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고등학교 과학 실험 보고서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고등학교 과학 실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명과학실험 기구 사용법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2.1.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 실험 원리
1.2.2. 현미경(Microscope) 실험 원리
1.3. 실험 방법
1.3.1.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 사용법
1.3.2. 현미경(Microscope) 사용법
1.4. 기타 실험 기기 소개
1.4.1. 생장상 (Growth chamber)
1.4.2. 분광기 (UV/VIS spectrophotometer)
1.4.3. 원심분리기 (Centrifuge)
1.4.4. 항온수조 (Water bath)

2. 혈액형 판정 실험
2.1. 서론 및 배경지식
2.2. 실험 목적
2.3. 실험 재료 및 기구
2.4. 실험 방법
2.5. 실험 결과
2.6. 고찰
2.7. 참고문헌

3.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분석
3.1.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3.2. 중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3.3. 프로그램 구성 상의 유사점과 차이점
3.4. 진행하고 싶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 과학실험 체험 프로그램
3.4.1. 프로그램 수요자가 매력적으로 느낄 강점
3.4.2. 기존 프로그램 자료 검색 및 요약
3.5.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명과학실험 기구 사용법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앞으로 원천관에서 생명과학실험을 진행하는데 주로 사용하게 될 실험기구인 Micropipette과 현미경의 기능, 구조, 작동 원리, 사용법 등을 확실히 숙지하고, 생장상, 분광기, 원심분리기, 항온수조 등 기타 실험기기의 기능과 사용법에 대해서도 간단히 학습해 실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마치는 것이다.


1.2. 실험 원리
1.2.1.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 실험 원리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은 O-ring과 Seal이라는 부품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막아 내부 압력을 항상 유지하고 있는 실험 기구이다. 따라서 micropipette의 volume adjustment knob를 통해 채취할 액체의 부피를 설정하고 plunger button을 첫번째 정지 지점까지 누르게 되면, micropipette 내부의 공기가 piston assembly를 통하여 설정한 부피만큼 Tip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압력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채취하려는 액체에 tip을 담근 후 다시 plunger button을 누르게 되면 piston assembly에서 생기는 내부 압력의 차이에 의해 micropipette이 Volume adjustment knob에서 설정한 부피만큼 액체를 빨아들인다.


1.2.2. 현미경(Microscope) 실험 원리

현미경(Microscope) 실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미생물은 매우 작기 때문에 맨 눈으로는 볼 수 없고 현미경으로 보아야 형태를 관찰할 수 있다. 현미경의 광원을 이용해 미생물과 같은 작은 표본에 비추면 이 중 일부 빛은 표본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표본을 통과한 빛들은 현미경 속 대물렌즈를 지나 굴절되어 한 점에 수렴하게 된다. 이 과정 중 대물렌즈에 의하여 얻어지는 확대된 상을 접안렌즈로 다시 확대하여 관찰자가 고배율로 표본의 확대된 상을 얻을 수 있다.


1.3. 실험 방법
1.3.1.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 사용법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은 매우 작은 부피의 액체를 정확하게 옮기기 위해 고안된 실험 기구이다. 마이크로파이펫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하려는 부피에 맞는 마이크로파이펫 tip을 선택한다. 마이크로파이펫은 0.01㎕~1000㎕의 범위를 다룰 수 있으며, 2㎕~20㎕의 volume을 취할 수 있는 P20 tip, 20㎕~200㎕의 volume을 취할 수 있는 P200 tip, 200㎕~1000㎕의 volume을 취할 수 있는 P1000 tip 등으로 구분된다. tip 통에 있는 tip을 마이크로파이펫의 shaft 부분에 단단히 장착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파이펫의 volume adjustment knob를 통해 원하는 용량을 설정한다. 용액의 밖에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마이크로파이펫을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plunger button을 천천히 첫 번째 정지 지점까지 누른다. 이때 마이크로파이펫 내부의 공기가 tip 부분으로 밀려나가 압력 차이가 생긴다.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파이펫 tip을 용액에 적당히 담그고 plunger button을 천천히 두 번째 정지 지점까지 눌러 용액을 빨아들인다. 용액을 완전히 빼낸 후에는 마이크로파이펫을 용액 밖으로 이동시키고 plunger button에서 손을 뗀다. 마지막으로 tip ejector button을 눌러 사용한 tip을 폐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마이크로파이펫을 사용하면 매우 정밀하게 원하는 부피의 액체를 옮길 수 있다. 마이크로파이펫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tip이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plunger button을 천천히 누르는 것이다.


1.3.2. 현미경(Microscope) 사용법

현미경(Microscope)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현미경은 접안렌즈를 통해 물체를 들여다볼 수 있는데, 이때 회전판에 붙어있는 대물렌즈가 재물대위에 놓여있는 물체를 확대해 주는 역할을 한다. 확대할 물체의 초점이 재물대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재물대의 높이를 조동나사와 미동나사로 변화시켜 초점을 정확히 맞춰주어야 원활한 실험이 가능하다. 빛의 성질을 이용한 실험기구이기에 조리개, 광원 장치를 통해 렌즈로 들어오는 빛을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관찰한다.

현미경을 사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콘센트에 선을 연결하고 오른쪽에 있는 스위치를 눌러 전원을 킨다. 그 다음 버튼을 회전시켜 빛의 양(조도)을 조절한다. 이후 재물대를 내려 프레파라트를 재물대 위에 고정시킨다. 이 과정에서 재물대의 높낮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렌즈 때문에 실험에 방해를 줄 수 있으므로, 조동나사로 재물대의 높낮이를 조절한 뒤에 상을 관찰한다.

그 다음 회전판을 돌려 가장 낮은 배율을 갖는 대물렌즈를 재물대 위에 위치시킨다. 조동나사를 돌려 재물대를 가장 높은 곳으로 위치시킨 후, 접안렌즈를 관찰자의 눈에 맞추어 범위를 조정한다. 두 눈을 통해 접안 렌즈로 시료를 관찰하며 다...


참고 자료

2주차 실험기구 사용법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06gZKMti2M
[그림1] - https://solutions.pipette.com/micropipette/
[그림2] - https://microbenotes.com/parts-of-a-microscope/
과학실험실 (과학실험실 > 신과람 실험실 > 혈액형 판정 실험 | LG사이언스랜드 | TEST2006110003 (lgsl.kr)), 네이버 블로그
공용, 2021, 학교교육과청소년,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서 및 프로그램 분석0k
덕장중학교 홈페이지www.deokjang.ms.kr
장곡초등학교 홈페이지www.janggokcho.es.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