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로결석 사례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로결석의 이해
1.1. 정의
1.2. 구조와 기능
1.2.1. 콩팥
1.2.2. 요관
1.2.3. 방광
1.2.4. 요도
1.3. 병태생리
1.3.1. 요로결석의 형성 과정
1.3.2. 결석의 종류
1.4. 원인
1.4.1. 수분 섭취 부족
1.4.2. 식이 요인
1.4.3. 약물 요인
1.4.4. 기타 요인
1.5. 임상증상
1.6. 진단
1.6.1. 임상병리 검사
1.6.2. 방사선 검사
2. 요로결석의 치료
2.1. 보존적 치료
2.2. 약물 치료
2.3. 수술적 치료
2.3.1. ESWL (체외충격파쇄석술)
2.3.2. 내시경적 수술
2.3.3. 개복 수술
3. 요로결석의 예방
3.1. 정기적 확인 검사
3.2. 수분 섭취 증가
3.3. 요로감염 조기 치료
3.4. 약물 요법
4. 간호중재
4.1. 통증 관리
4.2. 배뇨 장애 관리
4.3. 교육 및 상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요로결석의 이해
1.1. 정의
요로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의 요로에 생긴 돌을 말하며, 요로결석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소변 흐름의 장애와 애로 인한 통증,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간혹 신장 기능의 손상을 일으킨다.
1.2. 구조와 기능
1.2.1. 콩팥
콩팥은 한 쌍의 복막뒤장기로서 좌, 우에 위치하는 강낭콩 모양의 장기이다. 오른콩팥은 간 아래에 있어서 왼콩팥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며 12번째 갈비껴 수준에 있다. 콩팥의 무게는 115~175g이고 크기는 약 12cm, 폭이 5~7.5cm, 두께가 약 2.5cm 정도이다.
콩팥의 주요 기능은 혈액을 여과시켜 신체의 내적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과의 결과로 소변이 생성되며 재흡수와 분비의 복합적인 과정이 포함된다. 사구체여과, 요세관 재흡수와 분비 등의 과정을 통해 체액량 및 전해질의 조절, 균형 조절, 혈압 조절, 대사와 내분비 기능 등을 수행한다. 뇌하수체 후엽의 ADH, 부신의 알도스테론 등은 콩팥에서 직접 수분과 나트륨의 재흡수를 증가시켜 체액량을 보충한다. 또한 혈장 중 완충제인 HCO3-와 H2CO3를 조절하여 혈액의 pH를 7.4로 유지한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는 혈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작용하며, 비타민D의 활성화, 적혈구 형성인자의 생성, 인슐린의 분해 등의 대사와 내분비 기능도 수행한다."
1.2.2. 요관
요관은 신우 아래쪽 좁아지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방광 바닥까지 이르며 소변을 운반하는 기관이다. 요관의 길이는 26~30cm이고 직경은 0.2~0.8cm 정도이다. 방광이 압박되더라도 방광 내 소변이 요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소변은 요관 근육층의 꿈틀운동을 통해 방광으로 내려진다. 요관은 신우와 방광 사이에 위치하여 신우에서 내려온 소변을 방광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요관의 생리적 기능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것이다. 요관에 발생한 결석으로 인해 소변 배출이 방해받게 되면 요통, 혈뇨, 감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1.2.3. 방광
방광은 치골결합 뒤쪽 골반 속에 들어 있는 근육성의 주머니이다. 방광은 방광꼭대기, 방광몸통, 방광바닥, 방광목 4부분으로 구분된다. 방광은 요관으로부터 들어온 소변을 배설할 때까지 저장한다. 대략 처음 25mL의 소변이 축적되면 방관내압이 상승되고 소변이 500ml 이상 되면 압력이 현저히 증가하여 배뇨를 시작할 때 치솟는다. 배뇨에 대한 첫 번째 충동은 150mL가 찼을 때 느끼고 현저한 충동은 주로 400mL 정도 찼을 때 느낀다. 방광근육이 수축하면 압력에 의해 소변은 요도를 통해 나가게 된다.
1.2.4. 요도
요도는 방광의 바닥에서부터 신체 표면까지 연결되어 있는 관이다. 방광의 내압이 상승하고 배뇨근이 수축되면 방광을 다 비울 때까지 배뇨가 계속된다. 배뇨하는 동안 요도의 압력이 심하게 하강하여 배뇨근의 수축이 약 5초 동안 먼저 일어나고 방광압력을 더 높여 방광에서 요도로 소변의 이동을 촉진한다. 이러한 요도의 기능을 통해 소변이 배출된다.
1.3. 병태생리
1.3.1. 요로결석의 형성 과정
요로결석의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초기단계에서는 과포화된 소변에서 형성된 핵이 결정을 이루고, 작은 결정은 응집에 의해 보다 큰 결정이 형성된다. 결성의 형성 과정은 그대로 계속되거나 혹은 요로를 통해 흘러나오다가 어떤 좁은 지점에 걸리게 되면, 이를 결석을 형성하기 위한 병소로 사용한다.
단백질과 유기물질의 섬유성 기질이 콩팥 또는 방광에서 형성되고 이에 결정화된 생성물질이 침전되거나 막히게 되면 결석의 핵이 된다. 점액 단백질의 과잉생산 소견은 흔히 콩팥돌증(신석증) 가족력에서 발견된다.
1.3.2. 결석의 종류
요로결석의 종류에는 칼슘결석, 요산결석, Struvite 결석, Cystine 결석 등이 있다.
칼슘결석은 요로결석의 8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종류로, 칼슘을 내포하고 있는 인산칼슘석이나 수산화칼슘석 형태로 존재한다. 크기는 작은 모래알부터 거대한 사슴뿔 모양의 결석까지 다양하며, 대체로 20대에 호발한다. 칼슘결석은 과칼슘뇨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뼈의 재흡수율 증가, 다량의 칼슘 섭취, 신요세관 손상 등에 의해 유발된다.""
요산결석은 요산염의 배설 증가, 수분 결핍, 낮은 요산도가 원인이 된다. 과요산뇨는 요산 생산 증가나 요산뇨증 물질 투여로 인해 발생하며, 원발성 및 속발성 통풍 환자의 경우 25-50%에서 요산결석이 형성된다. 고퓨린 식이나 종양 치료제 등이 소변의 요산 농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Struvite 결석은 감염 관련 결석으로도 불리며, 요로감염으로 인해 나타난다. 요소분해균이 요로 감염을 일으켜 소변이 알칼리화되면 암모니아, 마그네슘, 인산염 등이 과포화되어 결석이 생성된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며, 장기간 도뇨관 사용자에게서도 자주 나타난다.""
Cystine 결석은 선천성 대사 장애로 인해 신요세관에서 시스틴의 재흡수가 감소하여 발생한다. 주로 소아기와 청소년기에 나타나며, 성인기에는 드물다.""
1.4. 원인
1.4.1. 수분 섭취 부족
수분 섭취 부족은 요로결석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요로결석은 요소, 요산, 칼슘 등이 농축된 소변에서 결정이 형성되어 발생하는데,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으면 소변이 농축되어 결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수분 섭취가 부족하면 소변량이 줄어들고 소변 내 농축물질들이 높아지면서 결석 형성의 원인이 된다. 특히 기후가 더운 여름철이나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을 하는 경우 수분 섭취를 더욱 충분히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소변이 더욱 농축되어 결석 위험이 증가한다.
요로결석 환자들은 하루 소변량이 2-3리터 정도를 유지하도록 권장된다. 이를 위해서는 하루에 1.5-2리터 정도의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특히 물 섭취를 자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식사 후 2-4시간 간격으로 한 컵씩 마시는 것이 좋다. 또한 운동 후나 밤 시간에도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수분 섭취를 늘리면 소변량이 증가하여 요로 내 농축물질의 농도가 낮아지고, 이를 통해 결석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요로결석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매우 중요한 생활습관 관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4.2. 식이 요인
식이 요인은 요로결석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요로결석의 형성은 소변 내 결정 침전을 유발하는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식이 패턴은 이러한 인자들의 농도를 변화시켜 결석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년, 윤은자 외
요로결석의 수술적 치료 = Surgical management of urinary stone, 김범수, 대한의사협회지, 2020, 677-683(7쪽)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한일병원 www.hanilmed.net
[네이버 지식백과] 요관경하배석술 (EBS 명의)
신우로 전위된 요관스텐트: 수술적 제거 1예, 김재호,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2014, 67-690
Pneumatic Lithotriptor를 이용한 요관경하 배석술: 274례 분석, 이용규ㆍ박동수ㆍ홍영권, 대한비뇨기과학회지, 2006, 625-630
성인간호학(하), 유해영, 2012년.현문사
PCN(신장질환), 김정찬, 201년. 도서출판 정담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 주용식, 2008년. 수문사
기본간호학 상권, 양선희 외 공저, 2012년. 현문사
사이트 - http://www.druginfo.co.kr/
신경림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2019)
신경림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19)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2020)
성미혜 외, 비판적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2020)
요로결석 [urinary ston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