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리더십 수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통적 리더십의 유형
1.1. 특성이론
1.2. 행동이론
1.3. 상황이론
1.4. 변혁이론
2. 세종대왕의 통치 업적과 리더십
2.1. 서론
2.2. 본론
2.3. 결론
2.4. 참고문헌
3. 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보상체계
3.1. 서론
3.2. 기대이론과 성과-만족 이론
3.3. 공정성 이론
3.4.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통적 리더십의 유형
1.1. 특성이론
특성이론은 리더십에 대한 초기 이론으로 자질론 또는 위인론이라고도 하는데, 효율적 리더와 비효율적 리더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몇 가지 특성과 자질을 갖고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 특성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초에 미국심리학협회가 육군선발시험 기법을 개발, 미 육군의 선발심사업무를 지원하다가 전후에 산업분야에 적용·발전시켜 인사평가 측면에 활용되었다.
전통적 리더십 이론의 주류를 이어온 특성이론은 선천적, 후천적 자질인 리더의 공통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으로, 리더가 "고유한 개인적 특성"만 가지고 있으면 그가 처해 있는 상황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항상 리더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리더는 태어나는 것이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특성이론에 따르면, 효율적인 리더에게는 신체적 특징(연령, 신장, 체중, 외모), 사회적 특징(교육, 사회적 신분, 이동성, 사교 관계), 지능(판단력, 결단력, 표현능력), 성격(독립성, 자신감, 지배성, 공격성), 과업관계 특성(성취욕구, 솔선력, 지구력, 책임감, 안정욕구, 인간에 대한 관심), 인간관계 특성(감도능력, 협조성, 대인관계기술, 권력욕구, 청렴성) 등의 공통적인 특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특성이론은 리더가 "고유한 개인적 특성"만 가지고 있으면 그가 처해 있는 상황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항상 리더가 될 수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1.2. 행동이론
20세기 중반을 전후한 시기는 인간의 행동과 관련된 학문 분야의 전반에 걸쳐 행동주의가 각광을 받는 시기였다. 행동이론의 핵심은 철저한 과학적 방법론의 바탕위에서 인간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즉 직접적 관찰이나 측정이 불가능한 성격이나 태도와 같은 내적 특성을 대상으로는 철저하게 과학적 연구가 될 수 없고, 직접적 관찰이나 측정이 가능한 외형 행동만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행동이론의 핵심이다.
1930~1950년대의 특성이론의 효과적인 리더의 공통적 특성을 입증하는데 실패하자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행동이론으로 전환되었다. 행동이론은 리더의 개인적인 특성보다는 외부로 나타나는 리더의 행태를 관찰하는 행태론적 접근을 취하면서 리더들이 실제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어떤 행동을 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행동과 관리적 유효성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행동이론은 리더십 연구의 초점을 개인적 특성에서 보다 보편적인 범위로 전환하여, 리더 행동의 유형이 과업행동과 관계행동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리더의 행동이 목표 달성을 위해 과업 수행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부하직원들과의 인간관계 형성에 더 주력하는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이다.
1.3. 상황이론
상황이론은 리더의 효율성이 리더의 특성이나 행동에 의해서가 아니라 작업단위에서 수행하는 작업의 성격, 외부환경의 성격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즉, 상황이론에서는 주어진 상황하에서 리더에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특성, 기능, 행동을 결정해 주는 상황의 여러 측면을 확인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대표적인 리더십 상황이론에는 Fiedler의 상황이론,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Hersey & Blanchard의 상황대응이론 등이 있다.
Fiedler의 상황이론은 과업중심형과 인간관계 중심형 중에서 어느 유형이 유효한가가 리더와 부하간의 관계, 직무구조, 직위권력 등의 3가지 상황변수에 따라 달려있다고 주장한다. 이 모델에서는 3가지 상황변인의 조합에 의해 8가지의 상황이 가정되는데, 과업지향적 리더는 리더에게 가장 유리한 상황과 가장 불리한 상황에서 효율적인 반면 인간관계 지향적인 리더는 상황의 유리함과 불리함이 중간정도일 때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Hersey와 Blanchard의 상황대응이론은 Blake와 Mouton의 관리격자 개념을 이용하여 지도자의 행동을 과업행동과 관계행동의 2차원으로 분류하고 여기에 상황요인으로 구성원의 성숙도를 추가하였다. 이 이론의 기본적인 개념은 리더가 그들의 행동양식을 그들이 처...
참고 자료
양창삼,(1999), 조직행동의 이해 서울, 법문사p33
이상갑․이상수(1997)「조직행위론」서울:진영사
조성종(2002)「서비스 지향적 리더십과 인간관계」서울:두남.91
최남석. "세종대왕의 리더십 이론." 국내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인천
http://www.riss.kr/link?id=T14439848
금용주 & 송건섭. (2014).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한국행정논집, 26(1), 53-76.
김상묵 & 양기용 (1995). 성과급제와 근무성적평정: 비판과 대안. 한국행정연구, 4(3), 159-174.
김상욱 (200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직업몰입과 조직몰입: 사회복지직의 사례.한국사회학,36(5), 87-115.
김태일, 김성준 & 문명체 (2005). 성과평가와 보상 연계방안 연구. 한국정책연구.
박천오, 강제상, 권경득, 조경호 & 조성한 (2004). 인사행정의 이해. 서울: 법문사.
이주영 & 심원술 (2006). 목표설정이론의 특성이 목표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평가와 보상의 신뢰성을 조절변수로. HRD 연구(구 인력개발연구),8(2), 111-136.
이영조, 김석태, 문인수 & 김대원 (2004). 행정학 원론. 서울: 도서출판 학우.
이형우 (2016). 공공부문 성과중심 보상제도의 동기부여 효과에 관한 연구: 조절변수의 탐색.한국공공관리학보,30(3), 1-28.
이환범 & 이수창 (2006).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한국조직학회보,3(2), 83-101.
정광호 & 김태일 (2003).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한국노동패널연구 (KLIPS) 자료를 중심으로.한국정책학회보,12(3), 1-29.
조정현 (2014). 보상요인이 군 장교 집단의 사기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6(2), 377-399.
Belfield, R., & Marsden, D. (2003). Performance pay, monitoring environments, and establishment performance.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Hassell, G. (2001). The Fall of Enron: The Culture: Pressure Cooker Finally Exploded.Houston Chron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