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자유, 평등, 정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자유, 평등,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2.1. 평등
2.2. 효율성
2.3. 사회 정의

3. 평등의 내용과 장단점
3.1. 기회의 평등
3.2. 조건의 평등
3.3. 결과의 평등

4. 효율성의 내용과 장단점
4.1. 목표효율성
4.2. 운영효율성

5. 사회 정의의 내용과 장단점
5.1. 절차적 정의
5.2. 실질적 정의
5.3. 능동적 과정으로서의 정의

6. 각 가치의 장단점 비교

7. 사회복지정책에서 평등의 가치 반영
7.1. 무상보육정책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정책의 가치는 사회복지정책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목표이며 지향점, 바람직한 방향을 말한다. 사회복지정책의 가치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기본적 가치로 인간의 존엄성, 생존권, 사회연대 의식 등이 있고, 일반적 가치로 평등, 자유, 형평성, 효율성, 효과성, 편의성, 접근성, 정의 등이 있다. 사회복지정책이 추구해야 할 목표가 되는 가치이다. 즉, 사회복지정책의 '수단이 아닌' '목표'가 되는 가치들이다. 본 보고서는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중에 평등, 효율, 사회 정의를 택해서 각각의 내용과 장단점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2.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2.1. 평등

평등은 사회복지정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가치 중 하나이다. 평등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첫째는 기회의 평등, 둘째는 조건의 평등, 셋째는 결과의 평등이다.

기회의 평등은 모든 사회적 제도에 대한 접근을 모든 사람에게 균등하게 허용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가장 소극적인 의미의 평등으로, 기회가 평등하다면 그에 따른 결과는 개인이 수용해야 한다고 본다. 조건의 평등은 사회적 기회를 획득하기 위한 자유 경쟁의 출발점을 정비하여 개인의 능력이 부족한 부분을 사회적으로 메워주어야 한다는 관점이다. 결과의 평등은 개인의 능력과 무관하게 사회복지 정책이나 제도를 통해 최종 결과의 평등을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평등의 개념 중 가장 넓은 의미를 가진다.

평등은 사회복지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로서,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보장하고 사회적 연대감을 강화하며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개인에게 완전한 평등을 실현하기는 어렵고, 결과의 평등을 추구하다 보면 개인의 노력과 능력에 따른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정책에서는 상황과 여건에 따라 기회의 평등, 조건의 평등, 결과의 평등을 적절히 조화시켜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2.2. 효율성

효율성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적은 자원을 투입해서 최대한의 산출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효율성은 크게 목표효율성과 운영효율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목표효율성은 정책이 목표로 하는 대상자들에게 자원이 얼마나 집중적으로 할당됐느냐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아동복지정책에서 가장 취약한 저소득 가정의 아동에게 지원이 집중되고 있는지, 혹은 지원이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목표효율성이다. 즉, 지원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얼마나 집중적으로 배분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반면 운영효율성은 정책의 집행과 운영 과정에서 투입된 비용을 얼마나 적게 사용했느냐로 판단한다. 같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면 운영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인력과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비용을 절감했다면 운영효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효율성은 사회복지정책이 현실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가치이다. 사회복지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할당된 예산이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정책의 효과가 달라진다.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많은 정책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효율성을 지나치게 추구하면 주객이 전도되어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 정작 사회복지 정책이 추구해야 할, 그리고 수호해야 할 다른 가치들을 소홀히 하거나 꼭 도움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정책의 도움과 지원이 적절하게 돌아가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2.3. 사회 정의

사회 정의는 법이 정한 합법적 절차를 강조하는 절차적 정의와 결과에 대한 분배적 정의인 실질적 정의, 그리고 불의한 현상을 예방, 치료하는 사회적 과정을 강조하는 능동적 과정으로서의 정의로 구분할 수 있다""

절차적 정의는 법적인 절차와 규칙을 엄격히 적용하여 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입장이다. 이는 공정한 절차를 통해 결과를 ...


참고 자료

최원형.2021.1.28.사교육비, 학업성취 ‘교육 양극화’ 10년 새 더 깊어졌다.한겨레
정원석.2022.4.6.교육격차는 왜 갈수록 확대되는가?.노동자연대
김헌진. (2012). 우리나라 무상보육정책과 사회적 형평성:사회 정의론적 관점의 접근. 한국영유아보육학. 72. 419-445
김종태. 사회복지행정론 강의4-사회복지정책의 가치와 이념
박상수. (2014). 운 평등주의에 대한 비판. 제도와 경제, 8(2), 113-134.
사회복지 정책론 교안_사회복지정책의 개념. 3-10
사회복지 정책론 교안_사회복지정책의 구성요소. 12-13
사회복지 정책론 교안_사회복지정책의 가치. 43
사회복지 정책론 교안_사회복지정책의 가치Ⅱ. 50-58
사회복지행정의 가치_제2장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강의자료
양만재, 김이배. (2017).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사회정의의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91-297
최혜지, 김경미. (2017).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정의와 인권. 한국사회복지학회, 1483-1493
공인숙 외(2013), 「최신보육학개론」, 교육과학사.
이태영(2008), 「사회복지정책론」, 태영사.
정동건(2017),사회복지정책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위더스 사회복지정책론 교안참고
뉴스기사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3335
뉴스기사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1327694?ref=nave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