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자상거래 기업 발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유형
2.1. 전자상거래의 의의
2.2. 전자상거래의 유형
3. 한국과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비교
3.1. 법률적 비교
3.2. 지불방식 비교
3.3. 전자상거래 배송 비교
4. 한국과 중국의 전자상거래 동향
4.1. 한국의 전자상거래 동향
4.2. 중국의 전자상거래 동향
5. 알리바바 기업 분석
5.1. 알리바바 기업개요
5.2. 알리바바 전자상거래 플랫폼 분석
6. TaoBao 마케팅 전략 분석
6.1. 거시환경 분석
6.2. 산업경쟁 환경 분석
6.3. 내부환경 분석 및 SWOT 분석
6.4. 시장세분화 및 타겟팅, 포지셔닝 전략
7. 알리바바의 향후 20년 전망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전자상거래는 복합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복합적인 시스템인 이유는 정부, 은행, 기업 등 여러 가지의 분야가 공통적으로 만들어 낸 경제활동의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잘 구축이 된 인프라와 물류시스템, 스마트폰의 보급을 바탕으로 하여서 전자상거래가 비교적 활발하다. 컴퓨터, 휴대폰만 있으면 전세계 어디든 상관없이 거래가 가능하다. 정보통신,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증가하여 온라인의 해외직구매와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해외직구매, 판매는 중간업자 없이 소비자가 직접 구매를 하고,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온라인 해외구매가 증가하자, 내수시장이 둔화가 되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내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 해외직접 판매는 증가가 될 필요가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연구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온라인 해외직접 구매와 판매가 증가를 하고 있는 반면에 세계적으로 무역의 흐름이 자유무역주의에서 보호무역주의로 변하고 있다. WTO 및 FTA를 통해서 관세장벽이 완화가 되고, 최근에는 보호무역 주의적인 조치는 대부분 수입규제조치와 기술규제, 위생검역 등 비관세장벽의 강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국내의 전자상거래 기업과 중국의 전자상거래기업을 분석하고, 해외시장 진출 방안을 논한 후 동향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하겠다.
2.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유형
2.1. 전자상거래의 의의
전자상거래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라는 전자적인 매체를 통해 상품 및 서비스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거래의 여러 과정에서 입찰과 계약, 주문 중에서 최소 하나의 절차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이뤄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전자상거래는 온라인상에서 경제의 주체들이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을 이용하여서 전자적으로 이뤄지는 상거래, 그리고 그 상거래를 지원하는 경제주체들의 활동을 지칭하는 것이다. 전자상거래의 정의는 학자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지만, 재화와 용역의 품질을 제고시키며, 서비스 배달의 속도를 신속하게 하면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조직과 상인, 소비자의 욕구를 처리하는 현대적인 사업방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를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 프로세스, 서비스, 온라인 등의 관점으로도 정의하고 있다.
2.2. 전자상거래의 유형
전자상거래의 유형은 거래의 주체와 거래 대상의 기준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대체적인 거래의 주체는 정부, 기업, 소비자이다. 거래의 주체에 따라서 B2G ,B2B, B2C, C2C의 형태로 구분이 가능하다.
B2G(Business to Government)는 기업과 정부 간의 거래의 형태이다. 과거에는 행정기관에서 필요한 물자들을 구매하여서 오프라인의 형태로 입찰을 통해서 이뤄졌지만, 최근 정부에서는 필요한 조달물자를 전산망으로 통해서 입찰을 실시하고, 구매가 이뤄지고 있다. 즉, 정부가 필요한 조달물품을 인터넷으로 공고하며, 이에 대해서 기업들이 전자적으로 입찰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금부과 또는 징수 세금에 대한 환급, 각종 민원 관련 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B2B(Business to Business)는 기업과 기업의 불특정 다수의 네트워크, 기업과 기업의 특정 네트워크의 유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본점, 지점 또는 본점과 자회사 사이의 상거래 형태를 볼 수 있다.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로 하여 상호조달, 유통망의 공유 등을 인터넷을 통해서 처리하는 모든 거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는 주로 EDI를 통해서 기업 간의 거래를 의미하고, 거래 규모는 다른 유형과 비교하여 크다. 주요 업무는 EDI를 통해서 기업 간의 문서처리, 기업과 금융기관관의 전자적인 자금이체와, 인터넷을 활용한 무역 서비스를 말한다.
B2C(Business to Customer)는 소매업 또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하여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의 형태로 소비자가 기업에서 물품을 구입하는 형태다. 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는 웹의 출현으로 하여서 인터넷 사용 인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아울러서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대로 소비층이 확대되고 있다.
C2C(customer to customer)는 소비자가 인터넷으로 서로 필요한 물건을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즉, 소비자와 소비자 거래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소비자와 소비자가 물품을 교환하는 것이 해당되는 것이다.
3. 한국과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비교
3.1. 법률적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전자서명법 내용을 비교하면, 한국 전자서명법의 경우 4차례의 개정을 통해 구체화되고 실용적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전자서명법은 내용이 간단하고 기초적인 수준이다.
한국과 중국의 전자서명 개념은 거의 일치하며, 법적 효력 인정에 있어서 한국은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한 전자인증서의 효력을 인정하고 인증기관은 정보통신장관이 지정한다. 반면 중국은 전자서명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였지만 구체적인 대상을 지정하지 않았고 인증기관은 서류 제출 후 신청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한국 정부는 전자서명의 안정성,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용 촉진을 위해 상호연동, 공인인증정책심의, 외국인증서 법적 효력 등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중국은 이에 대한 관련 규정이 없거나 세부 시행규정을 언급하지 않았다.
따라서 중국의 전자서명법은 전자상거래의 근간인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에 한계가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와 인증기관 관련 세부 규정, 정부 정책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3.2. 지불방식 비교
한국의 전자상거래 지불방식은 다양한데, 쇼핑몰에서 구매를 한 회원이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하다"이다. 전자결제시스템을 연동하기 위해 지불대행사와의 계약이 필요하며, 지불대행사를 통해 신용카드, 계좌이체, 핸드폰결제, 가상계좌, 문화상품권 등 다양한 지불수단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불수단은 신용카드와 계좌이체이다."
중국의 경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성장했지만, 결제대행사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 후 중국은행연합이 주축이 되어 공공성을 띤 전자지불을 설립하여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복잡한 절차로 인해 일반 사업자가 도입하기 어려웠다. 현재 중국의 주요 지불방식은 인터넷 뱅킹과 제3자 지불 플랫폼 방식으로, 후자의 경우 인터넷 쇼핑몰의 자체 지불 플랫폼과 독립적인 제3자 지불 플랫폼 두 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3.3. 전자상거래 배송 비교
한국의 배송은 1990년대 초반부터 택배서비스가 확산되었으며, 전자상거래의 발달에 따라 물류산업도 보완을 거쳐 발전해왔다. 택배물류서비스는 현대인의 생활에 밀착형 물류 서비스로 편리함을 주고 있다"".
중국의 경우 개혁개방의 계기로 외국자본이 중국 내에 도입되면서 중국의 현대 물류 산업을 확장시키는 동력이 되었다. 2011년 말까지 중국 인터넷 쇼핑 택배기업이 10,390개였으며, 2012년까지 8,226개로 예측되었다. 중국의 물류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2011년 물류비 총액은 전년대비 약 89% 증가하였다. 소비자 요구에 따라 택배...
참고 자료
기획재정부(2016), OECD 한국경제보고서 발표, 보도참고자료
김성옥, 최석범(2012), 중국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지역 발전격차 해소역할에 관한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2(1), pp 105-123
김정욱․홍성태․이동일(2001), 전자상거래 산업의 해외진출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제29권 제3호
문희철,최성월,형정(2008), 한·중 전자상거래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무역 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pp 267-297.
박호용(2013), 신보호무역주의의 이론적 고찰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4(3), 265-285.
설패패(2015), 중국의 제3자 결제산업에 대한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션지아, 김명숙(2016),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다각화 전략에 관한 비교연구, 국제경영리뷰, 201(1), pp 263-286.
Jutla, D. N., Bodorik, P. & Dhaliwal, J. (2002). E-비즈니스 모델: 개요. 컴퓨터 정보 시스템 저널, 42
강홍운, 「중국 B2C 전자상거래 기업의 현황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유뢰, 「중국 전자상거래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류사위, 「중국 전자상거래 B2C와 C2C시장 발전방안」 우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유위위. 「한·중 인터넷 쇼핑몰 마케팅 전략에 관한 비교 연구」 중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신영, 「WTO환경 하에서 중국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문, 2008
주영, 「TaoBao의 마케팅 전략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마장, 「한국기업의 중국 온라인 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LG경제연구원 조성완, 「ICT 서비스 산업, 미국·중국의 G2 시대 시작됐다」 2014
KISDI 김성옥, 「중국 인터넷서비스산업의 발전과 시사점」 2014
한국무역협회(KITA), 「중국전자상거래시장 동향보고서」 2014
http://verticalplatform.kr/archives/3687
http://duduchina.co.kr/?p=55471
www.globalwindow.org/GW/global/trade/all-all/overseamarket-detail.html?BBS_ID=10&MENU_CD=M10080&UPPER_MENU_CD=M10003&MENU_STEP=2&ARTICLE_ID=5030806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5033199&ARTICLE_SE=20302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5011039&ARTICLE_SE=20302