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수술 및 간호 관리
1.1. 대상자 기본 정보
진단명은 Aortic valve regurgitation이며, 수술명은 Replacement of aortic valve with mechanical valve이다. 대상자는 남성이며 나이는 6X세이다.
대상자의 경우, 판막 성형술(repair)도 고려하였지만 모양이 좋지 않고 나이가 지긋하여 reintervetion rate가 적은 인공 판막 치환술(기계판막)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1.2. 수술 방법
환자는 앙와위 상태에서 전신마취 후 수술을 시작한다. Rt. 3rd ICS에 anterior minithoracotomy(소개흉술)를 한 후 Rt. inguinal area에 절개한다. 이후, Rt. femoral artery와 vein을 박리한 후 헤파린을 주입한다. 이때, Rt. inguinal area incision은 인공심폐기의 동맥 측 회로 삽입을 위한 것이다.
인공심폐기로 심폐체외순환을 하면서 cardioplegia(심장정지)를 시킨다. 대동맥 판막을 노출하기 위해 상행 대동맥에 절개를 가한 후 대동맥 역류가 있는 판막을 확인하고, 대동맥 판막의 판막엽을 모두 제거한다. 대동맥 판막의 판막륜의 전장을 걸쳐 인공 판막의 외골격에 꿰멜 실을 봉합한다. 판막륜에 봉합한 각각의 실을 인공 판막의 외골격부위에 봉합한다. 인공 판막을 대동맥에 내리고 cor knot suture device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salline irrigation을 한 후 절개를 가했던 대동맥을 봉합한다. 체온을 올리면서 인공심폐기를 50%까지 줄이다가 경식도초음파를 통해 공기의 유출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인공심폐기를 중단한다. 절개 부위를 suture한 후 painbuster(개흉, 개복술 후 수술로 인한 통증을 차단하고 조절하는 지속적 국소마취제 투여법)를 삽입한다.
1.3. 수술 시 간호사의 역할
1.3.1. 체외순환간호사의 역할
체외순환간호사의 역할은 심장 수술을 할 때 심장의 기능을 멈추지 않고서는 수술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혈액을 체외순환시키고, 호흡 등 폐의 기능을 대신하는 기계인 인공심폐기를 작동하는 것이다. 체외순환간호사는 수술 내내 환자의 옆에서 인공심폐기를 작동하며, 수술 도중 환자의 혈압, 동맥혈 가스 분석, 뇌파, 마취 심도를 체크하고, 혈류량을 조절해 적정 수준의 혈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특히 Replacement of aortic valve with mechanical valve 수술에서 체외순환간호사는 PT, aPTT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의사에게 알리고, 필요하다면 추가로 헤파린을 투여하며, 혈역학적 정보를 나타내는 체온, 소변량, 산소포화도 등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수술 중 세포의 대사를 줄이기 위해 저체온의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시 심장을 뛰게 할 때 체온을 올리는 과정에서 체온을 유심히 관찰한다. 이처럼 체외순환간호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