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교육학은 어떠한 현상을 교육적인 관점이나 학습의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지식체계를 말하고, 교수, 교육과정, 교육상담, 교육행정, 교육평가 등의 세부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에서 교수와 교육과정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리킬 것인가에 관심이 있다면, 교수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심이 있는 학문이다. 교수는 학습자에게 어떠한 조치를 취하면 학습자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처방에 관심을 가지는 이론이다. 교수의 영역에는 설계, 개발, 전개, 관리, 평가 등의 5가지 영역이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교육공학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교수설계는 교육공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학습이론과 교육의 실제를 접목시키는 역할을 하며 지속적 연구가 필요한 학문분야이다. 교수설계는 학습이론과 교육 실제를 연결하는 연계과학으로 교수의 질 개선 · 이해에 필수적인 학문분야로 이는 교수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최적의 교수활동을 처방해 주도록 인도하는 지식체계이기 때문이다."
2. 교수설계 및 교수목표분석
2.1. 교수설계의 개념
Reigeluth는 교수설계를 "교수의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는 학문영역으로, 설계활동의 목적은 기대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최적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다. 즉, 교수설계란, 수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계획함으로써 수업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지, 어떤 학습활동, 학습전략, 학습 자료를 제공해야 하는지, 목표 달성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의미하고, 좁은 의미에서는 특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특정한 교과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때 가장 좋은 수업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설계의 필요성으로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함, 교수의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함, 교수의 전개과정을 최적의 환경으로 구성하기 위함, 교수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등이 있다.
2.2. 교수목표분석의 절차
교수목표분석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가 어떤 학습영역에 속하는지를 분류한다. 목표는 태도, 지적기능, 언어적 정보, 운동기능 중 하나가 된다.
둘째, 목표를 성취할 때 보일 주요 성취행동의 단계를 찾아서 계열화한다. 성취행동의 윤곽은 하위기능분석의 바탕이 된다.
목표분석에서는 최종적으로 학습자가 그 목표를 성취했을 때, 보여 줄 수 있는 성취행동의 개요를 규명하며, 성취행동의 윤곽은 하위기능을 분석하는 바탕이 된다. 이를 통해 적합한 수업의 단위를 책정할 수 있으며, 학습 후 학습자가 할 수 있는 구체적 성취행동을 주지시킬 수 있다.
즉, 교수목표분석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어떠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며, 교수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능 및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3. 교수목표분석 절차의 중요성
교수목표분석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를 분명하게 기술한 후 목표분석을 해야 한다. 둘째, 목표분석의 첫 단계는 그 목표가 어떤 학습영역에 속하는지를 분류하는 것으로 목표는 태도, 지적기능, 언어적 정보, 운동기능 중 하나가 된다. 셋째, 목표분석에서는 최종적으로 학습자가 그 목표를 성취했을 때, 보여 줄 수 있는 성취행동의 개요를 규명하며 성취행동의 윤곽은 하위기능분석의 바탕이 된다. 목표분석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어떠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며, 교수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능 및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목표분석을 통해 학습을 적합한 시간 내에 가르칠 수 있는 단위로 나누고, 학습 후 학습자가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취행동을 알 수 있게 되며, 가르칠 순서를 파악하게 된다.""
3. 이러닝 교육과정의 특징
3.1. 이러닝 교수설계의 특성
이러닝 교수설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분위기 예측 불가능이다. 이러닝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테크놀로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만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세워야 하며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한 대책을 미리 마련해 놓아야 한다. 또한 예측하지 못한 문제점 발생 시에도 순발력 있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양질의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닝 교육에서는 양질의 콘텐츠와 그에 맞는 설계, 전문적인 운영 및 관리, 적절한 평가 전략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방해요소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러닝 교육에서 물리적·심리적 방해요인이 많을수록 학습효과가 떨어지므로, 정교한 교수설계가 필요하다.
넷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닝 교육은 교사와 학습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원격으로 진행되므로, 이에 맞는 설계와 운영 방식이 필요하다.
3.2. 이러닝 교육과정 개발방법
이러닝 교육과정 개발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