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영학에서 미분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분과 전미분
1.1. 미분의 정의
1.2. 편미분의 정의
1.3. 극대 극소 함수
1.4. 극대 극소 찾는 방법
2. 경제적 주문량(EOQ) 및 경제적 생산량(EPQ)의 결정
2.1. 경제적 주문량(EOQ)
2.1.1. 의의
2.1.2. 가정
2.1.3. EOQ모형의 설정
2.2. 경제적 생산량(EPQ)
2.2.1. 의의
2.2.2. EPQ모형의 설정
3. 통계학의 어원 및 유래
3.1. 통계학의 어원
3.2. 통계의 정의 및 특성
3.3. 경험적 및 정량적 분석
3.4. 미분 통계학 및 귀납 통계학
4. 한국 국민의 경제 수준 사분위 범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분과 전미분
1.1. 미분의 정의
함수 (x)가 미분 가능인 경우에 y=f(x)라 놓고 x와 y의 증분을 각각 Δx,Δy로 놓으면, {Δy / Δx = f'(x)}이다. 이 식은Δy=f'(x)Δx+εΔx로 고쳐 쓸 수 있다. 그리고εΔx는 Δx보다 고위의 무한소이므로Δy의 주부분은 f'(x)Δx로 생각할 수 있고, 이것을 함수 y=f(x)의 미분이라 하고, dy로 나타낸다. 즉, dy=f'(x)Δx, 여기서 독립변수 x의 임의의 증분 Δx를 그 미분이라 하고 Δx=dx(단, ≠0)로 규약하면 dy=f'(x)dx로 쓸 수 있다. 여기서 f'(x)는 미분의 계수로 나타나므로 f'(x)에 대하여 미분계수라는 명칭이 나오게 된다. 또, 위의 관계는 형식적으로 y의 미분 dy와 x의 미분 dx의 몫을 구하여 dy/dx=f'(x)라고도 쓸 수 있으므로 f'(x)를 미분의 몫, 즉 미분계수라고 할 때도 있다. 또 미분이란 말은 미분법의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1.2. 편미분의 정의
편미분의 정의는 다변수함수(多變數函數)에 대하여, 그 중 하나의 변수에 주목하고 나머지 변수의 값을 고정시켜 놓고 그 변수로 미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2변수 x와 y의 함수 f(x,y)가 있을 때 y를 상수로 보고 이것을 x로 미분하는 일을, 이 함수를 x로 편미분한다고 한다. 또, x를 상수로 보고 이것을 y로 미분하는 일을, 이 함수를 y로 편미분한다고 한다. 또, z=f(x,y)의 전미분(全微分) { 가 존재할 때 { 의 각각을 z의 편미분이라 한다. 앞의 전미분에 대한 식으로서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 전미분 du=fx (a,b) dx+fy (a,b) dy가 존재할 때에는 fx (a,b) dx, fy (a,b) dy를 u의 편미분이라 한다. 편도함수(偏導函數)를 구하는 일을 '편미분한다'라고 한다."
1.3. 극대 극소 함수
f(x)의 x=xo 에서의 값 f(xo )이 그것에 충분히 가까운 모든 점에서의 f(x)의 값보다 클 때 f(xo )는 극대, 작을 때 f(xo )는 극소이다. 이때의 f(xo )의 값을 극대값(극소값)이라 한다. x가 증가하면서 xo을 지날 때 f(x)가 증가에서 감소로 변하면 f(xo )은 극대이고, f(x)가 감소에서 증가로 변하면 f(xo )은 극소이다. 따라서 극소가 극대보다 클 수도 있다. f(x)가 미분가능이고, 그 도함수(導函數) f'(x)의 값이 x=xo 의 전후에서 극대이면 f'(x)의 부호는 +에서 -로 변하고, 극소일 때는 -에서 +로 변한다. 따라서 f'(x)=0 이 된다. 이것을 이용하면 극대 ·극소를 구할 수 있다. 2변수의 함수 z=f(x,y)는 곡면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곡면에서 모자의 꼭대기처럼 된 점이 극대, 사발의 밑바닥처럼 된 점이 극소이다.
1.4. 극대 극소 찾는 방법
극대 극소 찾는 방법은 미분법의 대표적인 응용으로, 곡선에 접선을 그리는 문제와 더불어 함수의 극대·극소값을 구하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방법의 기원은 역사적으로 볼 때 케플러와 페르마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케플러는 함수의 증분은 보통의 극대 또는 극소값 근방에서는 무한소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페르마는 이 사실을 극대값과 극소값...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