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바의 자녀로서의 정체성
1.1. 부족한 자아상과 하나님에 대한 불신
소설 '칠면조'에 등장하는 인물 룰러는 부족한 자아상과 하나님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다. 그는 항상 모든 일에 삐딱한 태도를 보이며, 특히 하나님이 우리를 도와주신다는 사실에 대한 불신감이 컸다. 그러나 칠면조 사냥에 성공하고 나서 하나님이 자신의 기도를 들어주신다는 생각을 어렴풋이 가지게 되었다.
이처럼 룰러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하나님에 대한 불신을 보여준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이 자신에게 무엇인가를 주었다 빼앗았다 할 때마다 자신의 태도와 감정이 변하는 것처럼, 룰러도 자신에 대한 평가를 하나님께 투사하고 있다. 이는 "하나님은 인간을 자기 형상대로 지으셨"기 때문에 나를 미워할 때 하나님도 나를 미워하실 줄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상 하나님은 항상 우리에게 애정과 긍휼을 품고 계시며, 우리의 죄와 잘못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사랑으로 우리를 대하고 계신다. 때문에 우리가 죄책감 때문에 하나님께 다가가지 못하고 숨어 지내거나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모습이 바로 '거짓 자아'를 소유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부족한 자아상과 하나님에 대한 불신에서 벗어나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받는 자"로 부르시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임으로써 진정한 자유와 치유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1.2. 참된 자아와 거짓 자아
우디 앨런의 영화 '젤리그'의 주인공 레오나드 젤리그는 자신만의 성격이 없어 다른 사람의 성격을 그대로 따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거짓 자아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거짓 자아는 두려움 속에서 살아가며, 타인의 인정과 수용에 집착하게 된다. 이러한 거짓 자아는 감정을 억누르거나 위장하여 자신의 완벽한 이미지를 어필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자신의 공허하고 텅 빈 실상을 직면하지 못하게 되며, 내면의 어두움을 인정하지 않게 된다. 이는 우리 안에 내주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우리의 시선을 멀어지게 하고, 성령의 기쁨을 앗아가게 된다.
거짓 자아는 첫째로 성취감에서 정체성을 얻으려 하며, 외모나 지위와 같은 외적 요소에 집착하게 된다. 둘째로는 대인관계에서 정체성을 얻으려 한다. 거짓 자아는 유명인과 어울려 자신도 중요한 사람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받고자 한다. 하지만 거짓 자아는 어떤 관계에서도 진정한 친밀함을 느낄 수 없다.
이처럼 거짓 자아에 빠져있는 사람들은 자기기만의 틀인 유년기 억압된 기억과 점점 커가면서 늘어나는 비겁함으로 인해 진정한 자아를 드러내지 못한 채 살아가게 된다. 이들은 하나님께서 자신들을 평화의 도구로 사용하고자 하신다는 말도 안 되는 논리로 자신들의 행동을 합리화한다. 하지만 이는 결국 죄의 삶과 다름없다. 참된 자아로 살아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외면하고 거짓 자아에 머무르는 것이 죄악인 것이다.
거짓 자아에 빠진 우리는 하나님조차도 거부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의 가장 간절한 갈망은 하나님을 더 분명히 보고, 깊이 사랑하며, 가까이 믿고 따르는 것, 즉 인생의 본연적 목적을 실현하는 것이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참 심정을 보여주시며, 우리에게도 그분의 긍휼과 이해를 베푸신다.
참된 자아는 자신이 하나님으로부터 사랑받고 호의를 받는 존재라는 것을 아는 순간 그 정체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충실한 기도생활이 필요하다.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자신이 하나님께 사랑받는 존재라는 사실을 알아가야 한다. 이처럼 "사랑받는 자"라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 참된 자아의 기초적 핵심이 된다.
우리는 자신이 쓸모없는 자라는 부정적인 목소리들을 차단하고, 고독 속에서 자신이 사랑받는 자라는 진리를 깨달아야 한다. 이러한 정체성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하나님의 불가항력적 애정 안에서 안식을 누리게 된다.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을 느낄 때, 우리는 더 이타적인 사랑을 베풀 수 있고 밝은 모습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고요한 고독을 실천하면 우리는 스스로 활력을 찾을 수 있게 된다.
1.3. 사랑받는 자로서의 참된 자아
참된 자아는 자신이 하나님으로부터 사랑받고 호의를 받는 존재라는 것을 알 때 발견할 수 있다.""
거짓 자아는 과거의 성취와 타인으로부터의 인정에서 정체성을 얻지만, 참된 자아는 자신이 하나님으로부터 사랑받는 존재라는 것을 알 때 진정한 정체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참된 자아를 얻기 위해서는 인간은 더없이 충실한 묵상기도의 삶을 추구해야 한다.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진정으로 자신이 하나님께 사랑받는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면, 그 삶이야말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참된 삶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이 쓸모없는 자라는 부정의 목소리들을 차단하고, 고독 속에서 자신이 사랑받는 자라는 진리가 참된 진리임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정체성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하나님의 불가항력적 애정 안에서 안식을 누리게 된다.""
저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