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심리학 이론으로 개인 행동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심리학 이론과 개인의 행동 및 경험
2.1. 사회비교이론
2.2. 자기결정이론
2.3. 인지부조화이론
3. 개인적 사례와 사회심리학 이론의 적용
3.1. 사회적 교환 이론과 팀 프로젝트 경험
3.2. 인지부조화 이론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변화
3.3. 인종 및 문화 간 상호작용 이론과 해외 여행 경험
4. 사회심리학 이론의 이해와 적용에 따른 의의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여러 사람이 모여 만든 크고 작은 모임과 구조를 우리는 '사회'라고 부른다. 사람이 어떻게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 자라는 과정에서 어떠한 환경적 영향을 받는지, 또한 다른 사람들과 어떠한 형태로 더불어 사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사회학이다. 인류가 살아온 사회는 오랜 역사를 걸쳐 질서가 형성되고 변화해왔으며, 그에 따라 문제시되었던 것들과 그렇지 않은 것들이 뒤바뀌기도 하였다. 이렇듯 인간이 사회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개인의 주관적 판단과 의도, 감정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가치판단을 하게 된다. 사회구조는 이러한 개인들과 집단들이 특정한 위치를 형성하여 맺고 있는 관계의 틀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심리학'은 이러한 사회의 개념 내에서 사람들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에 더 무게를 두는 기초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사회의 구성원인 개인의 행동을 탐구함에서 개인이 처한 특성 상황과 성격, 사고, 상호작용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2. 사회심리학 이론과 개인의 행동 및 경험
2.1. 사회비교이론
사회비교이론은 대표적인 사회심리학 이론으로, 1954년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리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가 처음 개념화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자기 자신을 평가하고 싶은 욕구가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지속적으로 자신을 비교하게 된다. 그러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려우므로, 자신과 유사한 사람들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특성을 가늠하게 된다.
사회비교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을 평가하기 위해 주로 3가지 유형의 비교를 하게 된다. 첫째, 자신과 유사한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특성과 능력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려 한다. 둘째, 자신보다 열등한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우월감과 긍정적 자아상을 유지하려 한다. 셋째, 자신보다 우월한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식하고 발전의 동기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사회비교는 사회적 상황에서 개인의 행동과 태도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학창시절에는 친구들과의 성적 비교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고 자존감을 형성하며, 직장생활에서는 동료들과의 경쟁을 통해 업무 성과를 높이려 노력하기도 한다. 또한 SNS 사용이 늘어나면서 타인과의 사회적 비교 기회가 많아져 부정적 영향도 발생하고 있다.
결국 사회비교이론은 인간의 기본적인 자기평가 욕구가 어떻게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발현되며, 그것이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고 볼 수 있다.
2.2. 자기결정이론
자기결정이론은 1987년 에드워드 데시와 리처드 라이언에 의해 ...
참고 자료
티스토리 / 인지부조화란? / lalang
https://lalang.tistory.com/entry/%EC%9D%B8%EC%A7%80%EB%B6%80%EC%A1%B0%ED%99%94%EB%9E%80-%EC%A0%95%EC%9D%98-%EB%B0%8F-%EC%9D%B4%EB%A1%A0-%EC%97%AC%EC%9A%B0%EC%99%80-%EC%8B%A0%ED%8F%AC%EB%8F%84-%EC%9D%B4%EC%95%BC%EA%B8%B0
김재휘, 김정애(2011), 위선 유도에 의한 인지부조화의 설득 효과:CSR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89호, 205-228.
사회심리학 강의교안, 이인숙, 배움
사회심리학, 정태연 외 10인, 학지사, 2014
사회심리학: 개념과 적용, 이해인, 시그마프레스, 2015
사회심리학: 이론과 응용, 김용주, 법문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