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항문암 개요
항문암은 항문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평균 60세 전후에 진단되는 드문 암이다.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2019년에 254,718건의 암이 발생하였는데, 그중 항문암은 322건으로 암 발생률 0.1%로 적게 발생하는 편이다. 남녀의 비율은 각각 138명 184명으로 0.1:0.2로 유사하지만 여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항문암에는 편평상피세포암, 총배설강암, 악성 흑색종, 선암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그중 편평상피세포암과 총배설강암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항문암은 유형에 따라 환자의 예후 및 치료 방법에 많은 차이가 있다. 편평상피세포암은 항문연과 항문관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며, 전체 항문암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편평상피세포암의 가장 초기 단계를 상피내암이라고 하는데, 이는 보웬씨 병이라고도 한다. 총배설강암은 항문이행부위 또는 총배설강이라 불리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종종 편평상피세포암의 한 형태로 분류된다. 선암은 항문에서 드물게 발생하며 항문암으로서는 적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항문 점막 밑에 위치한 항문관으로 점액을 분비하는 기능을 가진 선애에서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악성 흑색종은 피부나 항문에 있는 멜라닌을 만나는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매우 드문 암이다.
1.2. 항문암 진단 및 분류
항문암의 진단 및 분류는 다음과 같다.
항문암은 크게 편평상피세포암, 총배설강암, 선암, 악성 흑색종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편평상피세포암은 항문연과 항문관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며, 항문암 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약 50% 이상을 차지한다. 상피내암으로도 불리는 보웬씨 병이 이에 해당한다. 총배설강암은 항문이행부위 또는 총배설강이라 불리는 부위에서 발생하며, 때때로 편평상피세포암의 한 형태로 분류되기도 한다. 선암은 항문에서 드물게 발생하며 항문점막 밑에 위치한 항문관으로부터 점액을 분비하는 선에서 기원한다. 또한 항문 주위 피부에 존재하는 땀샘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악성 흑색종은 피부나 항문에 있는 멜라닌을 만들어내는 세포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형태의 암으로, 항문암의 1-2%를 차지한다."
2. 항문의 구조와 기능
2.1. 항문의 해부학적 구조
항문은 소화관의 가장 마지막 부분이 끝나고 몸의 외부로 나가는 구멍을 말하며, 대장의 끝부분인 직장을 몸의 외부와 연결해 주는 관을 지칭한다"" 항문직장륜은 치골직장근이라는 근육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항문직장륜 부위에서 장이 앞쪽으로 굴곡을 하게 되어 배변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문관의 내부를 덮고 있는 점막은 항문관의 상부에서는 직장의 점막과 동일한 기둥 모양의 입방형 상피세포로 되어 있고, 이행구역을 지나면서 상피세포 모양이 편평해져서 하부는 편평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직장에서 항문관으로 내려오면서 내강이 좁아지면서 점막이 접히게 되어 약 12~14개의 모르가니주(columns of Morgagni)라는 주름 모양이 생기며 아래에는 치상선이라고 하는 톱니 모양의 경계 부위가 있다"" 이 부위에서 항문관 상부의 점막 색깔은 분홍색이고, 하부는 자주색을 띤다"" 항문연은 편평상피세포로 덮여 있으며, 이는 항문의 바깥 피부로 연결되어 합쳐진다""
2.2. 항문의 생리학적 기능
항문의 생리학적 기능은 크게 대변의 배출과 관련된 기능이다""
항문관 주위의 괄약근이 수축하여 대변의 배출을 조절한다"" 배변 시에는 항문관 주위의 괄약근이 이완되어 대변이 배출되게 하고, 그 외의 기간에는 괄약근이 수축된 상태로 있으면서 대변의 배출을 막는다""
괄약근이 약해지면 이로 인해 변이 조금씩 나오는 변실금이 생길 수 있다"" 이는 항문의 지속적인 근긴장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항문은 직장의 대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대변이 항문으로 내려오면 괄약근이 이완되어 배출되고, 배변 후에는 다시 수축되어 대변의 배출을 막는다""
이처럼 항문의 주요 생리학적 기능은 배변 조절을 통해 대변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3. 항문암의 원인 및 병태생리
3.1. 항문암의 주요 원인
항문암의 주요 원인은 항문 부위의 만성적인 자극으로 추측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항문 성병, 치루, 치열, 만성 치질 등의 자극이 장기간 계속되면 암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특히 항문 성교로 인해 항문에 지속적인 자극이 발생하면 항문암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항문 사마귀와 같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 장기 이식 후 면역 억제제 복용,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 감염 등의 경우에도 항문암이 유발되는 경향이 있다"".
3.2. 항문암의 전이 경로
항문암은 혈관을 통한 전파, 림프절을 통한 전파, 복막을 통한 전파 등으로 전이될 수 있다"" 항문암은 항문 주변에 다른 구조물이 가까이 있어 주위 구조물로 암세포가 침윤되어 국소재발이 생길 수 있다"" 골반 밖 원격 전이의 위험성은 10~20%로 낮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