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특정주제에 관해 논문을 쓰기 위해서는 관련 주제를 탐구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며 그 핵심요소의 하나로 문헌 고찰을 들 수 있다. 이에 문헌 고찰의 요소를 이해하고 검토한 문헌들을 조직하며 상담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기존 문헌들을 분석하는 방법 및 문헌 고찰 수행의 잠재적인 목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장에서는 문헌 고찰과 효율적인 논문 작성을 위해 상담자, 심리학자, 다른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양식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을 소개하고 Endnote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며 유익한 웹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2. 문헌 고찰
2.1. 문헌 고찰의 개념과 중요성
문헌 고찰은 특정 주제와 관련한 연구물들을 찾고, 구성하고, 요약하는 광범위한 과정이다""(Eaves et al., 2008). 문헌 고찰은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 프로젝트 수행에 필수적인 단계이다"".()
문헌 고찰은 새로운 연구 문제를 제기하고,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된다""(성태제, 2002).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자는 특정 주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연구 설계 및 방법론을 구체화할 수 있다""(
2.2. 문헌 고찰의 단계
2.2.1. 주제 확인하기
문헌 고찰을 시작할 때는 먼저 주제 확인하기가 중요하다. 연구자는 문헌 고찰을 위해 관심 영역을 선정하고, 기존 문헌에서 어떻게 연구 주제로 공헌할 수 있을지 고려해야 한다. 너무 일반적이거나 특수한, 또는 흔한 주제는 피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연구문제와 가설을 정하기 전에 문헌을 검토하여 과거와 현재의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 자신의 연구가 기존 연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 이처럼 주제 확인하기 단계에서는 관심 영역을 정하고, 기존 연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2.2.2. 문헌 찾기, 읽기, 분석하기
문헌 찾기, 읽기, 분석하기는 문헌 고찰의 핵심적인 단계이다. 문헌을 체계적으로 찾고 분석하는 것은 연구 주제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도출하는데 필수적이다.
먼저 문헌 찾기에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문헌 자료는 출판된 학술지 논문이다. 학술지 논문은 익명심사와 동료검토 과정을 거치므로 저자의 명성보다는 연구의 질적 수준에 근거하여 게재되므로 더욱 신뢰할 수 있다. 도서관과 전자 데이터베이스는 문헌을 찾는데 유용한 자원이 된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 키워드와 불 연산자 활용, 동료심사 논문 확인 등의 방법을 통해 연구 주제와 관련된 신뢰할 수 있는 문헌을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
문헌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문제, 가설 등을 염두에 두고 문헌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평가해야 한다. 즉, 수집된 문헌들이 연구 프로젝트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지를 먼저 결정한 후, 해당 문헌의 내용을 정리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문헌의 출처, 저자의 전문성, 현재 통용 여부, 편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한편 문헌고찰 수행 시 지침으로는, 개요 작성, 단계별 목표 설정, 정보 조직화와 제시 방식 등이 제안된다. 특히 단계별 목표는 문헌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