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1.1. AHP 분석의 개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화 분석기법)는 1971년 Pennsylvania Wharton School의 ThomasL.Satty에 의해 개발된 다 기준 의사결정 기법이다. AHP 분석은 의사결정의 목표나 평가의 기준이 다수이고 복잡한 경우에 상호관련성이 낮은 대안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이며, 이를 통해 최적 대안을 도출하거나 대안들의 중요순위를 결정한다. 오늘날 복잡한 의사결정 환경에서 합리적이고 능률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된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인 AHP는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직관을 포착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1.2. AHP 분석의 특징
AHP 분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AHP는 정량적인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평가 기준도 의사결정기준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정성적인 것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와 우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AHP는 체계적이고 이원 비교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모든 대안에 대한 순위를 동시에 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대안을 두 개씩 조합하여 체계적으로 이원비교 함으로써 판단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복잡한 의사결정문제를 계층적으로 표현한다.""
셋째, AHP는 의사결정자로부터 도출된 주관적 판단에 대한 비일관성을 검증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평가자들의 판단에 논리적 일관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넷째, AHP는 단일 의사결정자 뿐만 아니라 다수 의사결정자의 집단평가를 유도해내는 집단 여론수렴 기법이다. 다수 의사결정자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때 기하평균을 이용하여 집단내의 의견을 절충할 수 있다.""
다섯째, AHP는 상황여건의 변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는 모델이면서 의사결정문제와 관련된 정보 및 상황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할 수 있다.""
1.3. AHP 분석의 일반절차
1.3.1. 계층구조의 설정
AHP 분석의 일반절차 중 '계층구조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가장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는 계층구조의 설정은 최상위에 있는 목표에 기초한 의사결정 요소를 상호 관련된 의사결정 기준별로 구체화하여 계층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이다. 계층의 최상위에는 가장 포괄적인 의사결정의 목적이 놓여지며, 그 다음의 계층들은 의사결정의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이들 요소들은 낮은 계층에 있는 것일수록 구체적인 것이 된다.
계층구조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적 틀은 정형화되어 있지 않지만, 타 연구 분야에서 사용되는 계층설계기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사결정체계는 아래와 같은 표준적인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1.3.2. 쌍대비교행렬의 구성
각 단계별로 제시된 의사결정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요인 간 쌍대비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행렬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즉, 주어진 기준에 대한 요소들의 비교를 쌍(Pair)으로 각각 수행하여 의사결정 요소들의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