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청소년 활동시설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청소년 활동시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활동시설의 개념과 유형
1.1. 청소년활동시설의 정의
1.2. 청소년활동시설의 유형
1.2.1. 청소년수련시설
1.2.2. 청소년이용시설
1.3. 청소년활동시설의 운영 유형
1.3.1. 민간위탁운영
1.3.2. 시설관리공단운영
1.3.3. 청소년관련 재단운영

2. 청소년단체의 역할과 문제점
2.1. 청소년단체의 역할
2.2. 청소년단체의 문제점
2.3. 청소년단체 발전을 위한 대안 모색

3. 청소년지도자
3.1.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 지도사의 구분
3.2.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4. 청소년 활동프로그램
4.1.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의 개념
4.2. 청소년 여가활동 프로그램
4.3. 청소년 봉사활동 프로그램
4.4. 청소년 문화·예술·스포츠 활동 프로그램

5. 청소년시설의 운영 및 문제점
5.1. 청소년시설의 운영 유형 및 내용
5.2. 청소년시설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활동시설의 개념과 유형
1.1. 청소년활동시설의 정의

청소년활동시설은 「청소년기본법」 제3조 제6호에 따라 청소년활동, 청소년복지 및 청소년보호에 제공되는 시설을 의미한다. 또한 「청소년활동 진흥법」 제2조 제2호에 따르면 청소년활동시설은 청소년수련활동, 청소년교류활동, 청소년문화활동 등 청소년활동이 제공되는 시설을 말한다. 즉, 청소년활동시설은 청소년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제공하는 시설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1.2. 청소년활동시설의 유형
1.2.1.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수련시설은 다양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이다. 주요 유형으로는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등이 있다.

청소년수련관은 다양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이다. 입지조건은 일상생활권, 도심지 근교 및 그 밖의 지역 중 수련활동 실시에 적합한 곳으로서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편리한 지역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시설 기준으로는 연건축면적이 1,500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15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실내집회장과 실내체육시설, 2개소 이상의 자치활동실, 2개 이상의 특성화 수련활동장, 1개소 이상의 상담실, 1개소 이상의 휴게실, 1개소 이상의 지도사실 등이 필수적으로 갖춰져 있어야 한다. 2020년 기준 전국에 190개소가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광역시에는 각 구에 1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청소년수련원은 숙박기능을 갖춘 생활관과 다양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이다. 입지조건은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 국립·도립·군립공원, 그 밖의 지역 중 자연과 더불어 행하는 수련활동 시실에 적합한 곳으로서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편리한 지역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시설 기준은 1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생활관, 식당, 실내집회장, 야외집회장, 체육활동장, 수련의 숲, 강의실, 특성화 수련활동장, 지도자실, 휴게실, 비상설비, 기타시설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2020년 기준 전국에 171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청소년문화의집은 간단한 청소년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정보·문화·예술 중심의 수련시설이다. 가장 작은 규모의 청소년수련시설로 지역사회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청소년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청소년활동 진흥법에 따라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읍·면·동에 청소년문화의집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2020년 기준 전국에 293개소가 운영 중이며, 광주광역시에는 총 8개소가 위치하고 있다.

청소년특화시설은 청소년의 직업체험, 문화예술, 과학정보, 환경 등 특정 목적의 청소년활동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이다. 입지조건은 일상생활권, 도심지 근교 및 그 밖의 지역 중 수련활동 실시에 적합한 곳으로서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편리한 지역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2020년 기준 전국에 15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청소년야영장은 야영에 적합한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청소년수련거리 또는 야영편의를 제공하는 수련시설이다. 입지조건은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 국립·도립·군립공원, 그 밖의 지역 중 자연과 더불어 행하는 수련활동 시실에 적합한 곳으로서 수련활동 실시에 적합한 곳으로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편리한 지역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2020년 기준 전국에 37개소가 운영 중이다.

유스호스텔은 청소년의 숙박 및 체류에 적합한 시설 및 설비와 부대 및 편익시설을 갖추고, 숙식편의 제공, 여행청소년의 활동지원을 기능하는 시설이다. 입지조건은 명승고적지, 역사유적지 부근 및 그 밖의 지역 중 청소년이 여행활동 시 이용하기에 편리한 지역으로 선정한다. 2020년 기준 전국에 115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유형의 청소년수련시설은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각 시설은 청소년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다양한 활동 기회를 제공하며, 청소년의 신체·정서·사회성 발달을 도모하고 있다.


1.2.2. 청소년이용시설

청소년이용시설은 수련시설이 아닌 시설로서 그...


참고 자료

권일남·오해섭·이교봉(2016), 청소년활동론, 고양 : 지식공동체
청소년수련시설포털, http://youthnet.or.kr/ (2020.10.16.)
청소년기본법 제3조 3항, 청소년 활동, 2024.03.26. 시행
청소년기본법 제3조 7항, 청소년지도자, 2024.03.26. 시행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3&gSite=L&gId=66, 청소년 지도사 자격 상세 정보
최윤진(1990), 청소년지도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지도자 교재 지침서
http://www.doopedia.co.kr,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두산백과
http://youthnet.or.kr/?page_id=11, 청소년 수련시설 소개
http://youthnet.or.kr/?page_id=80, 청소년시설 현황 통계-유형별 현황, 2024.06.17. 기준
장안서, 김윤나(2023), 특별자치시 청소년수련시설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21권 1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