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도정맥류 출혈위험성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식도정맥류 출혈의 개요
2.1. 정의 및 병태생리
2.2. 원인
2.3. 증상
3. 진단 검사
3.1. 내시경 검사
3.2. 혈액 검사
3.3. 방사선 검사
4. 치료
4.1. 내과적 치료
4.2. 내시경적 치료
4.3. 수술적 치료
5. 간호중재
5.1. 출혈 관리
5.2. 수액 및 전해질 관리
5.3. 영양 관리
5.4. 감염 관리
5.5. 환자 교육
6. 예후 및 합병증
7. 사례 보고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이 레포트는 식도정맥류 출혈에 관한 문헌고찰 내용을 담고 있다. 서론에서는 실습 중 식도 관련 질병에 대한 관심과 식도정맥류 출혈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 질환은 간경변 환자에서 가장 치명적인 합병증 중 하나로, 응급실에 입원하는 경우가 많아 관찰할 수 있었고 근본적인 원인이 궁금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임상적인 지식을 확장하고자 하는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2. 식도정맥류 출혈의 개요
2.1. 정의 및 병태생리
식도는 인두와 위 사이의 약 25~30cm의 소화기관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곧으며, 꿈틀운동(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위 내로 이동시킨다. 양쪽 끝은 조임근이 존재하여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음식물이 인두 내로 들어오게 되면 상부식도 조임근이 이완되어 음식물을 식도로 들어가게 한다. 음식물이 식도 내로 들어온 후에는 조임근이 닫혀 역류를 방지한다. 식도 벽은 근육층이 존재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연동운동이 이루어지며, 음식물이 아래로 내려가면 하부식도조임근이 열리면서 위 내로 음식물을 이동시키고, 이후 하부식도조임근이 닫혀서 위 내로 들어간 음식물이 식도 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식도의 구조는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층, 외막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위장관과는 달리 식도는 장막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다. 식도 정맥류는 문맥압 상승에 의해 보통 식도 하부 점막 하에서 발견되는 식도 정맥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한다. 간경변증 등으로 인해 간문맥에 혈액이 고여 문맥압이 높아질 경우 식도의 정맥 쪽으로 흐르는 혈류가 많아지면서 식도 정맥이 확장되어 크기가 증가한다. 혹처럼 부풀어 올라 확장된 정맥을 정맥류라고 하는데, 이 식도 정맥류가 터지면 토혈이나 흑색변, 혈변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저혈량 쇼크에 빠져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2.2. 원인
식도정맥류 출혈의 원인은 대부분 문맥압 항진증에 의한 것이다. 문맥압 항진증은 간경변증, 주혈흡충증, 문맥혈전증, 비장정맥 혈전증, 동정맥루, 간의 동폐쇄증후군, 바드-키아리 증후군, 우측심부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간경변증이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만성적인 간 실질의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간 구조가 변형되어 혈류 통로가 막히게 되면서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맥계 혈관에 과도한 혈액이 역류하게 되고, 식도와 위 점막 하 혈관이 확장되어 정맥류가 형성된다. 정맥류가 파열되면 대량의 출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간 기능 저하로 응고 인자 합성이 저하되어 출혈 경향이 높아지기도 한다."
2.3. 증상
식도정맥류 출혈의 주요 증상은 토혈과 흑색변이다. 대량의 토혈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상황으로, 환자는 선홍색의 피를 토하게 된다. 또한 소화관 내 출혈이 지속되면 위장을 통해 내려가다 흑색변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외에도 환자는 저혈량성 쇼크 증상을 보일 수 있는데, 갑작스러운 어지러움, 정신혼미, 저혈압, 빠른 심박동, 차고 축축한 피부,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의식 소실까지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는 대량 출혈과 그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 진단 검사
3.1. 내시경 검사
내시경 검사는 식도, 위, 십이지장을 직접 관찰하여 정맥류와 같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는 필수적인 진단 방법이다.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정맥류의 위치, 크기, 색조를 분류할 수 있으며, 출혈 부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검사 시 기도 흡인 예방을 위해 환자는 좌측 또는 반좌위를 취하고, 검사 중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한다. 내시경 검사 후에는 처치로 인한 불편감과 합병증 발생 여부를 관찰한다. 내시경 검사는 식도정맥류 출혈의 진단과 지혈치료에 필수적이며,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 수면 하 검사를 실시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식도정맥류 출혈의 원인을 명확히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3.2. 혈액 검사
혈액 검사는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의 진단과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다.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의 혈액 검사 결과는 출혈로 인한 혈액 성분의 변화와 전해질 불균형을 보여준다. 우선 적혈구 지표인 적혈구 수(RBC), 헤모글로빈(Hb), 헤마토크릿(Hct) 등이 감소하여 빈혈을 시사한다. 또한 적혈구 용적률을 나타내는 MCV, MCH, MCHC 등의 지표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보아 출혈성 빈혈의 특징을 나타낸다.
더불어 혈소판 수(PLT)가 감소하여 출혈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프로트롬빈 시간(PT),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이 지연되어 있어 응고 장애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간경변증으로 인한 응고인자 결핍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전해질 검사에서는 식도정맥류 출혈과 관련된 탈수로 인해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등의 전해질 불균형이 관찰된다. 특히 총 이산화탄소(Total CO2) 수치의 감소는 대사성 산증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다양한 혈액 검사 지표의 변화를 통해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의 병태생리와 치료 경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이다.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기본간호학 1, 2(2018)/ 현문사/ 양선희 외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2010)/ 포널스출판사/ 김정애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2016)/ JMK
나이팅게일핸드북(2016)/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편저/ 포널스
Nursing Care Plans. 9th Edition/ Marilynn E. Doenges, Mary Frances Moorhouse, Alice C. Murr/ F.A DAVIS COMPANY
Sparks and Taylor's Nursing Diagnosis pocket guide 3rd edition(2017)/ Linda Phelps
Nursing Diagnosis Handbook: An Evidence-Based Guide to Planning Care(2013)/ ELSEVIE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연구자료: 『Endoscopic variceal ligation compared with endoscopic injection sclerotherapy for treatment of esophageal variceal hemorrhage: A meta-analysis』/World J Gastroenterol/ 2015 Feb 28 by Cong Dai, Wei-Xin Liu, Min Jiang, and Ming-Jun Sun * Link↴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342933/
정승원 외 9인,「위식도정맥류 출혈의 예방과 치료」,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Vol. 40, No. 2 February, 2010 (71-83)
정맥류 출혈의 분류와 적절한 지혈방법,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현문사, 2017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 7판)」, 현문사, 2017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I」, 수문사, 2020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II」, 수문사, 2020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경기: 수문사; 2020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tests-index
한양대학교병원 > 건강정보 > 검사/수술정보 https://seoul.hyumc.com/seoul/healthInfo/examination.do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이윤미 외 201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김진희 외 2020, 응급간호 및 재난간호, 고문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tests-index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MobileSubMain.do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양선희 외. 2013.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내과전공의를 위한 진료지침-호흡기분과. p422
송경애 외. 2013. 기본간호학(상). 수문사
송경애 외. 2013. 기본간호학(하). 수문사
고신옥 외. 2006. 중환자의학. 대한중환자의학회
강지연 외. 2015. 순환-호흡기계 중환자간호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 9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2018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