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포항성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복지 사업 현황
1.1.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 사업
1.1.1. 개인의 능력 개발(서비스 전달)
1.1.2. 사회 환경개선(지원)
1.1.3. 대 지역사회관계 및 기관 유지
1.2. 지역사회복지 현황 및 과제
1.2.1.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
1.2.2. 지역사회복지 시설의 역할
2. 환자안전 관련 최근 이슈
2.1. 낙상사고와 환자안전
2.1.1. 낙상사고 발생 사례
2.1.2.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간호사의 역할
2.2. 환자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
2.2.1. 포항성모병원의 환자안전주간행사
2.2.2. 환자안전 교육의 중요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복지 사업 현황
1.1.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 사업
1.1.1. 개인의 능력 개발(서비스 전달)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개인의 능력 개발을 위한 서비스 전달 사업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첫째, 성모병원, 메주동네, 한국소아 난치병 사랑나눔 사회적 협동조합, 선린요양병원, 바이오파크 등에서 장애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적·경제적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둘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마트와의 협약을 통해 "지원고용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구직 장애인 2명을 대상으로 카트정리, 주차안내 등의 직무를 직접 수행하고 3주간의 훈련을 거쳐 취업으로 연계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KT 희망나눔재단의 지원 하에 "장애인 스마트 교실"을 운영하여 재가장애인들의 정보화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ITQ, 앱인벤터, PC기기과정 등의 기술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넷째, 포항시 장애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성장멘토링" 사업을 통해 대학생 멘토와 장애가정 아동 멘티를 1대1로 매칭하여 일상생활관리, 학교생활관리, 문화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장애인의 자립과 성장,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위해 다양한 능력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1.2. 사회 환경개선(지원)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사회 환경개선(지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첫째, 포스코 1% 나눔재단의 후원 하에 '희망날개'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포항시에 거주하는 장애인 중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보조기구가 필요한 장애 당사자를 발굴하여 현장평가와 상담, 제작 등의 과정을 거쳐 보조기구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이 보다 편리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둘째, 2020년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현대제철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지역 내 주거환경이 열악한 장애인 세대를 발굴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20년 2월에는 재래식 화장실을 사용하는 시각장애인 세대에 포세식 화장실을 설치하였고, 청소, 도배, 노후 된 전열기구 LED교체, 전기 안전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서 살아가는 장애인의 인간으로서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2020년 8월 13일 영덕고등학교에서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이 시행되었다. 포항시장애인종합복지관 소속 직원이 파견되어 학생들이 장애인에 대해 평소...
참고 자료
오정수 외 「지역사회복지론」, 2016, 학지사
정재훈 「도립장애인복지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2003, 대구대학교 창파도서관
김태진 외 「지역사회복지 발전과정 분석」, 2000, 한국사회복지학회
더뉴스코리아 http://www.newskorea21.com/448898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환자안전간호의 실제」 , 수문사, p.15,57
https://www.lega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299, 강북삼성병원사례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0502, 포항성모병원사례
https://statistics.kops.or.kr/biWorks/dashBoardMain.do, 환자안전보고시스템, 환자안전 주요 통계, 사고의 종류별 보고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