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코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에코백의 친환경성에 대한 오해
1.1. 플라스틱 컵 규제 정책의 문제점
1.2. 에코백의 환경적 영향
1.3. 유기농 농산물의 한계
2. SPA브랜드 시장 현황 및 에잇세컨즈 분석
2.1. SPA의 개념 및 SPA 시장 현황
2.2. 에잇세컨즈 소개
2.3. 에잇세컨즈의 성장세
2.4. 삼성에버랜드 편입 이후 에잇세컨즈
2.5. 에잇세컨즈 빅데이터 분석 결과
3. 에잇세컨즈의 경쟁 전략
3.1. SWOT 분석
3.2. STP 분석
3.3. 4P 전략
4. 에잇세컨즈의 마케팅 현황 및 추진 전략
4.1. 국내외 경쟁 브랜드 현황 및 구매 행태
4.2. 에잇세컨즈의 마케팅 전략
4.3. 미래 성장 과제 및 개선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에코백의 친환경성에 대한 오해
1.1. 플라스틱 컵 규제 정책의 문제점
플라스틱 컵 규제 정책의 문제점은 모호한 기준의 가이드라인이다. 정부는 매장 내에 의무적으로 비치되어야 할 다회용 컵의 수를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았다. 또한 플라스틱 컵 규제에 종이컵의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규정 준수 의사가 미흡한 업주들이 적은 수의 다회용 컵만을 비치하고 종이컵에 담아 제공하는 꼼수를 부리는 어이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단속이 집중되는 대상인 체인점들의 불만이 거세지고 있으며, 정부는 좀 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1.2. 에코백의 환경적 영향
에코백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서는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본래 에코백은 비닐봉지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실제로 에코백의 환경친화성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국 환경청에 따르면 면 소재인 에코백은 최소 131회 사용되어야 일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할 때보다 환경보호에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사람들이 에코백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 사용 횟수가 평균 51회 미만에 그치고 있어, 에코백이 비닐봉지를 제대로 대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에코백이 패션 아이템으로 부상하면서 고가의 명품 에코백이 등장하고 있어, 이는 에코백의 본래 취지를 퇴색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에코백 사용이 과연 얼마나 환경보호에 기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라고 볼 수 있다.
1.3. 유기농 농산물의 한계
유기농 농산물의 한계는 환경친화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유기농이란 화학비료나 농약, 사료 첨가제 등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일컫는다. 하지만 사람들이 유기농은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으니 환경 오염이 적을 것이라고 짐작하는 것과는 달리, 유기농도 비료와 농약을 쓴다. 더욱이 유기농 재배는 일반적인 재배 방식보다 그 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서, 같은 넓이의 땅에서 얻을 수 있는 식량의 양이 더 적다. 이는 곧 유기농 재배에 더 많은 땅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며, 결국 생태계 파괴가 더 많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기농 식품이 환경에 유익하다는 것은 유기농 재배의 영향을 전체적으로 보지 못한 생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공급과 수요가 늘고 있지만,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결국 유기농 식품의 수입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수입 유기농산물은 다른 나라로부터 수만 km를 이동해 오면서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어 결국 환경친화적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처럼 유기농 농산물도 친환경성의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 그리고 일반 소비자 모두가 유기농 농산물의 진정한 친환경성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2. SPA브랜드 시장 현황 및 에잇세컨즈 분석
2.1. SPA의 개념 및 SPA 시장 현황
SPA는 '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로 자사의 기획 브랜드 상품을 직접 제조하여 유통까지 하는 전문 소매점을 의미한다. SPA는 제조사가 정책 결정의 주체가 되어 대량생산 방식을 통해 효율성을 추구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유통 단계를 축소시켜 저렴한 가격에 빠른 상품 회전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킨다. 이러한 SPA 개념은 미국 청바지 회사인 GAP이 1986년 도입한 것으로, 전문점(speciality)과 자사상표(private label) 및 의류(apparel)라는 의미를 합친 합성어이다. SPA는 유통업체가 자사의 오리지널 브랜드를 위한 기획, 디자인, 제조, VM실현 등의 직판형 전문점으로, 고객이 추구하는 가치를, 가장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상품 제공 방법과 공급 프로세스의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SPA는 생산을 하였는데 안 팔렸다는 패션 비즈니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신업태이다.
글로벌 SPA브랜드의 국내 패션시장 진입은 스페인 브랜드 망고(Mango)가 2001년 매장을 오픈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후 일본의 유니클로, 미국의 갭(Gap), 스페인의 자라, 스웨덴의 H&M 등 각 국가별 대표급 글로벌 SPA브랜드들의 국내진출이 이어졌다. 하지만 초기 SPA브랜드들의 국내 정착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으며, 최근 들어 한국시장이 아시아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중요한 거점이라는 인식 확대와 국내 패션시장이 트렌드에 민감하면서 높은 구매력을 갖춘 시장으로 평가되어 글로벌 SPA브랜드들이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국내 패션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SPA브랜드가 거침없는 성장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국내 SPA 시장 규모는 2013년 3조원 규모이지만 업계에서는 향후 2~3년 내에 SPA 시장 규모가 4조원을 넘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유니클로·자라·H&M 등 해외 SPA 빅3가 2013년 사상 처음으로 국내 매출 1조원을 넘어섰고, 토종 SPA들도 이보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처럼 SPA브랜드는 거침없이 영역 확장을 하고 있는데, 기존 데일리룩 중심이던 것에서 벗어나 언더웨어, 아웃도어, 스포츠 라인까지 확대하고 있다.
2.2. 에잇세컨즈 소개
에잇세컨즈는 삼성그룹의 제일모직이 런칭한 한국형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브랜드이다. 에잇세컨즈는 SPA와 컨셉스토어의 합작 형태로, 남성복에서부터 캐주얼까지 모든 패션 아이템을 아우르는 토털 패션 브랜드이다.
에잇세컨즈가 생각하는 패스트 패션의 역할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어렵지 않게 스타일리시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두를 위한 패션이라 하더라도, 가격이 저렴하...
참고 자료
에잇세컨즈 홈페이지
브랜드스탁
CEO 뉴스레터, 한국패션협회, 2014.02.18
글로벌 SPA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비교 연구 : H&M, ZARA, UNIQLO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3
글로벌 SPA 브랜드의 국내시장 진출과 대응방안,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13
SPA 브랜드 관련조사,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2013.03
선택인가, 필수인가? 국내 SPA 기로에 서다!, (주)SUS 패션연구소, 2012.04
패스트 패션의 글로벌 확산, 한국유통학회, 2012
글로벌 SPA브랜드의 4P믹스에 대한 소비자 지각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호남대학교, 2012
패스트패션’에서 배우는 역발상의 지혜, 삼성경제연구소, 2011
이서현 사장 “에잇세컨즈, 글로벌 브랜드로”, 파이낸셜뉴스, 2014.06.03
[삼성에버랜드 상장] ′의식주′ 종합회사서 패션·바이오 특화 기업으로, 뉴스핌, 2014.06.03
클라라 화보, 흰 수영복+가슴골 드러낸 도발적 의상…탄탄한 몸매 섹시미↑, 배국남닷컴, 2014.06.03
에잇세컨즈, 亞 여성체형에 최적화된 길이 27㎝ 핫팬츠 출시, 파이낸셜뉴스, 2014.06.02
[에버랜드 내년 상장-주가는얼마나] '에잇세컨즈' 육성 날개… 바이오 제약 사업 가속, 서울경제, 2014.06.03
‘엔젤아이즈’ 구혜선, 프로포즈 부르는 로맨틱 패션, 머니위크, 2014.05.26
"유니클로·자라 우리가 따라잡는다"…토종 SPA 브랜드 '3총사'의 진격, 한국경제, 2014.05.22
'빅3' SPA 브랜드, 매출액 1조 돌파…인기 비결은?, 세계파이낸스, 2014.05.21
[포커스]패션업계 “변해야 산다”, 뉴스웨이, 2014.05.19
삼성에버 ‘에잇세컨즈’ “유니클로 에어리즘 잡아라”, 컨슈머타임스, 2014.05.15
패션백 된 에코백, 한국일보, 2014.05.13
해외 SPA '빅3' 국내매출 1조원 넘었다, 이데일리, 2014.05.12
에잇세컨즈 온라인 SPA 브랜드 1위, 파이낸셜뉴스, 2014.05.08
SPA브랜드의 무서운 성장세, bnt뉴스, 2014.05.05
SPA, 자라 vs 유니클로 구도 깨지나, 머니투데이, 2014.04.28
「에잇세컨즈」가 에버랜드에?!, 패션비즈, 2014.04.02
SPA 영역 확장 어디까지..속옷·아웃도어도 '접수', 뉴스토마토, 2014.04.01
빅데이터 SNS 분석, SPA 결과는?, 패션비즈, 2014.03.18
[SS포토] '에잇세컨즈' 이승훈-이상화-모태범 팬사인회, '모델같아~', SSTV, 2014.03.15
SPA 브랜드, 때이른 '코엑스몰' 경쟁… 왜?, 아이뉴스24, 2014.03.06
2030 남성 전용 SPA 시장 '확대', 뉴스토마토, 2014.02.26
이랜드, 11번째 SPA ‘스탭(STAFF)’ 론칭, 뉴데일리, 2014.02.25
"한국이 SPA 최전선"…해외 브랜드 몰려온다, 한국경제, 2014.02.25
‘별에서온그대’ 김수현, 직각 어깨 자랑하는 스트라이프 니트룩, 머니위크, 2014.02.14
지방으로 눈 돌리는 글로벌 SPA, 서울경제, 2014.02.05
에잇세컨즈, 2013년 가을겨울 시즌 슈퍼세일 진행, 파이낸셜뉴스, 2013.12.19
에잇세컨즈, 2년만에 1300억 매출..내년엔 흑자, 머니투데이, 2013.12.13
유니클로에는 없지만 에잇세컨즈에 있는 것은?, 머니투데이, 2013.12.13
시장 급팽창하는 SPA 브랜드 명암, 이코노믹리뷰, 2013.10.30
에버랜드행 '에잇세컨즈' 날개 다나, 서울경제, 2013.09.24
제일모직, 에잇세컨즈 광고 표절 논란에…“왜 나만 갖고 그래”, 조선일보, 2013.07.16
대학생이 뽑은 1위 SPA 브랜드는 `유니클로`, 전자신문, 2013.07.03
에잇세컨즈, '업싸이클 & 리디자인' 프로젝트 전개, 아시아경제, 2013.03.20
에잇세컨즈, 양말 표절 논란 공식사과 "전량 소각할 것", TV리포트, 2012.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