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외력에 의해 가진되는 진동을 강제진동이라 하며, 외력을 받는 시스템은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감쇠 효과로 인해 자유 진동이 사라지고 정상 상태의 진동은 초기 조건이나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관계없이 외력과 동일한 진동수(가진 주파수)로 진동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사각 단면 보에 사인파 형태의 외력을 가하여 강제진동을 시키고, 응답이 가진주파수와 같은 진동수로 진동하는 것을 관찰하며,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공진이 일어날 때의 진동수를 비교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실험 이론"은 진동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리와 이론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먼저 진동의 기본 요소인 질량(mass), 댐핑(damping), 스프링(spring)의 역할과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질량은 관성력, 스프링은 복원력, 댐퍼는 에너지 소산 역할을 한다.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진동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와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고유진동수는 외력의 영향 없이 시스템이 고유하게 진동하는 주파수를 말하며, 공진 주파수는 외부 가진 주파수와 고유진동수가 일치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진동 메커니즘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운동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뉴턴의 운동법칙(Newton's law of motion)을 이용하여 자유물체도(FBD)를 그리고 각 힘의 방향과 크기를 고려하여 미분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라그랑지 방정식(Lagrange's equation)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운동에너지와 포텐셜 에너지로부터 운동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유진동과 강제진동에 대한 이론적 해를 구할 수 있다. 자유진동의 경우 감쇠 효과로 인해 진폭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고, 강제진동의 경우 외력의 주파수와 시스템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할 때 공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이론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이론은 기계 시스템의 설계 및 분석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며,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이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