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아 관찰일지 개요
1.1. 관찰 대상자 정보
관찰 대상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찰 대상자 정보는 총 3명의 영아에 대한 내용이다. 첫 번째 영아는 만 0세 여아로 영아1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두 번째 영아는 만 0세 여아로 영아2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마지막 세 번째 영아는 만 0세 남아로 영아3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관찰일지에는 각 영아의 생활모습과 발달특징, 교사와의 상호작용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2. 관찰 기간
'관찰 기간'은 영아의 발달과 성장을 살펴보기 위해 교사가 지속적으로 관찰한 기간을 의미한다. 관찰 기간은 2021년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교사는 영아의 일상생활, 놀이활동, 의사소통 및 사회관계, 신체운동 및 자연탐구, 기본생활습관 형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관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의 발달 과정과 성장 모습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1.3. 관찰 영역
'1.3. 관찰 영역'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을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찰 영역에는 일상생활, 놀이활동, 의사소통 및 사회관계, 신체운동 및 자연탐구, 기본생활습관 형성 등이 포함된다.
일상생활 영역에서는 영아의 등원 및 식사, 양치 및 기저귀 갈이, 수면 등의 습관과 행동을 관찰한다. 이를 통해 영아의 기본적인 생활 리듬과 습관, 자립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놀이활동 영역에서는 영아의 실내외 놀이, 음률 및 예술 활동 등을 관찰한다. 이를 통해 영아의 흥미와 몰입도, 창의성, 정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의사소통 및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교사와의 상호작용, 또래와의 상호작용, 가족과의 관계 등을 관찰한다. 이를 통해 영아의 언어 발달, 사회성, 정서적 안정감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신체운동 및 자연탐구 영역에서는 대근육 활동, 소근육 활동, 오감 탐색 등을 관찰한다. 이를 통해 영아의 신체 발달, 탐구심, 호기심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본생활습관 형성 영역에서는 식습관, 배변 훈련, 개인위생 등을 관찰한다. 이를 통해 영아의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의 관찰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 및 지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일상생활
2.1. 등원 및 식사
영아들의 등원 및 식사에 대한 관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아들은 등원 시 가정에서 먹은 음식을 입에 물고 등원하는 경우가 있었다. 교사가 음식을 뱉거나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면 영아들은 짜증을 내며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아들은 컵에 담긴 물이나 우유를 교사의 도움을 받아 잘 마시는 편이었다. 먹은 후에는 컵을 뒤집어 뒤집어 놓기도 하였다.
일부 영아들의 경우 등원 시 음식을 입에 물고 있는 버릇이 생겨, 가정에서 음식을 다 먹고 등원할 수 있도록 교사가 부모님께 말씀드렸다. 또한 영아들이 놀이하는 동안에도 계속 입에 음식을 물고 있는 경우가 있어 이를 지도하였다.
점심 식사 시간에는 대부분의 영아들이 숟가락이나 포크를 활용하여 스스로 음식을 먹으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아직 도구 사용이 서툴러 손으로 음식을 먹으려 하거나, 음식을 제대로 씹지 않고 빨리 삼키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교사는 영아들이 천천히 골고루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일부 영아들의 경우 편식이 나타나거나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때 교사는 영아들이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도록 격려하며 지원하여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2.2. 양치 및 기저귀 갈이
영아 OOO는 양치질과 기저귀 갈이에 있어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오전 시간에는 양치질을 하기를 거부하며 교사의 손을 뿌리치고 도망가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그러나 오후에는 교사가 "OO, 기저귀 갈이 하자"라고 하면 기저귀 매트로 스스로 와서 누워 기저귀를 갈아준다. 교사는 OOO의 이러한 행동을 관찰하며 상황에 맞게 대처하고 있다.
등원하면서 오전에 OOO가 양치질을 거부하는 이유는 아직 등원 후 헤어짐의 스트레스로 인해 불안감이 있기 때문이다. 교사는 OOO의 양치질 거부 행동을 관찰하며 OOO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차분히 다가가 격려하고 있다. 교사는 OOO에게 "OO, 선생님이랑 함께 치카치카 양치질 해보자"라고 말하며 OOO의 손을 잡고 양치질을 돕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OOO는 점차 양치질에 익숙해지고 있다.
한편 오후 기저귀 갈이 시간에는 OOO가 스스로 기저귀 매트로 와서 누워 기저귀를 갈아준다. 교사는 "OO, 기저귀 갈이 하자"라고 말하면 OOO가 기저귀 매트로 가서 누워 기저귀 갈이를 받는다. 이처럼 OOO는 오후에는 적극적으로 기저귀 갈이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오전에 겪었던 스트레스가 해소되면서 기저귀 갈이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교사는 OOO의 양치질 거부 행동과 기저귀 갈이 참여도의 차이를 관찰하며 상황에 맞게 대처하고 있다. 오전에는 OOO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차분히 다가가 양치질을 돕고, 오후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