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서행동장애 미술치료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서·행동장애와 미술치료
1.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및 원인
1.2. 정서·행동장애의 분류 및 행동특성
1.3. 정서·행동장애와 미술치료
1.4. 정서·행동장애 미술치료 논문 동향 분석
1.5.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사례와 교육적 조치
1.6. 경계선 성격장애와 미술치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서·행동장애와 미술치료
1.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및 원인
장애인복지법 시행령에 명시된 15개 종류의 장애 중 정신적 장애에 해당하는 정서·행동장애는 장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이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첫째, 지적, 감각적, 건강상의 이유로 설명할 수 없는 학습상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이다. 둘째, 또래나 교사와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이다. 셋째,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이다. 넷째, 전반적인 불행감이나 우울증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이다. 다섯째, 학교나 개인 문제에 관련된 신체적인 통증이나 공포를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이다.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은 크게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뇌 기능 장애, 신경전달물질 이상 등이 있다. 정신분열증이나 우울증과 같은 장애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중추신경 기능장애와 뇌손상도 행동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심리사회적 요인으로는 기질적 요인, 정신분석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유순한 기질과 까다로운 기질이 행동문제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어린 시절 외상 경험이 정서·행동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가정환경, 학교환경, 또래관계 등의 환경적 요인도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1.2. 정서·행동장애의 분류 및 행동특성
정서·행동장애의 분류 및 행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DSM-5에 따른 정서·행동 장애의 하위유형은 크게 불안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강박-충동 및 관련 장애, 섭식장애, 배변장애, 우울장애, 양극성장애, 품행장애, 틱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으로 분류된다.
불안장애에는 분리 불안장애, 선택적 함구증,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특정공포증, 사회적 불안장애, 광장공포증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지나치게 걱정이 많고, 불안감에 사로잡혀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는 등의 행동 특성을 보인다.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반응성 애착장애가 있다. 이 장애를 가진 아동은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회상이나 악몽을 경험하고, 관련된 대상이나 장소를 기피하며 과도한 각성 상태를 보인다.
강박-충동 및 관련 장애에는 강박-충동장애와 신체추형장애가 포함된다. 이러한 장애아동은 자신의 외모에 과도하게 집착하거나 반복적인 강박사고와 행동을 보인다.
섭식장애에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 이식증, 반추장애, 제한적/회피적 음식 섭취장애 ...
참고 자료
김장곤 외 공저, 2018, 『장애아동의 이해』, 범문에듀케이션.
고주현 외 5 공저, 2019, 『장애아동의 이해』, 학지사메디컬.
이근매·조용태 공저, 2020, 『장애아동의 미술치료』, 학지사.
최외선·이근매·김갑숙·이미옥·최선남, 2020,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학지사.
정순선(2016),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불안에 미치는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박선영(2011), 경계선 성격장애 미혼여성의 부적응 도식 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김보아(2016),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 대학원
한경아(2006), 경계선 증후를 보이는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Kernberg의 대상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특수교육의 이해, 2019. 학지사」, 저자 김동일, 고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