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1.1. 가장 인상 깊었던 강의
제5강의 '기후와 관련된 재해이야기Ⅰ(영화_투모로우)'가 가장 인상 깊었다. 과거에 본 적이 있는 영화라 더 흥미가 가기도 하였고 전반적으로 기후 관련 재해를 다루었기 때문에 이 강의를 듣는 취지에도 잘 부합되었다. 특히나 활화산이 80여개 있고 지진활동도 활발한 일본이 바로 옆 나라다 보니 새삼 남의 일이 아님을 느꼈다. 지진은 여파로 어느 정도 피해가 올 것이라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화산 같은 경우에 화산 재류가 우리나라까지 와 피해를 줄 것이라 생각하지 못했었다. 또한 백두산 또한 안심할 처지는 못 된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1.2. 강의의 좋았던 점과 개선점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과목을 수강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각 재해 관련 영화를 통해 해당 재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화산, 토네이도 등 한국에서 잘 일어나지 않는 재해들에 대한 영화가 큰 도움이 되었다. 더불어 영화의 허와 실을 구분하여 다룬 것도 좋았는데, 이를 통해 영화 속 과장된 표현들과 실제 재해의 특징을 구별할 수 있었다. 또한 두 차례 실시된 토론 시간도 인상 깊었는데, 토론을 통해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공고히 하고 새로운 관점을 배울 수 있었다.
한편 개선이 필요했던 부분은 중간고사 시험문제의 양이었다. 문제가 너무 많아 시간이 부족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또한 최근 영화가 활용되지 않아 영상의 화질이나 연출이 다소 고지기했다는 점도 아쉬웠다. 그 외에는 강의 내용과 방식에 대해 특별히 개선점을 찾기 어려웠다.
1.3. 지구의 기후 변화 주기
1.3.1. 지구 자전축 기울기 변화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약 41,000년 주기로 변화한다. 이 기울기가 약 22.1°부터 24.5°까지 변화하며, 현재는 약 23.5°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전축 기울기의 변화는 계절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자전축의 기울기가 작아질수록 여름에는 적은 태양복사열을 받고 겨울에는 더 많은 태양복사열을 받게 된다. 즉, 계절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 차이가 감소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작아지며 낮의 길이도 짧아진다. 이를 통해 자전축 기울기 변화가 지구의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는 천체의 자전축과 공전축 사이의 각도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자전축 기울기 변화는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과 도달 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지구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1.3.2. 타원형 공전궤도 변화
1.3.3. 자전축 23.5° 경사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은 약 23.5°도이며, 이 경사각은 약 41,000년의 주기로 22.1°에서 24.5°의 범위 내에서 변화한다. 현재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은 23.5°이며 점점 작아지는 추세에 있어 약 10,000년경에 최솟값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작아질수록 여름에는 적은 태양복사열을 받고 겨울에는 더 많은 태양복사열을 받게 된다. 즉, 계절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 차이가 감소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작아지며 여름과 겨울에 태양의 남중고도 차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작아진 태양의 남중고도에 의해 낮의 길이도 현재보다 짧아지게 된다.
이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