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본생활
1.1. 식습관
식습관은 영유아기 전반적인 건강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어린이집에서 기본생활 지도를 통해 영유아들은 점차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고 스스로 먹는 습관을 기르고 있다.
문서 1에 따르면 1세 영아 "00"은 음식 제안을 시작하고 나서 좋아하는 간식에 울음을 보이기도 하지만, 아주 적은 양을 주어 달래고 간식을 먹도록 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00"은 식탐이 좀 있어 걱정을 하고 있었는데, 선생님이 조금씩 주시는 것들을 알려주시면 집에서 먹는 음식 양을 조절하겠다고 하였다. 이처럼 1세 영아들은 음식에 대한 기호와 욕구가 강하지만, 교사의 세심한 지도와 부모의 협조로 점차 균형 잡힌 식습관을 기르게 된다.
문서 2에 따르면 1세 영아 "민이"는 가리는 음식 없이 대체로 골고루 먹지만, 여전히 식사 도구 사용이 서툴러 도움이 필요하다고 한다. 또한 집에서는 인스턴트 음식이나 간식 위주로 먹으려 하지만,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건강한 식단을 통해 골고루 먹는 습관을 기르고 있다고 한다.
문서 3에서는 2세 영아 "00"이 대체로 편식 없이 잘 먹으며, 채소를 먹은 뒤에는 선생님께 자랑스럽게 말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한편 집에서는 여전히 채소를 잘 먹지 않으려 하지만, 어린이집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이 집에서의 식습관 개선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어린이집에서는 영유아들의 균형 잡힌 식습관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영유아기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어린이집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영유아의 건강한 식습관 발달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배변습관
배변습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변습관은 대부분의 원아들이 기저귀를 사용하고 있지만, 점차 변기 사용을 시도하고 있다. 원에서는 배변 표현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교사가 파악하여 기저귀 갈이를 진행하고 있다. 일부 원아들은 소변, 대변에 대한 표현을 하고 있으며 변기에 앉아보기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완벽하게 배변을 가리지는 못하고 있다. 교사는 천천히 시도해보며 연습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집에서도 대부분의 원아들이 아직 기저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원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