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상처와 욕창
1.1. 상처의 유형
1.1.1. 자상
자상은 날카로운 물건에 의해 생긴 상처로, 피부와 피하 조직이 절개되는 손상이다. 자상은 절단면이 정상적이고 깨끗하며 출혈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상의 경우 혈관, 신경, 건 등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치료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오염된 물체에 의한 자상은 감염 위험이 높아 상처 세척과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다. 자상의 치료는 출혈 지혈, 감염 예방, 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하며, 봉합술이나 드레싱 등의 처치가 이루어진다. 자상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염증기-증식기-성숙기를 거치며, 상처 치유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1.1.2. 열상
열상은 뼈, 근육, 인대 등의 깊은 조직이 절개되어 발생하는 상처이다. 외력에 의해 조직이 완전히 절단되거나 찢어져 출혈이 심한 특징이 있다. 열상의 경우 상처 부위가 깊고 불규칙적인 양상을 띠며, 절개 부위의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고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열상은 감염의 위험이 크고 상처 치유가 지연될 수 있다. 또한 근육이나 인대 손상으로 기능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열상 상처 간호 시 감염 예방과 기능 회복을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1.1.3. 찰과상
찰과상은 피부 표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상처로, 피부가 벗겨져 나가거나 긁히는 상처이다. 찰과상에서는 표피층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피부가 벗겨지고 출혈이 발생하며, 피부가 벗겨진 부위가 붉게 발적되고 약간의 삼출액이 나타난다. 찰과상은 통증이 심하지는 않지만, 피부 표면의 보호막이 손실되어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찰과상 발생 시 신속한 치료와 예방이 필요하다.
찰과상은 신체 활동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피부와 지속적으로 마찰이 발생할 때 생긴다. 특히 무릎, 팔꿈치, 손바닥 등 피부가 얇고 활동적인 부위에서 많이 발생한다. 찰과상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염증기, 증식기, 성숙기를 거치며 회복되는데, 염증기에는 피부 결손부의 수분 손실로 인한 통증과 부종이 나타나고, 증식기에는 육아조직 형성, 성숙기에는 상처 부위의 콜라겐 재형성이 일어난다.
찰과상 치료를 위해서는 상처 부위 소독, 드레싱, 국소 연고 도포 등의 처치가 필요하다. 상처 부위를 깨끗이 세척하고 소독하여 감염을 예방하며, 상처 표면을 건조하지 않게 유지하는 습윤 드레싱을 적용한다. 또한 국소적으로 항생제 연고나 항염증 연고를 도포하여 상처 치유를 돕는다. 상처 치유가 지연되거나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1.1.4. 타박상
타박상은 신체 부위에 가해진 외력으로 인해 피하 조직과 근육이 손상되는 상해이다. 타박상은 피부 표면에 멍이나 부기, 통증 등이 나타나는데, 이는 손상된 혈관에서 출혈이 있거나 주변 조직이 부어오른 것이 원인이다. 타박상이 심한 경우에는 근육과 뼈까지 손상될 수 있다.
타박상의 증상으로는 통증, 붓기, 멍, 타박 부위의 피부 변색 등이 있다. 타박상의 정도에 따라 증상의 심각도가 달라지는데, 심한 경우 부어오르고 멍이 들거나 심지어 피부가 찢어질 수 있다. 타박상이 심한 경우에는 근육이나 뼈의 손상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부서진 뼈편이 보일 수 있다.
타박상에 대한 응급 처치로는 부어오른 부위를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