 환경과 특성이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외국계 대형마트가 현지시장에 뿌리를 내리기가 더욱 어렵다.
2. 현지화 vs 표준화 전략
2.1. 표준화 전략
표준화 전략은 글로벌 전략 또는 글로벌 통합 전략이라고 불리는데, 세계 시장의 소비자 수요가 동질화되고 있다는 배경에 기초한 개념이다. Levitt(1983)은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시장이 통합된다고 주장했다. 최근 기술의 발전은 기술 간의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양상으로 진화하면서 빠른 속도로 진화하거나 영향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발달된 교통, 통신 및 IT 모바일 기술들이 SNS, 위챗, 페이스북, 유튜브와 같은 새로운 콘텐츠 영역과 결합하면서 물리적인 장벽을 와해시키고 파파고, 구글 번역기 등 수많은 번역 어플로 언어적인 장벽마저 와해시키면서 전 세계 사람들의 실시간 소통과 교류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상황은 정보비대칭을 줄이고 시장의 세계화를 촉진 시키면서 전 세계 사람들에게 글로벌기업에 의해 생산되는 양질의 제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를 더욱 강화시켰다. 시장의 세계화에 따른 단일시장의 출현은 글로벌 소비 동조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글로벌기업의 전략적 포지션을 강화할 수 있게 한다.
2.2. 현지화 전략
현지화 전략은 적응화 전략이라고도 불리는데, 세계 시장이 단일화 되어간다고는 하지만 각 나라마다 제품시장의 소비자행동 혹은 상거래 활동의 차이는 각국의 고유한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혹은 경쟁적 상황으로부터 기인 한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요소에서 여전히 차이가 존재하고 글로벌기업은 이러한 시장의 이질성에 맞춰야 한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현지화의 의미는 1차원적으로 기업이 수출 단계를 넘어 해외 현지 시장에 생산시설 또는 연구 개발 시설 등의 경영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자산의 구축과 경영 활동들을 총칭한다. 따라서 현지화 전략이란 개별 국가마다 문화, 경제수준, 정치, 법률과 제도, 소비자 가치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단순한 이전을 넘어 개별 국가에 맞는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까지 마련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과거 여러 학자들은 기업의 마케팅 활동은 특히 현지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개별 국가와 시장마다 각기 다른 마케팅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국적기업은 현지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니즈와 수요를 현지화 노력과 함께 충족시키면서 경쟁적 위치를 강화시키기 때문에 현지화 전략은 다국적기업에 경쟁력을 쌓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지화-표준화 전략은 4가지 차원과 수준으로 나눠진다고 볼 수 있다. 첫째, 기업의 지배구조나 경영 진 구성과 같은 구조적 측면에서의 현지화-표준화 정도, 둘째는 마케팅이나 인사 및 노사관리 등 의 경영활동 차원에서의 현지화-표준화, 셋째는 생산과정에서 투입되는 요소(원재료, 부품 등)를 조달하는 차원에서의 현지화-표준화, 마지막으로 정서적인 측면의 접근으로, 현지 지역 사회와의 교류 및 기여, 사회적 책임 등 현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배태되기 위한 여러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현지화-표준화이다. 즉, 이러한 4가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하고, 단순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현지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마케팅 프로그램은 현지 적응적인 활동이 주를 이루지만, 구조적 차원에서는 본사의 인력과 지분이 다수이고 본사 결정에 절대적으로 따르는 구조라면, 이 기업의 전략을 현지화 전략이라 볼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산업별 현지화와 표준화에 대한 압력에 대응해 표준화와 현지화 요구에 대한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도구로 IR 그리드(Integration-Responsiveness Grid)가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압력이 산업별로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다국적기업 경영자들에게 그들이 속한 산업의 특성에 따라 표준화나 현지화의 압력에 대해 취해야 할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했다.
결국 완벽한 표준화나 현지화가 필요한 산업은 존재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에서는 현지화와 표준화의 균형을 요구하기도 하는데, 현지화만이 만능은 아니기 때문에 가능성과 필요성을 검토해 '조정된 현지화'의 추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2.3. 현지화-표준화 전략의 차원
현지화-표준화 전략의 차원은 크게 4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구조적 차원에서의 현지화-표준화 정도이다. 이는 기업의 지배구조나 경영진 구성 등에 있어서 현지화 수준과 표준화 수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합작투자(joint venture)를 통해 현지화 지분율을 높이거나 본사에서 파견된 경영진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경영활동 차원에서의 현지화-표준화 정도이다. 마케팅, 인사관리, 노사관계 등 경영 전반에 걸쳐 현지 상황을 반영하는 정도와 표준화된 정책을 적용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품 브랜딩, 광고, 판촉 등의 마케팅 활동이나 채용, 교육, 보상 등의 인사관리 분야에서 현지화와 표준화의 정도를 살펴볼 수 있다.
셋째, 투입요소 조달 차원에서의 현지화-표준화 정도이다. 원재료, 부품 등의 조달 과정에서 현지 조달 비중과 글로벌 소싱 비중을 통해 현지화와 표준화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주요 생산 인력에 대한 현지채용 수준도 이에 해당한다.
넷째, 정서적 차원에서의 현지화-표준화 정...
참고 자료
나무위키 - 코스트코, 2021.10.23. 수정 https://namu.wiki/w/코스트코#toc
코스트코 홈페이지 https://www.costco.co.kr/
피클코, 코스트코 전세계 매출 1위 지점이 대한민국에 있는 이유, 2019.02.22.
http://hub.zum.com/pikle/38597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 소아암 어린이들을 위한 ‘코스트코’의 착한 나눔, 2016.09.29.
https://soaam.or.kr/board/view.php?code=lifeLove&cat=&sq=5767&page=1&s_fld=&s_txt=코스트코
한일 대형할인마트 해외 진출전략 김영 요시모토 코지 김장현 유성용 2010.11.29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 홈플러스 브랜드 사례 2010 안광호 이회복
삼성 물산과 영국 테스코의 글로벌 혐상 사례 2010년 2월 이동기 김동희
테스코의 한국 시장 진출전략 사례 김주헌
국내 할인점시장 현황과 성장전략/정연승/삼성경제연구소
홍보회사 미디컴 뉴스기사 'SNS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대형마트는 이마트‘
국내 유통기업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이마트, 홈플러스를 중심으로)/김진성
삼성 테스코 홈플러스의 성공전략/광고정보센터
국제 마케팅 ; 환경과 전략 , 테스코의 한국시장 진출전략 사례 - 김주헌 저, 문영사,2009
글로벌 전략 ;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 박주홍 저, 유원북스, 2012
한국기업평가 - 매출액 재무재표 대차대표 http://www.rating.co.kr/index.jsp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홈플러스 감사보고서 http://dart.fss.or.kr/
Tesco auunal report 2012 - Tesco PLC Kor
제일기획 브랜드포럼 통권 50호, 2005년 겨울호 - Brand Focus / 삼성테스코 'Home Plus'의 성공전략
한국의 CEO 이승한 삼성테스코 대표이사 사장 "고객은 왕이 아니라 신이다"물건만 파는 할인점 아닌 커뮤니티 센터 역할 [1623호] 2000.10.12 - 조선 매거진
http://weekly1.chosun.com/site/data/html_dir/2000/10/10/2000101077038.html
코스트코는 왜 한국에서 승승장구할까
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5
코스트코가 '가장 좋은 직장'에 뽑힌 이유
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4
권장소비자 가격 표시 제도 폐지에 따른 트렌드 변화
http://trend-insight.tistory.com/149
홈플러스, 식품·의류·생활용품 ‘저렴이’ 여기 있네
http://www.econovill.com/archives/165382
김주태, 고영희 2018. 동북아에서 다국적 유통업체의 성공실패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국제경영리뷰」, 22(1), 245-261
김재진 2019. 다국적 창고형 할인점의 한국 시장 진출과 성장 전략: 코스트코 홀세일 사례를 중심으로.「국제경영리뷰」, 23(1), 53-79
네이버 블로그 2019.08.23. 벵골호랑이가 보는 산업 및 기업: 월마트(Wall Mart.Inc : WMT-US, 글로벌 최대 유통 및 소매판매업 기업, 미국의 소비는 이 기업을 통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psme&logNo=22162302680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김대호 2018.08.06. 코스트코(Costco) 세계 최대 회원제 할인 매장, 박리다매의 화신…선택과 집중 판매전략 , 마진율 15% 이내 원칙 사수「글로벌이코노믹」
https://news.g-enews.com/view.php?ud=*************348194a01bf698f_1&mobile=1&md=20180806172554_R
Costco 임원 면담 및 언론보도 2014.09.25. 창고형 할인매장 Costco의 한국시장 진출 동향 「주시애틀총영사관」
http://overseas.mofa.go.kr/us-seattle-ko/brd/m_4715/view.do?seq=1099520&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21
기업나라 2011.05.31. 월마트는 왜 한국 시장에서 실패했을까?
http://nara.kosmes.or.kr/mobile/view.html?sid=45&aid=2541&page=278&from=list
2017.09.23. 아마존 시대에도 잘나가는 코스트코 성공요인 4가지 「꿈꾸는섬」
https://happist.com/555834/%EC%95%84%EB%A7%88%EC%A1%B4-%EC%8B%9C%EB%8C%80%EC%97%90%EB%8F%84-%EC%9E%98%EB%82%98%EA%B0%80%EB%8A%94-%EC%BD%94%EC%8A%A4%ED%8A%B8%EC%BD%94%EC%9D%98-%EC%84%B1%EA%B3%B5-%EC%9A%94%EC%9D%B8-4%EA%B0%80/
CATCH 기업분석 사이트 2019. 코스트코 기업분석
https://www.catch.co.kr/Comp/CompSummary/924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