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이상심리학의 기초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이상심리학의 기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상심리학의 기초
1.1. 이상심리학이란
1.2. 이상심리학의 역사적 발전
1.3. 이상심리학의 주요 주제
1.4. 이상행동의 분류와 진단 체계
1.5. 정신장애의 공식 진단 분류 체계

2. 성격과 성격장애
2.1. 정상적인 성격의 특성
2.2. 성격이론
2.2.1. 정신역동이론
2.2.2. 특질이론
2.2.3. 학습이론
2.2.4. 현상학적 이론
2.3. 성격장애의 유형
2.3.1. A군 성격장애
2.3.2. B군 성격장애
2.3.3. C군 성격장애

3. 신경발달 장애
3.1. 지적장애
3.2. 의사소통 장애
3.3. 자폐스펙트럼 장애
3.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3.5. 특정 학습장애
3.6. 운동장애

4. 조현스펙트럼 장애
4.1. 조현병
4.2. 조현정동장애
4.3. 조현양상장애
4.4. 망상장애
4.5. 단기정신병적 장애

5. 기분과 관련된 장애
5.1. 주요우울장애
5.2. 지속성 우울장애
5.3. 파괴적 기분조절장애
5.4. 월경 전 불쾌감장애
5.5. 양극성 장애

6. 불안 장애
6.1. 분리불안장애
6.2. 선택적 함구증
6.3. 특정 공포증
6.4. 사회공포증
6.5. 공황장애
6.6. 광장공포증
6.7. 범불안장애

7. 강박 관련 장애
7.1. 강박장애
7.2. 신체변형장애
7.3. 저장장애
7.4. 털 뽑기 장애
7.5. 피부 뜯기 장애

8. 상담과 심리치료
8.1.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8.2. 인지행동적 심리치료
8.3. 인본주의적 심리치료

9. 심리평가
9.1. 심리평가의 개념
9.2. 다면적 인성검사
9.3. 투사적 검사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상심리학의 기초
1.1. 이상심리학이란

이상심리학은 인간의 이상행동, 심리장애, 정신질환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학문 분야이다. 이상행동이란 "정상적으로 기대되는 행동의 범위를 벗어나며, 개인이나 사회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상심리학에서는 이러한 이상행동의 원인, 특성, 치료 방법 등을 탐구한다.

이상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이해, 설명, 예측, 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발생한 어떤 행동이나 정신과정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그 이유를 찾아내며, 상황의 변화에 따른 행동이나 정신과정의 발생을 예측하고 어떻게 통제할 수 있는지, 그리고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어떻게 수정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이를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상심리학의 연구 대상은 정신병리와 관련된 다양한 행동과 정신과정이다. 정신장애나 이상행동의 원인, 특성, 증상, 치료 등을 탐구한다. 또한 개인의 행동과 정신과정이 정상적인 범주를 벗어나는 경우가 어떤 것인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지,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지 등을 연구한다.

이와 같은 이상심리학의 연구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증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장면에서 정신장애 환자의 진단과 치료, 상담 등에 활용되어 실용적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이상심리학은 인간 행동과 정신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중요한 학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1.2. 이상심리학의 역사적 발전

이상심리학의 역사적 발전은 다음과 같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주변 현상과 자신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마술적 존재의 힘에서 비롯된다고 믿었다. 따라서 몸과 마음이 병들어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은 악령이 승리한 결과라고 보았다. 이들은 악령을 몰아내기 위해 두개골을 천공하는 트레핀 시술을 행하기도 했다. 고대 이집트, 터키, 이스라엘 문헌에서도 이상행동을 악령이 씌운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주로 철학자와 의사들이 이상행동을 연구하였다. 히포크라테스는 정신질환이 신체적 질병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았다. 특히 그는 4가지 체액의 불균형으로 인해 이상행동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영혼의 문제가 신체장애를 유발한다고 보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서 상태가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며 인지치료의 기반을 마련했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의 힘이 커지면서 다시 미신적이고 악마론적인 믿음이 생겨났다. 전쟁과 역병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안이 만연하면서 이상행동을 악마의 탓으로 돌렸다. 집단적인 광기가 유행하여 무도병이나 늑대인간 행동 등이 나타났고, 마녀사냥이 성행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이상심리에 대한 악마론이 퇴보하면서 최초의 정신질환 전문의사인 요한 웨이어가 나타났다. 그는 몸도 병들 수 있듯이 마음도 병들 수 있다고 보았다. 점차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도적인 대우가 시작되었고, 피넬과 튜크 등에 의해 도덕치료가 발전했다.

19세기 말부터 분트와 제임스 등이 심리학 분야를 연구하면서 실험을 통한 이상행동 연구가 시작되었다. 크레펠린은 정신장애를 신체장애와 같이 분류하려 했고, 갈턴은 지적 능력 검사를 개발하여 심리검사 발전에 기여했다.

20세기 초반에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이 발전하면서 심리치료가 활성화되었다. 이후 행동주의, 인지주의, 생물학적 접근 등 다양한 이론이 출현하여 이상행동을 설명하고 치료하고자 노력해왔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이상심리학은 초자연적 관점에서 점차 과학적ㆍ의학적 관점으로 발전해왔으며, 심리치료 기법 또한 다양화되어 왔다.


1.3. 이상심리학의 주요 주제

이상심리학의 주요 주제는 이상행동의 발견과 기술, 이상행동에 관한 연구, 그리고 이상심리를 설명하는 모델과 치료적 개입이다.

먼저 이상행동의 발견과 기술은 기술정신병리학(descriptive psychopathology)이라고 불리는 분야로, 여기서는 이상심리의 징후와 증상을 기술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이다. 징후는 객관적으로 관찰되는 것이지만, 증상은 주관적인 측면이 강하다. 일련의 증상과 징후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증후군이라고 한다. 이상행동을 판별할 때는 주관적인 고통, 심리적 부적응, 통계적 일탈, 사회·문화적 규범 위반, 위험성 등의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

이상행동에 관한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의 유병률과 발생률에 대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유병률은 특정 시간 동안 인구 집단 내에서 양성으로 판명된 사례의 수를 말하며, 발생률은 특정 시간 동안 새롭게 발병한 사례의 수를 말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례연구, 자기보고식 검사, 직접 관찰 등이 활용된다.

마지막으로 이상심리를 설명하는 모델과 치료적 개입 분야에서는 생물학적 모델, 정신분석 모델, 행동주의 모델, 인지 모델, 가족-사회-문화적 모델 등이 제시되고 있다. 각 모델에 따라 이상행동의 원인을 다르게 설명하며, 그에 따른 치료적 개입 방법도 달라진다. 이상심리 치료에는 정신역동적 치료, 인지행동치료, 인본주의적 치료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이상심리학의 주요 주제는 정신장애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4. 이상행동의 분류와 진단 체계

이상행동의 분류와 진단 체계는 다음과 같다.

이상행동을 분류하고 진단하기 위해서는 정신장애를 진단하고 분류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정신장애를 조증, 우울증, 치매, 정신병적 장애 등으로 대략적으로 분류했지만, 현재는 보다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진단 체계가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정신장애 진단 분류 체계로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와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SM)이 있다. DSM은 현재 5판(DSM-5)이 사용되고 있으며, ICD는 10판(ICD-10)이 사용되고 있다.

DSM-5에서는 정신장애를 크게 20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 각 범주에는 약 400여 개의 세부 장애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세부 장애들은 증상, 원인, 특징 등에 따라 구분된다. 예를 들어 신경발달장애 범주에는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등이 포함되며, 기분장애 범주에는 주요우울장애, 양극성 장애 등이 포함된다.

각 장애의 진단 기준은 DSM-5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요우울장애의 경우 2주 이상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흥미 상실, 체중 변화, 수면 장애, 피로감, 자살 사고 등의 증상들이 진단 기준에 포함된다. 이처럼 DSM-5는 각 장애의 핵심 증상과 기간, 심각도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상행동을 분류하고 진단하는 체계의 장점은 정신건강 전문가 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보험 수가 책정이나 치료 방향 결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범주화하여 개인의 독특성을 간과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정신장애 진단 체계는 개인의 증상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되고 발전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1.5. 정신장애의 공식 진단 분류 체계

정신장애의 공식 진단 분류 체계는 2개의 주요 체계가 있다. 하나는 WHO에서 발간한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이다. ICD는 유럽 등에서 사용되고 있고, DSM은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두 체계는 유사하면서도 다른 분류체계를 보이고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정신의학 분야와 임상심리 분야는 미국의 DSM 진단체계를 따르고 있다.

DSM-I은 1952년 처음 나온 이래 새로운 연구 결과와 임상적 증거가 쌓일 때마다 개정판이 나왔다. DSM-II는 1968년에 개정되었지만, 진단 기준이 너무 모호해서 임상가들 사이에 진단 일치도가 낮아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또한 장애 간에 중첩되는 임상적 특징들이 많아 한 사람이 한 가지 이상의 심리장애를 동시에 갖는 공존병리(comorbidity) 문제가 있었다.

1980년에 나온 DSM-III와 2000년에 나온 DSM-IV-TR은 이런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수정을 거듭하여 정신장애 진단을 더 명확하게 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2013년 5월에 개정된 DSM-5는 기존의 것(DSM-IV)과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그간의 연구 결과에 의해 새로운 장애들이 추가되었고, 일부 장애의 진단 기준은 변경되었다.

DSM-5에는 20개 범주와 약 400여 개 이상의 정신장애가 있다. 그리고 각 장애마다 진단을 위한 기준과 주요 임상적 특징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기본적인 임상적 특징 외에도 그동안 연구를 통해 축적된 정보, 즉 연령, 문화, 성별, 위험 요소, 경과, 합병증, 유전 및 가족 패턴과 같은 추가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DSM-5는 기존의 진단적 범주 외에 차원적 진단 체계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범주적 진단 체계에서는 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구별되는 별개의 장애였지만, 차원적 진단 체계에서는 불안장애와 우울장애의 특성이 한 환자에게서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같은 우울장애라도 심각도와 기능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DSM-5는 진단을 내릴 때 차원 정보와 범주 정보를 모두 고려하는 첫 번째 진단체계라고 볼 수 있다.


2. 성격과 성격장애
2.1. 정상적인 성격의 특성

정상적인 성격이란 정신 병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임상적인 정신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을 의미한다. 정상성에 대한 관점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건강으로서의 정상성은 의학적 접근에서 병리 현상이 없으면 정상의 한계 내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보통(평균)으로서의 정상성은 연속선상에서 양극단이 비정상이고 중간 부분이 정상으로 간주되는 관점이다. 셋째, 유토피아로서의 정상성은 심리적 구조의 요소가 조화롭고 최적화된 상태로 보는 입장이다.

학자들은 정상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하지만, 건강한 성격의 소유자를 이상적 기능 상태로 보는 점에서 유사하다. 알포트는 건강한 성격의 특성으로 자기의식의 확대, 타인과의 따뜻하고 친밀한 관계, 정서적 안정, 현실적 지각능력, 자기계발, 통합적 인생철학, 책임감 있는 삶 등을 제시했다. 로저스는 경험에 개방적이고, 실존적이며, 자신을 신뢰하고, 창의적이며, 제약 없이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을 건강한 사람으로 보았다. 프롬은 타인과의 책임 있는 관계, 사랑, 참여, 존중 등을 건강한 성격의 특징으로 설명했다. 매슬로는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을, 융은 개성화를 이룬 사람을, 프랭클은 자아를 초월한 사람을 건강한 사람으로 보았다. 펄스는 여기,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을 건강하다고 생각했다.

이처럼 학자들은 자기인식, 대인관계, 정서 조절, 가치관과 삶의 자세 등 다양한 측면에서 건강한 성격의 특성을 제시했다. 이상적인 인간상에 대한 견해는 다르지만, 정상성을 이상적 기능 상태로 보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2.2. 성격이론
2.2.1. 정신역동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심리학 역사상 가장 획기적이고 영향력 있는 이론 중 하나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이 의식 밖의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성격의 구조를 본능(id), 현실원칙에 따라 작용하는 자아(ego), 그리고 선악의 기준을 적용하는 초자아(superego)로 구분하였다.

이들 세 요소 간의 갈등과 타협의 과정이 개인의 성격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특히 성적 욕구를 중심으로 한 리비도(libido)가 이러한 성격 발달의 핵심적인 동기 요인이라고 주장하였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리비도와 성적 욕구가 아동기 각 단계에서의 발달 경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출된다고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구강기에는 입술 및 입안 부위에 집중된 성적 욕구가, 항문기에는 배설과 관련된 성적 욕구가 나타나며, 이러한 단계별 발달 과정에서의 문제나 고착은 성인기 성격 특성의 토대가 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의식적 통제를 벗어난 무의식적 욕구와 충동이 발현되는 방어기제, 꿈, 그리고 무의식적 갈등의 표출 등을 통해 인간 심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성격장애는 주로 아동기 발달 단계에서의 고착이나 갈등의 결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편집성 성격장애는 초기 양육 경험에서 기본적인 신뢰감이 형성되지 않아 타인에 대한 강한 불신과 의심을 갖게 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냉담하고 거부적인 태도를 경험한 결과 과대한 자기상을 형성하게 된다고 본다.

정신분석 치료는 이러한 무의식적 동기와 갈등을 탐색하고 자기 이해를 증진시켜 적응적인 성격 변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자유연상, 꿈 분석, 전이 분석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무의식적 동기와 충돌하는 방어기제를 인식하고 통찰력을 얻도록 돕는다.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 행동의 무의식적 동기와 갈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혁신적이었으나, 이론 구축의 방법론적 한계와 치료 효과의 한계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후 다른 심리학 이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무의식과 내면 세계에 대한 탐구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2.2.2. 특질이론

특질이론에서는 성격을 개인차를 나타내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특성으로 정의한다.

먼저 알포트는 성격을 "개인을 고유하게 특징짓고 다른 사람과 구분 짓는 역동적 심리-생리적 체계"라고 정의하였다. 알포트는 성격의 구성 요소로 공통특질과 개별특질을 제안하였다. 공통특질은 개인차를 나타내는 보편적인 특성이고, 개별특질은 개인을 독특하게 특징짓는 개별적인 특성이다. 또한 알포트는 성격을 기본성향, 중심성향, 이차성향으로 구분하였다. 기본성향은 타고나는 기질적 특성이며, 중심성향은 개인의 주된 특징, 이차성향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일시적 특성이다.

카텔은 성격을 표면특질과 원천특질로 구분하였다. 표면특질은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양식이고, 원천특질은 그 행동 양식의 근저에 있는 기저 요인이다. 카텔은 성격을 5가지 요인(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증)으로 설명하는 5요인 모형을 제안하였다.

특질이론가들은 공통적으로 성격이 생물학적 기제와 과정의 결과라고 보았다. 즉, 타고나는 기질적 특성과 뇌의 작용이 성격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성격 특성이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나타난다고 보았으며, 개인차를 설명하는데 특질 개념을 활용하였다.


2.2.3. 학습이론

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이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다.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사회학습이론이 대표적이다.

고전적 조건화는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가 개발한 이론으로, 인간의 복잡한 행동이나 불안이 고전적 조건화를 거치면서 형성되고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무조건 자극에 의해 나타난 반응을 조건 자극과 연합시킴으로써 같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개에게 먹이를 주면 침흘리는 행동이 나타나는데, 이때 종소리를 함께 울리면 결국 종소리만 들려도 침을 흘리게 된다. 이처럼 고전적 조건화는 반사적 행동이나 자연 발생적 정서와 같은 자동적 반응을 형성하는데 활용된다.

조작적 조건화는 B. F. 스키너가 개발한 이론으로, 성격의 형성이 강화와 처벌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보상을 주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 처벌을 함으로써 개인의 성격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숙제를 하면 부모가 칭찬해주고, 숙제를 하지 않으면 벌을 주면 결국 아이는 숙제하는 행동을 습관화하게 된다.

사회학습이론은 알버트 반두라의 이론으로, 행동이 단순한 자극-반응의 기계적 관계가 아니며 고전적, 조작적 조건화에서 간과된 인지과정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반두라는 개인, 행동 및 환경의 상호결정론을 주장하며 관찰학습을 강조했다. 모델링을 통해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하는 것이 성격 형성의 핵심 메커니즘이라고 본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공격적인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여 공격성을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학습이론은 인간 행동과 성격이 경험을 통해 후천적으로 습득된다고 보며,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사회학습이론 등을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이는 성격이 선천적이고 고정적이라는 정신분석이론이나 특질이론과는 대조되는 관점이다.


2.2.4. 현상학적 이론

현상학적 이론에서 로저스는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는 사람이 건강하다고 말했다. 로저스는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는 사람의 5가지 특성을 제시했다.

첫째, 경험에 개방적이다. 둘째, 실존적 삶, 즉 매 순간에 충실한 삶을 영위한다. 셋째, 자신의 유기체를 신뢰한다. 넷째, 창조적이다. 다섯째, 제약 혹은 억제 없이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로저스는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는 사람이 경험에 개방적이고 자신의 유기체를 신뢰하며, 자신의 삶에 충실하고 창의적이며, 선택의 자유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사람이 건강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주장했다.

로저스의 이러한 관점은 인간의 행동이 현상적인 장에 대한 유기체의 지각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는 인간의 행동이 개인이 지각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목표 지...


참고 자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권석만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2006
장근영, 이양원 『심리원리』, 사이언스 북스, 2019, 60-61.
권석만 (2003년).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프로이트의 성격구조 그림 https://blog.naver.com/happycounseling/220777306819
[네이버 지식백과] 욕구 단계 이론 [hierarchy of needs theor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231&cid=41991&categoryId=41991
[네이버 포스트] 월경전증후군보다 심각한 월경전불쾌감장애란?, 건간보험심사평가원, 2019.10.16.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473432&memberNo=1891127&vType=VERTICAL
위키백과, ‘심리부검’ https://ko.wikipedia.org/wiki/%EC%8B%AC%EB%A6%AC%EB%B6%80%EA%B2%80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분리 불안 장애’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504
[네이버 지식백과] 특정 공포증 [specific phobia]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4311&cid=41991&categoryId=41991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 불안 장애 [social anxiety disorder]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4310&cid=41991&categoryId=41991
[네이버 포스트] 발표할 때마다 얼굴 붉어진다면 '사회공포증' 의심해보세요,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2020.01.22.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297789&memberNo=2988819&vType=VERTICAL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강박장애’ https://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view.asp?con_no=2023
[네이버 지식백과] 개성화 [individuation, 個性化]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6744&cid=62841&categoryId=62841
16Personalities ‘성격유형 이미지’ https://www.16personalities.com/ko
[네이버 지식백과] 인지치료 [cognitive therapy, 認知治療]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6485&cid=62841&categoryId=62841
[네이버 지식백과] 인간 중심 치료 [person-centered therap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4230&cid=41991&categoryId=41991
강남세브란스병원 검사/치료 ‘심리평가’ https://gs.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psychiatry/treatment/view.asp?con_no=27941&page=1&SearchField=&SearchWord=
[네이버 지식백과] 해석 방법 (심리검사의 이해, 2010. 9. 1., 최정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81014&cid=51069&categoryId=51069
이룸심리상담 연구소 ‘다면적 인성검사Ⅱ 결과표’ 이미지 http://www.behappy.re.kr/gnuboard4/mobile/sub04.php
[네이버 지식백과] 집-나무-사람검사 [House-Tree-Person Test, -檢査]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6443&cid=62841&categoryId=62841
네이버 블로그, Mind Art, 집-나무-사람 검사 예시 https://blog.naver.com/sangmi70/221908483623
[네이버 지식백과] 문장완성검사 [Sentence Completion Test, 文章完成檢査]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7642&cid=62841&categoryId=62841
[네이버 지식백과] 로르샤흐 잉크반점검사 [Rorschach Inkblot Test, -斑點檢査]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3999&cid=62841&categoryId=62841
[네이버 지식백과] 주제통각검사 [Thematic Apperception Test, 主題統覺檢査]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7148&cid=62841&categoryId=62841
[네이버 지식백과] 성숙한 인격 [mature personality, 成熟-人格]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3889&cid=62841&categoryId=62841
[네이버 지식백과]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fully-functioning person, 充分-機能-]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5315&cid=62841&categoryId=6284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