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그림책 '행복을 나르는 버스' 분석
1.1. 서론
좋은 그림책이란 적어도 나에게 뜻깊은 교훈을 주는 그림책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중간 레포트에 이어서 나에게 교훈을 주는 그림책, 좋은 그림책을 찾던 도중 '행복을 나르는 버스'라는 그림책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주인공인 어린이 '시제이'와 그의 할머니가 봉사를 위해 무료 급식소에 가는 여정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된다. 무료 급식소에 가는 동안 시제이와 그의 할머니의 대화와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몇몇 교훈을 주는데, 이 교훈들이 너무 공감되었고, 이 책을 읽으면서 내 어렸을 적 부모님이 해주셨던 말씀과 행동이 계속 떠올라서 기말 레포트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먼저 스토리 순서대로 장면마다 세밀하게 분석한 다음 이 책이 주는 시사점과 느낀 점을 밝히며 글을 써보려 한다.
1.2. 그림책 분석
1.2.1. 그림책 'Cover'와 'Endpaper'
그림책 'Cover'와 'Endpaper'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책 '행복을 나르는 버스'의 표지에서는 앞표지와 뒤 표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앞과 뒤표지를 활용해 버스를 표현하였고, 노란색 옷을 입고 있는 주인공 '시제이'와 그 옆의 할머니를 그림 맨 앞에 배치해 주인공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 표지는 버스를 타고 무료 급식소를 가는 여정을 암시하고 있다.
Endpaper에서는 시제이와 할머니가 무료 급식소까지 가는 여정 동안 보고, 느끼고, 상상한 것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 처음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는 궁금증을 고조시키며, 어떤 줄거리로 책이 구성되어 있는지 상상해볼 수 있다.
1.2.2. 장면 분석
1.2.2.1. 교회에서 나오는 시제이와 할머니
교회 예배가 끝난 시제이와 할머니는 교회를 나오고 있으며, 바깥에는 비가 조금씩 오고 있다. 이 장면에서는 길을 하얀색으로 표현해 건물과 사람들에게 시선이 끌리게 하였고, 그중에서도 그림 중앙에 역동적인 모습을 취하고 있는 시제이와 할머니를 배치해 독자들이 시제이와 할머니에게 시선을 유도하고 있다. 잘못하면 독자가 시제이와 할머니를 못 알아볼 수 있지만, 표지에서 시제이와 할머니를 크게 그려 넣어 시제이와 할머니를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 페이지의 텍스트에서는 비가 뚝뚝 떨어진다고 표현하였지만, 그림에서는 빗줄기가 보이지 않는다. 대신 몇몇 사람들과 할머니가 우산을 들고 있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이 페이지에서는 Double-Page-Spread 기법을 사용하여 그림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1.2.2.2. 버스 정류장으로 향하는 시제이와 할머니
버스 정류장으로 향하는 시제이와 할머니는 무료 급식소에 가기 위해 버스 정류장으로 걸어가고 있다"" 시제이는 할머니에게 ""할머니, 비가 왜 이렇게 많이 와요? 옷이 다 축축해졌어요""라고 투정을 부리지만, 할머니는 ""나무도 목이 많이 마르거든. 시제이. 저 큰 나무를 보렴. 굵은 빨대로 이 비를 쭉쭉 빨아 마시고 있잖니?""라며 긍정적으로 이해시키려 노력한다""
이 장면에서도 작가는 Double-Page-Spread 기법을 사용하여 시제이와 할머니의 대화가 두 페이지 전체에 걸쳐 펼쳐지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시제이와 할머니의 대화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된다""
1.2.2.3.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시제이와 할머니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시제이와 할머니"는 무료 급식소로 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때 시제이와 할머니는 버스 정류장에서 악어 모양의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시제이는 할머니에게 "할머니, 우린 왜 자동차가 없어요?"라고 묻는다. 그러자 할머니는 "뭐 하러 자동차가 필요하니? 네가 좋아하는 불 뿜는 악어 버스가 있는데! 그리고 기사 아저씨가 너를 위해서 마술을 보여 주시잖아."라고 답한다. 이를 통해 할머니가 긍정적인 마인드로 시제이의 눈높이에 맞추려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장면에서 작가는 Double-Page-Spread 기법을 활용하여 버스 정류장 장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승용차는 희미한 선과 실루엣으로 표현했지만, 악어 모양의 버스는 선명한 선과 높은 채도, 다양한 색상으로 그려 시선을 끌고 있다. 이는 버스가 이 이야기의 주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텍스트 표현에서도 시제이와 할머니의 대화를 따옴표를 사용하여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할머니의 긍정적인 태도를 통해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1.2.2.4. 마술을 보여주는 기사 아저씨, 자리에 앉은 시제이와 할머니
버스에 탑승한 시제이와 할머니는 기사 아저씨가 시제이를 위해 동전 마술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기사 아저씨는 동전을 손쉽게 움직이며 시제이에게 마술을 선보인다. 이에 시제이는 눈을 동그랗게 뜨고 집중하며 마술에 매료된 모습이다. 할머니는 부드러운 미소와 함께 시제이를 바라보며 그의 반응을 지켜보고 있다. 이 장면에서 독자들은 시제이와 할머니 사이의 따뜻하고 친밀한 관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버스 안에는 기타를 치는 사람, 문신을 한 남자, 회사원 등 다양한 직업과 모습의 사람들이 함께 탑승해 있다. 이를 통해 작가는 다양성과 포용성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2.5. 버스에서 투정부리는 시제이와 그것을 이해시키려는 할머니
버스에서 투정부리는 시제이와 그것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