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규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규칙과 가족역할
1.1. 가족규칙
1.1.1. 가족규칙의 개념
1.1.2. 명시적 규칙과 묵시적 규칙
1.1.3. 메타룰
1.1.4. 가족의례
1.1.5. 가족규칙 사정시 주의점
1.1.6. 가족규칙의 사정초점
1.2. 가족역할
1.2.1. 가족역할의 개념
1.2.2. 가족역할의 특성
1.2.3. 가족역할 갈등
2. 가족규칙, 가족신화, 가족의식
2.1. 가족규칙
2.2. 가족신화
2.3. 가족의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규칙과 가족역할
1.1. 가족규칙
1.1.1. 가족규칙의 개념
가족규칙이란 근본적으로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대한 합의이다. 즉, 가족 구성원들은 가족규칙을 통해 서로의 행동을 규정하고 제한한다. 여기에는 명시적 규칙과 묵시적 규칙이 있다. 가족규칙은 가족 구성원들이 가족 내에서 공유하는 관계에 대한 합의이며,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이 조직화되고 반복적인 패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가족규칙은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1.1.2. 명시적 규칙과 묵시적 규칙
명시적 규칙은 가족구성원들이 분명하게 드러내놓는 규칙이다. 이것은 가족구성원들의 구체적 역할과 기대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규칙에서는 가족들이 원하는 것이 논의될 수 있고, 규칙은 타협과 변화의 가능성을 지닌다.
반면 묵시적 규칙은 가족구성원들 사이에 암시적이거나 분명하게 겉으로 드러내놓지 않는 규칙이다. 이것은 반복된 가족 상호교류가 시간이 지나면서 확고하게 굳어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힘을 갖는 규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혼외연애사건에 관련된 가족이 있다고 하자. 이 사건은 가족구성원이 그러한 혼외연애사건의 존재를 알게 되는 반복된 경험으로부터 생겨났다. 부모는 절대로 자신들이 이 관계에 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았으며, 아이들이 이것을 이야기하도록 허락하지도 않았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반복되면서 그 가족 내에는 아버지의 일에 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규칙이 세워진다.
즉, 명시적 규칙은 가족구성원들이 공개적으로 논의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반면, 묵시적 규칙은 가족구성원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형성되어 변화시키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1.1.3. 메타룰
메타룰은 규칙에 관한 규칙이다. 즉, 가족원들이 그들이 갖고 있는 가족규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관한 규칙이다. 기능적인 가족은 가족규칙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을 때 함께 의논하고 합의를 이끌어 내어 결정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가족규칙을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반면 역기능적 가족은 가족규칙을 변화시키는 데 아무런 기제를 갖고 있지 않거나, 혹은 가족규칙이 변화될 수 없는 것이라는 강력한 메타론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족은 가족규칙의 변화가 어렵고, 현재의 가족규칙에 사로잡혀 가족 발전을 방해할 수 있다.
1.1.4. 가족의례
가족의례란 가족이 집행하는 일정한 전통적 의식(儀式)을 말한다. 즉 생일, 기념일, 입학과 졸업, 휴가, 정기적 식사모임 등과 같은 특별한 날에 가족이 관습적으로 진행하는 의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느 집은 일요일 저녁식사를 반드시 가족원들이 함께 하는 관습을 지키고 있다. 또 어느 가족은 아이가 성인이 될 때까지 생일에 수수팥떡을 해서 아이에게 먹이고 이웃집에도 떡을 돌리는데, 이는 수수팥떡이 마귀를 물고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미신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
참고 자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