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다문화가정의 개념 및 증가배경
1.1. 다문화가정의 개념
다문화가정이란 서로 다른 인종과 국적 및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가정을 뜻하며, 한 가정 내에 두 가지 이상의 문화가 공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북한이탈주민의 유입 등으로 인해 이러한 다문화가정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수천년간 단일민족의 신화를 간직해 온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등 다양한 형태의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결혼이민 여성이 급증하면서 우리 사회의 다문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가정은 세계화와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발생한 사회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1.2. 다문화가정 증가배경
1.2.1. 국제결혼 증가
국제결혼 증가는 다문화가정 증가의 주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국제결혼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주로 한국의 성비 불균형과 주변국가 여성들의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이주가 맞물려 나타난 현상이다. 농촌총각의 국제결혼 증가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으로 한국사회에 외국인 유입이 증가한 것이다. 또한 국제결혼중개업체들의 적극적인 영업 활동과 농촌총각들의 국제결혼에 대한 수요 증가도 국제결혼 증가의 주요 배경이 되고 있다. 이처럼 경제적 이유와 사회적 수요가 맞물려 국제결혼이 크게 늘어나면서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 것이다.
1.2.2. 성비 불균형
우리나라의 성비 불균형은 과거부터 이어져 온 남아선호사상에 기인한 것이다. 이로 인해 심각한 성비 불균형이 나타났으며, 특히 최근 세대로 내려오면서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현재 결혼 적령기의 남녀 차이가 점점 벌어져 가고 있는데, 이는 국내 남성들이 국내 여성과 결혼하지 못하고 1인 가구로 살거나 다른 대안으로 타국 여성과 결혼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성비 불균형이 다문화가정의 중요한 증가 배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1.2.3. 빈곤의 여성화와 이주의 여성화
빈곤의 여성화와 이주의 여성화는 다문화가정 증가배경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적 경제 질서의 영향으로 아시아에서는 "빈곤의 여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성들이 노동자로, 성 산업 서비스 종사자로, 때로는 국제결혼을 통해 이주를 하는 "이주의 여성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여성들이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주된 이유는 경제적 목적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삶을 개척하려는 의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국제결혼의 경우 결혼을 해서 가정을 이루기 위한 것 보다는 더 나은 삶을 향한 이주의 동기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2. 선진국의 다문화정책 사례
2.1. 영국의 다문화정책
영국은 사회통합을 위한 포용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프랑스와 같은 강력한 동화주의정책을 채택하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영국의 경우에는 많은 식민지 경험으로 인해서 다문화주의는 보다 성숙하게 자리 잡고 있다. 즉 식민지 경영의 영향으로 인도, 파키스탄 등 옛 식민지 출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