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살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1.2. 건강력
1.2.1. 현병력
1.2.2. 과거병력(투약력 포함)
1.3. 발달단계
1.4. 가족력
1.5. 대상자 건강관련 정보
1.6. 정신상태사정
1.7. 임상심리 및 임상병리검사 결과
2. 치료 내용
2.1. 약물치료
2.2. 기타 치료
3. 간호진단, 계획, 수행 및 평가
3.1. 간호진단
3.2. 간호목표
3.3. 간호계획 및 수행
3.3.1. 진단적 중재
3.3.2. 치료적 중재
3.3.3. 교육적 중재
3.4. 간호평가, 재조정
4. 자살의 예측 변인, 자살 위험에 대한 평가
4.1. 자살의 예측 변인
4.1.1. 현재 자살 계획
4.1.2. 이전 자살 행동
4.1.3. 자원
4.2. 자살 위험에 대한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1.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77세의 여성으로 중졸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결혼 상태는 별거 중이며, 원불교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아들에게 벽돌공장을 물려준 후 주부생활을 하고 있으며, 취미는 집 살림하기(반찬 만들기)이다. 현재 입원일자는 2019년 4월 16일이다.
1.2. 건강력
1.2.1. 현병력
주요 우울장애(MDD, major depressive disorder)/ 우울증 진단을 받고 약 1년 이상 정신과 치료를 받는 중이며, 자택에서 약을 제대로 먹지 않고 모아두었다가 1주 전 자택에서 자살 시도하여 가족의 권유 및 보호 관찰이 필요하다는 담당의 판단으로 치료받기 위해 입원했다""
1.2.2. 과거병력(투약력 포함)
30대에 우울, 불안 증상의 재발과 호전이 지속적으로 있었지만 참고 살았고, 2018년 11월에 증상이 심해져 동네 병원에 방문했지만 입원은 필요 없다고 하여 약만 처방받았는데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라고 한다. 2019년 4월 심장문제로 인해 아산병원에 방문하였는데 우울 증상 치료 권유 받아서 본원 외래 진료 후 입원 권유 받아 일주일 동안 요양 병원에 있다가 본원에 자의입원으로 개방 병동에 입원 중이라고 한다. 즉, 오랜기간 동안 우울증과 불안 등의 정신과적 증상을 겪어왔고, 이번에 심장 문제로 병원을 방문했으나 우울증 치료를 위해 본원에 입원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1.3. 발달단계
발달단계
대상자는 70대 초반의 여성으로, 아동기에는 태어날 때부터 경제적으로 좋은 가정환경에서 자랐으며 활발하고 사교적인 성향을 보였다. 학령기와 청소년기에도 대인관계와 학업 등에 큰 문제는 없었다.
성인기 초반에는 떡가게, 미곡상회, 벽돌공장 등의 직업을 가지며 활발하게 일했으나, 남편이 다단계로 인해 경제적 문제를 겪으면서 가족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녀들에게 하고 싶은 것들을 해주지 못한 것에 대해 미안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중년기에는 남편으로부터 학대를 당하면서 별거를 하는 등 정신적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고, 이로 인해 우울과 불안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하지만 자녀들과의 관계는 협력적이고 지지적이었다.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질환들이 발생하였고, 특히 2011년에는 심장 스텐트 수술을 받았으며, 2014년에는 녹내장과 백내장 진단을 받았다. 또한 2015년에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 추가로 진단되었다. 이러한 신체적 질환들로 인해 일상생활에도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었다.
2011년부터는 우울, 불안감이 지속되어 오다가 2018년에는 증상이 심각해져 병원을 찾게 되었고, 결국 2019년 4월에 본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종합해보면, 대상자는 경제적 어려움, 남편의 학대, 만성적인 신체 질환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이로 인해 오랜기간 동안 우울, 불안 증상을 경험해 온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들과의 관계는 지지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1.4. 가족력
대상자의 가족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가족 중 당뇨,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와 우울증이 대상자의 가족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남편은 가족에게 관심이 없고 여러 다른 여자와 살림을 차렸으며, 어렸을 때부터 아내와 자식을 학대해 왔다. 이에 반해 대상자의 가족들과는 지지적이고 협력적이며 상호작용이 잘 되는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 가족들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는 중간 정도 수준이다."
1.5. 대상자 건강관련 정보
대상자의 신체 건강 상태를 살펴보면, 신장 153cm, 체중 56.5kg의 보통 체격의 여성이다"" 활력징후는 정상 범위 내에 있으나 고혈압, 고지혈증, 제2형 당뇨병, 우울증, 만성 위염, 급성 방광염 등 다양한 질병을 앓고 있다"" 특히 2011년 심장 스텐트 수술, 2014년 오른쪽 눈 녹내장 및 왼쪽 눈 백내장 진단을 받는 등 만성적인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음주와 흡연은 하지 않으며, 규칙적으로 당뇨식 식사를 하고 스스로 개인위생을 잘 관리하는 등 전반적인 건강 관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다만 변비, 요실금, 잔뇨감, 빈뇨 등의 비뇨기계 증상이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면 시간이 평균 10시간으로 적절하나, 불안과 우울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 가능성이 있다""
1.6. 정신상태사정
대상자의 정신상태를 사정한 결과, 감정장애, 지각장애, 행동장애 등 다양한 증상을 보였다.
먼저 전반적 외양을 살펴보면 자세는 똑바르고 안경을 착용하고 있으며, 위생상태가 양호한 편이었다. 그러나 불안감은 없어 보였지만 웃는 모습이 관찰되지 않았고, 자주 하품하는 등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사고 장애를 살펴보면 사고 과정에 있어 비약적으로 생각이 전환되거나(flight of ideas), 논리적 연관성이 없는 비관련적 발언(irrelevant)을 하는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자신이 해를 당할 것이라는 피해 의식(persecutory delusion)도 나타났다.
지각 장애 면에서는 귀신이 문을 두들리는 것 같은 환각(auditory hallucination) 증상을 호소하였다. ...
참고 자료
정신간호총론 제7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정신건강간호학(2020). 현문사. Margaret Jordan Halter 외. 김수진 옮김.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2016). JMK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Depression: The evolution of powerlessness, Classic edition(2016). researchgate. University of Derby. Paul Gilbert
논문: 「자살과 위기중재」(2012). 대한의사협회지. Vol.55, no.4, 통권 627호. p341-348. 김성완 외.
논문: 「Major depressive disorder」(2020).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hysician Assistants. Vol.33, Issue4. p19-20. Giannelli, Frank R. MS
약학정보원: www.health.kr
Ref. 정지영. (2014). 정신장애인의 외상경험과 자살위험성(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Ref.최웅용. (2001). 불안에 대한 불안: 불안장애 진단에 있어서의 새로운 시각. 사회과학연구, Vol.9, pp. 380.
Ref.김인홍. (2000).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운동요법과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9(3,) p 328-343
Ref. 에릭 캔델, 래리 스콰이어. (2016). 기억의 비밀. p302. 해나무
Ref. 대외협력팀. (2018). 치매. 서울: 국립정신건강센터.
Ref: 민성길. (2019). 적응장애
https://ko.wikipedia.org/wiki/%EC%A0%81%EC%9D%91_%EC%9E%A5%EC%95%A0.
Ref. 국립정신건강센터 . (n.d.).
http://www.ncmh.go.kr/kor/board/snmhHtmlView.jsp?no=1246&menu_cd=K_03_05_00_06_00.
Ref. 사회적고립, 자살위험성, 사고과정장애, 자해위험성, DSM-Ⅳ 진단 . (2013).
http://m.blog.daum.net/glloldorat/25.
Ref. 이선영. (2004). 흥미 유발 학습 자료를 통한 학습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碩士)).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서울.
Ref.양수, 이경순, 이정섭, 권혜진, 이미형, 오경옥 외. (2016). 정신건강간호학. p188~415. 제 5판. 서울 : 현문사.
Ref. 유문자. (2011). 칭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위논문(석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상담교육, 충청북도.
Ref. 성혜선. (2006). 약속 위반에 대한 이해 능력의 발달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서울.
박정애. (2010). 우울증 치료 시 항우울제 선택에 관한 비용-효과 분석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사회약학 전공 , 서울.
남기선. (2017). 불안장애환자의 항불안제 복용 경험과 남용 요인(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서울.
한국의 사회문제 : 김영재, 신미애 저, 윤성사, 2019
사회문제의 경제학 : 헨리 조지 저, 전강수 역, 돌배게, 2013
사회문제의 핵심 : 루돌프 슈터이너 저, 최혜경 역, 밝은누리,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세계화와 사회문제, 김정규 저, 에듀컨텐츠휴피아, 2017
사회문제의 이해 : 정현주 저, 대왕사, 2014
현대사회문제 이론과 실제 : 이철우 저, 학지사,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