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말하기 과제 유형 및 수업 계획안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Goh & Burns 2012의 말하기 과제 유형 소개
1.2. 수업 계획안 작성 목적
2. Goh & Burns 2012의 말하기 과제 유형
2.1.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
2.2. 토의 과제
2.3. 개인 과제
3. 한국의 계절과 날씨에 관련된 수업 계획안
3.1. 말하기 전 단계
3.2. 말하기 단계
3.3. 말하기 후 단계
4. 한국인 친구에게 소개하고 싶은 음식에 대한 토의 과제
4.1. 학습자 나라의 대표 음식 소개
4.2. 한국인 친구 추천 음식 3가지 선정
4.3. 선정된 음식 정보 공유
5. 한국의 명절에 대한 개인 과제
5.1. 한국 명절 조사
5.2. 명절 발표
5.3. 모국 명절과 비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Goh & Burns 2012의 말하기 과제 유형 소개
Goh & Burns(2012)에 따르면 말하기 과제는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 토의 과제, 개인 과제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는 대화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상호작용적 말하기 유형이다. 하위 유형으로 정보 차 과제와 맥락 차 과제가 있다. 정보 차 과제는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고, 맥락 차 과제는 배경지식이 다른 참여자들이 맥락의 차이를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토의 과제는 어떤 문제를 검토하고 협의하기 위하여 서로의 생각을 합리적으로 조정해 나가는 상호작용적 말하기 유형이다. 추천하기, 해결책 제시하기, 평가하기, 계획 세우기 등의 하위 유형이 있다.
개인 과제는 다수의 청중을 대상으로 자신의 경험과 정보, 의견 등을 전달하는 말하기 유형이다. 정보 말하기, 경험 말하기, 설득하기 등의 하위 유형이 있다.
1.2. 수업 계획안 작성 목적
수업 계획안 작성 목적은 Goh & Burns(2012)의 말하기 과제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과제를 말하기 수업의 단계(말하기 전-말하기-말하기 후 단계)에 맞게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말하기 수업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언어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2. Goh & Burns 2012의 말하기 과제 유형
2.1.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는 대화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상호작용적 말하기 유형이다. 이 과제에서 대화 참여자들은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소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가는 활동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제는 실제 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상황을 모방하여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연습하게 해준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특정 장소의 지도를 가지고 있고, 다른 학생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생들은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며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이처럼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는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Goh와 Burns(2012)는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를 정보 차 과제와 맥락 차 과제로 세분화하였다. 정보 차 과제는 서로가 가진 정보를 공유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맥락 차 과제는 두 사람이 가지고 있는 정보가 같은데 서로의 배경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맥락의 차이를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의사소통의 공백 과제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찾아가는 과정을 경험하게 해주며,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2. 토의 과제
토의 과제는 학생들이 특정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도록 유도하는 말하기 유형이다. 토의 과제는 학생들이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 제안 과제를 통해 학생들은 각자의 제안을 발표하고, 이에 대한 장단점을 토론하며, 최종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정책을 도출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참고 자료
강현화, 홍혜란 외 3명. (2021). 한국어 표현 교육론. 한국문화사.
Christine C. M. Goh&Anne Burns(2012), Teaching Speaking: AHolistic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2024),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강의안
조위수(2008), 과제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듣기 연계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김선옥(2015),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과제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여훈 외 5인(2020),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초급 표현 교재 개발의 원리와 실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 교육원 한국어학당
곽해진(2021),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온라인 말하기 과제 활동 연구 : 2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블로그 ‘모아’, 날씨 이미지(무료 컨텐츠), https://blog.naver.com/ckswnwh/222746172271
piqsels ,계절 이미지(무료 컨텐츠), https://www.piqsels.com/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