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힌두교와 인도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도의 음식문화
1.1. 인도의 소개
1.2. 인도 음식문화의 형성 배경
1.2.1. 자연적 배경
1.2.2. 사회적 배경
1.2.2.1. 아리안과 인도문화
1.2.2.2. 카스트 제도와 식습관
1.2.2.3. 무굴 제국과 이슬람문화 유입
1.2.2.4. 영국의 지배
1.3. 인도의 종교와 음식
1.4. 힌두교와 채식문화
1.5. 음식문화의 특징
1.5.1. 다양한 향신료 사용
1.5.2. 신성한 음식으로 간주되는 우유
1.6. 인도의 주요 음식
1.7. 인도의 식사 문화와 예절
2. 힌두 문화의 황금기, 굽타 왕조
2.1. 들어가는 말
2.2. 인도대륙의 재통일
2.2.1. 굽타 왕조의 성립
2.2.2. 힌두교의 융성
2.3. 힌두 문화의 발전
2.3.1. 산스크리트 문학의 발전
2.3.2. 과학의 발전
2.3.3. 미술의 발전
2.3.4. 육파철학
2.4. 인도 문화의 국외 전파
2.4.1. 문화 전파의 경로
2.4.2. 동남아시아의 인도화
2.4.3. 문화적 정복
2.5. 나가는 말
3. 문화인류학적 접근으로서의 인도 여성 선교
3.1. 서론
3.1.1. 연구배경
3.1.2. 연구목적
3.1.3. 연구의 중요성
3.1.4. 연구의 범위 및 한계
3.1.5. 연구 절차
3.2. 본론
3.2.1. 성경을 통한 여성의 이해
3.2.1.1.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를 통한 여성의 이해
3.2.1.2. 유대교 문화를 통한 여성
3.2.1.3. 그리스도의 행적을 통한 여성 : 요한복음을 중심으로
3.2.2.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통한 인도 여성의 이해
3.2.2.1. 힌두교를 통한 여성의 이해
3.2.2.2. 전통문화를 통한 여성의 이해
3.2.2.3. 사회를 통한 여성의 이해
3.2.3. 인도 여성 선교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3.2.3.1. 필요성
3.2.3.2. 사역의 모델들
3.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도의 음식문화
1.1. 인도의 소개
인도는 남부 아시아에 위치한 나라로, 수도는 뉴델리이다. 주요 언어로는 힌디어와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기후는 대부분 열대 몬순 기후이며, 종교는 힌두교(82.6%)와 이슬람교(11%)가 주를 이룬다. 면적은 약 316만 6,414㎢로 매우 광대하며, 남북으로 3,219km에 달한다. 주요 지형으로는 히말라야산맥, 인도 대평원, 데칸 고원 등이 있다. 인도는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음식 문화에서도 잘 드러난다.
1.2. 인도 음식문화의 형성 배경
1.2.1. 자연적 배경
인도의 넓은 국토와 다양한 지형은 인도 음식문화의 형성 배경이 되었다. 인도는 남북으로 3,219km에 달하는 광대한 영토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열대 몬순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북부의 히말라야산맥과 중부의 인도 대평원, 남부의 데칸고원 등 지역별 특색이 뚜렷한 다양한 지형이 존재한다.
인도의 북부는 히말라야 산맥이 펼쳐져 있어 추운 기후로 인해 밀이 주된 농작물이 되며, 아삼과 다즐링에서는 홍차가 많이 재배된다. 중부의 인도 대평원은 비옥한 토지를 가지고 있어 밀의 주요 생산지이다. 남부의 데칸고원 지역은 사바나기후를 띄고 있어 해산물이 풍부하게 생산되며, 동부 해안지역의 평야와 하천 지대에서는 쌀이 많이 생산된다.
이처럼 인도의 다양한 기후와 지형은 지역별로 다른 농작물과 해산물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는 인도 음식문화의 다양성을 만들어내는 자연적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2. 사회적 배경
1.2.2.1. 아리안과 인도문화
아리안족이 기원전 2000년~1500년경 인도대륙에 침입하여 토착민인 드라비다인을 정복하면서 인도문화가 시작되었다. 아리안들은 정복민으로서 선주민족인 드라비다인을 정복하고 동화시켜 가는 과정에서 사회계급 제도인 카스트제도를 확립하였고 자신만의 카스트 제도를 만들었다. 아리안의 종교는 자연신을 숭배하는 브라만교로 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담당한 사제 계급인 브라만을 중심으로 제사 의식과 신에 대한 찬양 등이 집대성된 베다문화가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브라만교는 후에 힌두교의 모태가 되었다.
아리안의 침입 이후 인도문화는 아리안과 드라비다인의 결합으로 발전해 나갔다. 아리안들은 유목민족으로 양고기, 쇠고기, 유즙, 요구르트가 주요 식품이었지만, 인도의 풍토에 맞지 않아 번성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살아남은 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소를 신성한 동물로 종교적으로 규정함으로써 도살을 방지하였다. 이에 따라 인도에서는 소를 신성시하고 쇠고기를 금기시하게 되었다. 또한 아리안이 유입하면서 브라만교가 토착의 민간신앙과 융합하여 불교 등의 영향을 받아 AD 300년경부터 힌두교로 발전하게 되었다.
1.2.2.2. 카스트 제도와 식습관
고대로부터 카스트 제도는 그의 출생선분에 따라 사회적 계급으로 사람을 구분하여 브라만(Brahman), 크샤트리아(Ksatriya), 바이스야(Vaisya), 수드라(Sudra) 4계급으로 분류하였다. 브라만 카스트에 속하는 계급은 철저한 채식 주의자인 경우가 많았고, 자신보다 상위 혹은 동일한 카스트에 속한 사람이 요리한 음식은 정화된 음식으로 생각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불결하다고 여겨 먹지 않는다. 카스트제도는 힌두식 생활 방식과 종교에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인도 사회에서 식사법은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낸다. 마누 법전에서는 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사람과 동석해서는 안 되는 계급을 기록하고 있다. 인도 사회에서는 식(食)을 공(共)히 하는 것은 사회적 행사로 여겨졌다.
1.2.2.3. 무굴 제국과 이슬람문화 유입
1526년 북인도 지역에서 무굴제국이 세워지면서 1858년까지 이 지역을 통치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인도에 이슬람교가 유입되어 인도의 제 2종교로 자리 잡게 되었다. 무굴제국의 통치 기간동안 중동의 고기문화(e.g.) 미트볼 코프테 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구운 케밥, 탄두리 요리)가 북부인도로 유입되어 인기를 끌게 되었다. 미트볼은 양고기를 다지고 다양한 향신료로 양념한 다음 꼬챙이에 꿰어 구운 요리이고, 탄두리 요리는 닭고기나 양고기 등을 특제 마리네이드에 재워 화덕에 구워내는 인도 북부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이처럼 무굴제국의 통치 하에 중동의 고기요리 문화가 인도로 유입되면서 인도 음식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2.2.4. 영국의 지배
인도는 1858년 영국의 직할지로 편입되어 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리, 독립될 때까지 약 100년간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그 동안 인도의 아쌈지방의 유명한 홍차가 영국으로 대량 수출되어 그 유명한 영국인들의 차문화를 꽃피우게 하였고, 영국인들에 의해 커리 문화가 인도로 유입되었다.
즉, 영국의 지배 기간 동안 인도 음식문화는 영국의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다. 차와 커리가 대표적인 예로, 영국인들에 의해 인도로 유입되었으며 지금까지도 인도의 주요 음식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영국의 지배는 인도 음식문화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1.3. 인도의 종교와 음식
인도인들은 힌두교, 이슬람교, 시크교, 기독교 불교 등 여러 가지 종교를 가지고 있지만, 그 중 80%는 힌두교로 인종과 언어가 다양한 인도 국민들의 정신적 구심점이 되고 있다. 아리안의 브라만교는 토착의 민간신앙과 융합하여 불교 등의 영향을 받아 AD 300년경부터 힌두교로 발전하였다. 그 후 무굴제국의 침입(16세기)으로 이슬람교가 들어왔으며, 현재는 힌두교 다음으로 이슬람교도의 수가 많다.
힌두교에서는 육식을 '주타' 라고 하여 불결한 것으로 여기므로 채식주의를 실천한다. 또한 암소를 신성시하고 쇠고기를 금기시한다. 반면 이슬람교에서는 할랄과 하랄의 계율을 지키며 쇠고기와 양고기를 선호하고 돼지고기를 금기시한다. 힌두교에서 암소를 신성시하는 이유에 대한 이론은 여러 가지이다. 첫째로, 인도에서는 무엇이든 살아있는 것을 죽이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소는 '신성한 동물'로 짐을 나르고 우유와 치즈 등을 식량으로 끊임없이 제공해주고 분뇨는 연료로 이용됨으로써 도살로 단순히 고기를 소비해버리는 것보다는 살려두고 이용하는 것이 더 가치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사회생태학적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인도에서 소를 신성시하고 쇠고기를 금기하게 된 것은 아리안들의 인도 침공 이후이다. BC 2000년 무렵 아리안들이 인도를 침공하여 들어올 때 자신들의 소를 가져왔다. 아리안들은 유목민들로 양고기, 쇠고기, 유즙, 요구르트가 주요 식품이었다. 따라서 소를 잡아 고기를 먹는 것보다는 우유와 유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많은 사람들을 먹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암소가 종교적으로 신성시됨으로써 소에서 나오는 우유는 물론, 우유의 기름을 정제한 기(ghee), 심지어 분뇨까지도 신성시된다. 인도인들은 음식에 기를 뿌리면 정화된다고 믿을 정도였다.
1.4. 힌두교와 채식문화
힌두교에서는 육식을 '주타' 라고 하여 불결한 것으로 여기므로 채식주의를 실천한다. 또한 암소를 신성시하고 쇠고기를 금기시한다. 이는 경제적, 사회생태학적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리안들이 인도를 침략할 당시 자신들의 소를 가져왔지만 인도 기후에 적응하지 못해 번성하지 못했다. 따라서 소를 신성한 동물로 여겨 도살을 방지하였는데, 소에서 나오는 우유와 유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많은 사람들을 먹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암소가 종교적으로 신성시됨에 따라 우유, 기(ghee), 심지어 분뇨까지도 신성한 것으로 여겨졌다. 힌두교에서는 술과 고기를 '주타'라고 하여 오염된 음식으로 간주하며, 금기시하고 있다. 채식을 지키는 사람이 인도인의 30% 정도이며, 특히 브라만층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자이나교도들은 모든 생명체에 해를 가하지 않기 위해 가장 엄격한 채식주의를 실천한다.
1.5. 음식문화의 특징
1.5.1. 다양한 향신료 사용
'마살라' 는 힌두어로 향신료를 뜻하며 여러 향신료와 허브를 합쳐 간 것도 마살라 라고 한다. 이렇게 다양한 향신료가 발달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의 더운 날씨에서 비롯되는데, '향신료의 나라' 라고 불릴 만큼 수백가지의 향신료가 있다. 샤프란은 크로커스라는 식물의 암술을 말린 것을 사용하는데 색을 내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소량을 사용해도 진한빛깔과 얼얼한 향을 낼 수 있다. 파슬리는 신선한 채로 많이 쓰는데 잎은 뜯어서 샐러드로 쓰고 다져서 즙을 내어 소스나 드레싱에 쓰기도 한다. 월계수잎은 스튜나 쇠꼬리수프, 소스 등에 다양하게 쓰이는데 특히 양고기의 냄새를 없애거나 갈비절임에 좋다. 로즈마리는 말린 것은 육류요리에서 향을 내기 위해 사용하며 특히 양고기와 돼지고기를 굽거나 졸이는데 많이 쓰인다. 계피가루는 페스트리, 빵, 푸딩, 캔디 등에 통계피는 과일조림, 피클, 수프 등에, 계피오일은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후추는 오래도록 쓰여져 온 대표적인 향신료이다. 중세기 후추의 가격은 금값과 비교될 만큼 비싸서 일반인들에게는 신비의 약초로 알려짐이다.
1.5.2. 신성한 음식으로 간주되는 우유
인도의 음식문화에서 우유는 신성한 음식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인도의 오랜 역사와 경제적 및 종교적 배경에서 기인한다.
우선 인도에서 암소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지며, 암소의 고기를 먹는 것은 금기시되었다. 이는 아리안족의 인도 침략 이후 발전한 것으로, 유목민이었던 아리안족이 자신들의 소를 데리고 와 번성하지 못하자 소를 보호하기 위해 신성하게 여기게 되었다. 또한 소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우유와 낙농품을 제공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힌두교에서 우유와 우유 제품은 신성한 물질로 간주된다. 힌두교에서는 "빤짜가뱌"라고 하여 우유, 요구르트, 버터 등 소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음식이 정화의 의미를 가진다고 여긴다. 특히 버터기름인 "기이(ghee)"는 의례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힌두 가정에서는 음식에 기이를 두루 사용한다. 이처럼 우유와 유제품은 종교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인도인들은 우유와 유제품을 신성한 음식으로 여기고 있으며, 암소를 보호하고 경제적 자원으로도 활용하는 등 우유 문화가 깊이 뿌리박혀 있다고 볼 수 있다.
1.6. 인도의 주요 음식
인도의 주요 음식은 북부인도와 남부인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북부인도에서는 빵이 주식이며 채식주의자가 많다. 금속제 그릇을 사용하고, 이슬람교도들이 ...
참고 자료
조길태, 1994,
김도영, 12억인구를 만나다, 서울: 북치는 마을, 2013.
이광수, 마누법전, 서울: 한길사, 1999.
김원쟁, 여성의 정신 건강과 종교,「대학과 선교」 Vol. 7, 200.
이기태,인도힌두여성의일상생활, 한국:비교민속학회, 2011.
류경희,인도여신신화와여성정체성종교연구, 한국:한국종교학회, 2006.
Bruce J. Malina,신약의 세계(The New Testament World), 심상법 역,솔로몬, 1999.
Charles Kraft, 기독교문화인류학(Anthropology for Christian Witness), 안영권역), 기독교문서선교회,2005.
Mary J. Evans, 성경적여성관,정옥배역, 서울:IVP, 1992.
Paul G. Hiebert, 선교와문화인류학(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김동화 외 3인 역,죠이선교회, 1985.
, 21세기선교와세계관의변화(Transforming Worldviews: An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How People Change), 홍병룡역,복있는사람, 2008.
Sherwood G. Lingenfelter,변화하는기독교문화(Transforming Culture), 장훈태역, CLC, 2009.
Susan G. Kollanadeu, 지구촌 문화 탈출기-인도(Curious Global Culture Guide-India),박선영 역, 서울:휘슬러, 2005.
Ekkehard W. Stegemann외 1명, The Jesus Movement: A Social History of its First Century, Minneapolis: Fortress Press,1999.
Ivoni Richter Reimer, Women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 Feminist LiberationPerspective, Minneapolis: Fortress Press,1995.
Paul Veyne, The Roman Empire, Cambridge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W. E. Oesterley외 1명, The Religion and Worship of the Synagogue, London, 1911.
김보경, 인도기업의 고위직 여성 증가http://www.globalwindow.or.kr/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5002268, 2013.4.24
박세희,“여자는 생리를 하기에 사원에 들어올 수 없다'는 율법에 인도 여성들이 분노했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5/11/24/story_n_8635296.html,2015.11.24
변상이,http://bbs.kcm.co.kr, 한국선교사 현장 보고서/인도 사역보고(3), 2000.10.01.
선교한국,인도 : 과부들이 힘든 삶을 살아가다http://home.missionkorea.org/bbs/board.php?bo_table=missionnews&wr_id=6&page=14&page=14, 2012.10.24,
유네스코, http://www.uis.unesco.org/das/Country/Literacy?code=IND®ioncode= 40535&SPS Language=EN
Allights village, http://alllightsblog.org/120207565437, 2014.02.14
YWCA of india1, http://ywcaindia.org
YWCA of India2, https://www.flickr.com/photos/meckleychina/4418671972
women of Coopa-Roca1, http://theplanetd.com/real-rio-experiencing-rio-de-janeiros-favelas/
women of Coopa-Roca2, http://favelization.net/fashion-1/
복음과문화에대한윌로우뱅크보고서(The Willowbank Report on Gospel and Culture), http://www.lausanne.org/willowbank-1978/lop-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