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1.1. 일반정보
김○○ 할머니는 75세의 기초생활수급자로, 20년 전 고혈압, 28년 전 당뇨병 진단을 받고 현재 투약 중이며 관절염과 허리디스크 등의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할머니는 중학생 손녀를 혼자서 키우고 있으며, 아들은 다른 곳에서 일을 하고 있어 할머니와 연락이 거의 되지 않는다"". 할머니는 한쪽 눈이 실명되어 생활하는데 많은 불편을 겪고 있으며, 허리디스크 통증과 관절염으로 거동이 불편한 상태이다"". 또한 할머니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생활수준이 매우 낮은 편이다"".
1.2. 가족구조 및 발달주기
문○○ 할머니는 75세의 노인으로, 3세대 조손가족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할머니의 가족은 독거 형태로, 할머니와 중학생인 손자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할머니는 12년 전 간암으로 남편을 사별하였고, 아들은 결혼하여 서울에서 따로 살고 있어 할머니와의 왕래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할머니의 가족구조는 노년기 가족에 해당한다. 노년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취미와 여가선용의 방법을 활용하고, 남은 여생을 보람 있게 살기 위한 가치관의 재정비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할머니는 관절염과 거동 불편으로 인해 이웃과의 왕래가 거의 없고 실제로 여가 생활을 즐기지 못하고 있어 노년기 가족의 발달과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할머니의 가족구조는 노년기 조손가족이며, 이에 따른 발달과업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주거환경
문○○ 할머니의 주거환경은 전반적으로 쾌적하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다. 할머니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4동에 위치한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데, 이는 큰 컨테이너 조립식 주택으로 외풍이 심하고 냉난방이 잘되지 않는 상태이다. 할머니는 거동이 불편하여 집안 정리를 잘 하지 못해 방에 여러 가지 물건들이 쌓여 있어 생활공간이 협소해 보인다. 또한 현관 계단이 높아 낙상의 위험성이 높은 편이며, 부엌의 음식물 쓰레기가 뚜껑 없이 쌓여있어 위생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할머니의 주거환경은 전반적으로 안전하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