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심리학적 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심리학 개관
1.1. 사회심리학의 정의
1.2. 사회심리학의 이론적 관점
1.2.1. 사회 문화적 관점
1.2.2. 진화론적 관점
1.2.3. 사회적 학습의 관점
1.2.4. 사회적 인지의 관점
2. 사회심리학의 적용
2.1. 자기본위적 편향
2.2. 근본귀인오류
2.3. 인지부조화이론
3. 일상생활 속 사회심리학
3.1. 다이어트와 자기본위적 편향
3.2. 성적 학업성취와 근본귀인오류
3.3. 직장 퇴사와 인지부조화이론
4. 아동학대의 사회심리학적 이해
4.1. 개인적 상호작용과 아동학대
4.2. 가족역기능이론과 아동학대
4.3. 가족치료와 성적 학대
4.4. 사회생태학적 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심리학 개관
1.1. 사회심리학의 정의
사회심리학이란 인간이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그 상호작용이 개인의 행동과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행동과 심리가 사회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현되는지를 탐구한다. 즉, 개인의 마음과 행동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사회심리학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1.2. 사회심리학의 이론적 관점
1.2.1. 사회 문화적 관점
사회 문화적 관점은 개인의 편견과 선호, 정치적 신념이 국적과 사회계층, 현재의 역사적 추세와 같은 집단적 요인에 영향받는다고 보는 관점이다"
1908년 사회학자 에드워드 올스워스 로스(Edward Alsworth Ross)는 그의 저서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에서 사회적 행동의 원천은 개인이 아니라 사회집단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튤립 파동 현상을 분석하며, 이러한 비합리적인 집단 행동은 "수많은 사람들 가운데 흥미와 느낌, 의견, 행위 등이 비합리적으로 일치하고, 그로 인해 제안과 모방이 일어나는…… 군중심리"의 산물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처럼 사회 문화적 관점은 개인의 행동과 태도가 집단이나 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받는다고 본다. 문화는 의식주와 예의범절 등 인간이 손길이 닿은 모든 환경을 포함하며, 최근 기술의 발달로 소통방식과 빈도가 변화한 것도 문화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남부 출신자들은 컨트리 음악을, 서부 태평양 연안 중상류층 출신자들은 록 음악을 좋아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각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가치관과 메시지를 강조하는 음악 장르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J.K. 롤링의 경우, 자신이 속한 하위문화에서 부를 모으는 행위는 부적절하게 여겨졌지만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처럼 개인의 행동은 자신이 속한 사회집단의 규범과 가치관에 의해 크게 영향받는다고 볼 수 있다.
즉, 사회 문화적 관점은 개인의 행동과 태도가 특정 집단이나 문화가 내재화한 가치와 신념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행동을 단순히 개인적인 특성에서만 찾는 것이 아니라 그가 속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2.2. 진화론적 관점
진화론적 관점(evolutionary perspective)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근원을 우리 선조들이 생존하고 생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 신체적·정신적 성향에서 찾는다"" 1908년에 출간된 『사회심리학』을 쓴 영국 심리학자 윌리엄 맥두걸(William McDougall)은 이러한 관점을 취했다"" 맥두걸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미소, 조롱 등의 감정 표현)이 신체적 특징(직립, 움켜쥘 수 있는 손)에서 발달했다는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73)의 견해를 따랐다""
진화의 주요 원동력은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으로,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되는 특성을 자손에게 물려주는 과정이다"" 특정한 환경에 잘 맞는 새로운 특성, 즉 적응(adaptation)은 주어진 조건에 덜 맞는 특성을 대체한다"" 다윈은 동물의 몸이 자연선택에 따라 만들어졌듯 뇌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가정했다""
과거에는 진화가 선천적으로 '내재된' 확고한 '본능'만을 만들어낼 수 있고 환경의 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간과 다른 동물의 행동은 대체로 환경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변화한다"" 예를 들어 두려움이라는 심리적 반응은 선조들이 독충이나 뱀, 타인의 위협에 재빨리 반응하도록 진화된 것이다"" 지속적으로 경계 태세를 유지하면 몸이 지치기 때문에 두려움은 위험한 상황에 대한 단서에 매우 민감하다""
진화론적 관점은 집단 간 편견과 차별을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위험한 것으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어두운 방에서 흑인 남성의 사진을 본 참가자들이 그들을 더 위협적인 존재로 평가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를 집단 간 관계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으로 해석했다"" 해가 진 후 두 남성 집단이 마주치면 위험한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안전을 지키려는 경계심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진화론적 이론가들은 전 세계에 걸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행동 패턴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 사회에서 남녀는 장기적 혼인 관계를 형성하고 남성은 여성의 자식 돌봄을 돕는다"" 이처럼 생존과 번식을 위한 다양한 전략이 진화의 과정에서 나타났다고 보는 것이 진화론적 관점이다""
1.2.3. 사회적 학습의 관점
1930~4...
참고 자료
사회심리학 마음과 행동을 결정하는 사회적 상황의 힘/로버트 치알다니
사회심리학 교안, 2020, 배움 사이버 평생 교육원
로버트 치알디니, 더글러스 켄릭 외 1명, 사회심리학(마음과 행동을 결정하는 사회적 상황이 힘), 2020, 웅진지식하우스
민웅기, 사회심리학, 2020, 기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