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존엄사에 대한 찬반 논의
1.1. 존엄사 반대 입장
1.1.1. 존엄사의 개념과 문제점
존엄사는 소극적 안락사의 한 형태로, 뇌사 상태나 식물인간 상태와 같이 더 이상 소생할 가망이 없는 환자의 생명 유지 장치를 제거하거나 치료를 중단하여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환자 본인의 생명권에 대한 의사결정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타인에 의해 죽음이 결정되는 것으로, 헌법상 보장되는 개인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행복 추구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존엄사가 허용될 경우 생명경시 풍조가 확산될 수 있다. 희귀 난치병이나 중증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의 생명 가치가 훼손될 수 있으며, 자살, 낙태, 살인 등 생명과 관련된 범죄 행위에 대한 인식이 나빠질 수 있다. 특히 경제적 능력이 낮은 계층의 경우 삶의 만족도가 낮아 스스로 생명을 경시하게 될 우려가 있다.
즉, 존엄사는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아닌 죽음을 선택할 '의무'가 되어, 환자의 생명권과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1.1.2. 생명의 존엄성 침해 우려
존엄사의 허용은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근거로 제안되지만, 이는 인간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헌법 제10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가진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타인이 환자의 보호자라고 할지라도 환자의 생명권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는 것은 헌법에 의한 환자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위법행위로 볼 수 있다.
또한 존엄사를 허용하게 될 경우 사회적으로 생명에 대한 경시 풍조가 생겨날 수 있다. 이는 희귀난치병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생명 가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희귀 난치병 환자들이 치료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순간적인 판단으로 죽음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사람들이 생명의 존엄성을 가볍게 여기게 되면서 자살, 낙태, 살인 등 생명과 관련된 범법 행위에 대해서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존엄사를 허용하는 것은 결국 환자의 생명권을 보장하고자 했던 본래 취지와는 달리 오히려 생명에 대한 존중이 사회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존엄사에 대한 허용은 생명의 존엄성 및 가치에 대한 침해 우려가 크다고 볼 수 있다.
1.1.3. 생명경시 풍조 확산 가능성
존엄사가 허용되면 사회적으로 생명 경시 풍조가 생겨날 수 있다. 첫째, 희귀 난치병, 중증 장애인의 생명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 질병이나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치료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고자 순간적인 판단으로 죽음에 대해 쉽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사람들이 생명의 존엄성을 가볍게 여기게 되면서 자살, 낙태, 살인 등 생명과 관련된 범법 행위에 대해서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인신매매나 장기매매 같은 범법행위가 증가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