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육과 계층이동에 대한 기능론적 관점의 비판
1.1. 교육기회 균등의 가정 비판
기능론적 관점에서는 교육기회의 균등을 전제로 하고 있다. 즉 현 사회는 균등한 교육기회를 통해 개인의 능력이 발휘되어 개인의 능력에 맞는 사회구조가 이루어져 왔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은 적절하지 않다.
실제로 교육기회의 균등은 실현되기 어려운 이상이다. 가정 배경, 경제적 수준, 지역 등에 따라 교육기회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교육기회의 균등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부모의 경제력, 지역, 성별 등 개인의 배경과 조건과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동등한 교육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상위 계층 자녀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고, 하위 계층 자녀들은 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우가 많다.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사교육 이용 정도나 학업 성취도가 달라지는 등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달성되기 어렵다. 이는 교육을 통한 사회 이동성이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기능론적 관점의 교육기회 균등 가정은 실제 현실과 부합하지 않으며, 교육을 통한 계층 이동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개인의 능력과 사회적 지위 관계 비판
기능론적 관점에서는 개인의 능력과 사회적 지위 간의 관계를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이는 현재의 자본주의 체제를 정당화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비판론자들은 개인의 능력과 사회적 지위의 관계가 결코 공정하거나 정당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우선 기능론적 관점은 개인의 능력이 학업 성취도와 정비례한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가정 배경이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 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즉, 교육기회의 균등성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개인의 노력과 능력만으로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다는 주장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더불어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부의 상속이나 특권계층의 존재로 인해 개인의 능력과 무관하게 사회적 지위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따라서 기능론적 관점에서 주장하는 개인의 능력과 사회적 지위의 관계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것이며, 실제로는 교육기회의 불평등, 빈부격차, 계층 고착화 등의 문제가 개입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1.3. 고교 평준화제도의 문제점
고교 평준화제도는 1974년에 도입되어 지역별로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치러 추첨을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학생들을 나누어 배정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