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생아 황달
1.1. 정의 및 분류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된다. 대부분 큰 문제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신생아 황달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리적 황달은 미성숙한 간기능과 적혈구 용혈로 인한 빌리루빈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태아기에서 신생아기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가벼운 황달이며, 대개 자연스럽게 좋아진다. 둘째, 병리적 황달은 항원 부적합성으로 다량의 적혈구 용혈이 발생하거나 또는 간의 미성숙으로 인한 용혈로 생성된 과량의 빌리루빈을 결합하고 배설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한다. 셋째, 모유 황달은 조기 발생형과 후기 발생형으로 나뉜다. 조기 발생형은 모유수유 부족으로 생긴 탈수 및 칼로리 섭취 감소로 인해 나타나며, 후기 발생형은 모유 성분이 빌리루빈 대사에 영향을 주어 발생한다.
1.2. 병태생리
황달을 일으키는 물질은 혈중 빌리루빈이라는 물질로, 이는 대부분 적혈구가 파괴되어서 만들어진다. 간에서 생성되는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된다. 파괴되는 적혈구가 많을 때 또는 생성된 빌리루빈이 미숙한 간에서 처리되지 못하였을 때 황달이 되는데, 이러한 원인으로 생리적 황달이 생기게 되며 이 증상은 출생 후 간의 빌리루빈 제거 능력이 급속하게 향상되기 때문에 보통 1주일 이내에 사라지게 된다.
태내에서도 적혈구의 파괴가 일어나고, 간이 미숙하기 때문에 황달의 위험성이 있지만, 이때는 태반을 통하여 빌리루빈이 엄마 쪽으로 배설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담도의 이상이나 간염 등에 의한 황달은 발병 시기가 느리고, 장기간 지속하는 특징들이 있으며, 간접 빌리루빈보다는 직접 빌리루빈이 증가하게 된다.
1.3. 원인
신생아 황달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그 중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리적 황달은 신생아의 간기능이 미숙하고 적혈구 파괴가 많아 빌리루빈이 과도하게 생성되기 때문이다. 신생아기에는 평균적으로 순환하는 적혈구의 농도가 높고, 적혈구의 생존기간이 성인보다 짧아 적혈구가 많이 파괴되어 빌리루빈을 과다 생산하게 된다. 또한 glucuronyl transferase 생산이 제한되어 빌리루빈과 결합하는 능력이 감소되어 있으며, 알부민 농도가 낮아 빌리루빈과 결합할 수 있는 혈장결합력도 감소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생후 3~4일경에 아기의 피부와 공막, 손톱 등이 밝은 오렌지색이나 노란색을 띠다가 생후 7~10일경에 저절로 사라지게 된다.
둘째, 모유 황달은 모유 수유 시 모유의 어떤 요인이 간의 빌리루빈 대사를 방해하여 발생한다. 모유 수유 신생아의 약 10~25%에서 나타나며, 생후 빨리 모유 수유를 시작하고 모유 수유를 더 자주하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신생아 용혈성 황달은 ABO 또는 Rh 혈액형 부적합으로 인한 과도한 적혈구 용혈이 발생하여 빌리루빈이 과다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출생 당일부터 황달이 나타나며 빠르게 진행되어 합병증으로 핵황달이 오기 쉽다.
넷째, 병리적 황달은 간기능의 미성숙이나 담도 폐쇄, 간염 등으로 인해 빌리루빈을 효과적으로 배설하지 못해 발생한다. 이런 경우 황달이 출생 당일부터 나타나며 빌리루빈 수치가 15mg/dL 이상으로 높아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
다섯째, 기타 요인으로는 갑상선기능저하증, 갈락토스혈증, 당뇨병 산모의 아기, 감염 등이 있다. 이들 질병으로 인해 빌리루빈 생산이 증가하거나 배설이 지연되어 황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합하면, 신생아 황달의 주요 원인은 생리적 요인, 모유 수유, 혈액형 부적합, 간기능 미성숙 등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1.4. 임상적 특성
신생아 황달은 출생 후 60%의 만삭아와 80%의 미숙아에서 흔히 관찰되는 임상적 특성이다. 특히 동양인의 경우 백인이나 흑인에 비해 빌리루빈치가 거의 2배 정도 높기 때문에 동양인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고 있다. 모유 황달 중 모유수유로 인한 황달의 경우 모유영양아 200명 중 1명 꼴로 뚜렷한 질환의 증후 없이 과빌리루빈혈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신생아 용혈성 빈혈로 인해 발생하는 황달의 경우 주로 혈액형이 O형인 엄마가 A형 또는 B형의 신생아를 낳은 경우 일어나는데 엄마의 항체가 태아에 가서 태아의 적혈구와 반응하여 용혈을 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 임신의 약 12~15%에서 ABO 부적합과 황달을 일으킬 수 있다.""
1.5. 증상
신생아 황달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얼굴의 흰자위와 피부 색이 노랗게 변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다. 만약 황달이 심해지면 몸통, 사지 및 발바닥의 피부까지 노랗게 변할 수 있다. 간접 빌리루빈의 피부착색은 밝은 황색이나 오렌지색으로, 직접 빌리루빈의 피부착색은 녹황색이나 탁한 황색으로 나타난다.
생리적 황달의 경우 생후 3~4일경에 아기의 피부와 공막, 손톱 등이 밝은 오렌지색이나 노란색을 띠다가 생후 7~10일경에 저절로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
모유 황달의 경우 조기 발생형은 생후 2~4일에 나타나며 1주 안에 사라지고, 후기 발생형은 생후 3~5일에 나타나며 몇 주간 지속될 수 있다.
핵황달의 경우 초기에는 특징적인 증상이 없어 패혈증, 저혈당증 등과 구별하기 어려우나 점차 기면상태, 빨기 반사 약화, 모로 반사 소실, 근긴장도 약화 등이 나타나고 나중에는 경련, 고음의 울음소리 등이 나타난다.
1.6. 진단검사
신생아 황달의 진단검사는 다음과 같다.
황달이 시작된 시기, 전신 상태, 수유량, 체중 증감 상태, 모유 수유 여부, 경피용 황달 측정기를 사용하거나 혈액을 채취하여 빌리루빈 수치 확인 및 혈액형 등의 병력이나 진찰 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